•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傳統喪禮 中 ‘不紐’의 朝鮮에서의 適用 (Application of the ‘Bulnyu[Buniu: 不紐)’ in the Traditional Funeral Rite in Joseon)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1.12
26P 미리보기
傳統喪禮 中 ‘不紐’의 朝鮮에서의 適用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진단학회
    · 수록지 정보 : 진단학보 / 113호 / 197 ~ 222페이지
    · 저자명 : 최연우

    초록

    본 논문은『儀禮』․『禮記』․『朱子家禮』등 중국의 의례서가 우리나라에 들어와 그 속의 복식 관련내용이 의미와 行禮에 있어 어떻게 변모되었는가에 관해 ‘不紐’를 事例로 고찰하고, 이를 통해 조선시대에 주자가례 를 적용하는 과정에서 시기에 따라 유학적 성향이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분석하였다.
    傳統喪禮에서 행해지는 ‘불뉴’에 관해서는 문헌 및 무덤에서 출토된 복식유물을 통해 파악할 수 있는데, 본고는 문헌에 나타난 내용을 위주로 살피고 유물을 토대로 한 실제 현상의 파악은 후속연구에서다룬다. ‘불뉴’는 의미 변화와 함께 새로운 관습이 생성된 사례인데, 이러한 변화를 ‘불뉴’라는 말이 갖는 의미, 행위의 대상, 행위의 방식, 상징으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불뉴’라는 말은 고례와 주자가례 에서는 ‘고[紐]를 내지 않는 것’을 의미했지만, 조선시대에는 ‘끈을 묶지 않는 것’으로 이해한다. 또 본래 소렴과 대렴을 할 때 쓰는 묶음베[絞]에 대한 행위였는데주자가례 이후 옷에 대한 행위로 바뀌고, 조선시대에는 옷과 묶음베에 대해 이중적으로 적용한다.
    ‘불뉴’를 하는 방식은 본래 고를 내지 않고 완전히 옹쳐 묶어 풀리지 않게 하는 것인데, 조선시대에는‘묶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 고름을 잘라내기도 하고[去紐] 혹은 고름을 묶지 않고 그대로 두기도한다. ‘불뉴’는 죽은이에 대해서는 ‘살았을 때와 반대로 한다[反生時]’는 원칙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행위이다. 이는 고례부터 조선시대까지 변함없이 이어지지만 현대 민속에서는 또 다른 상징을 탄생시킨다.
    종합적으로 보면 ‘불뉴’는 고례, 주자가례 , 조선시대를 거치면서 여러면에서 다양한 변용이 일어난다. 특히 조선시대에 적용되면서 새로운 풍속을 탄생시키기도 하였고, 이로 인해 유학자들간에 많은 논의가 일어나게 된다. 조선시대 유학자들이 혼란스러워했던 것은 「喪大記」, 「士喪禮」 鄭玄 注, 주자가례 등의 내용이 모순되는 데서 기인한다. 그런데 고례와 주자가례 가 모순되는 상황에서도 17세기까지는 주자가례 의 내용을 그대로 두고 고례와 비교하면서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에 관해 고민할 뿐, 주자가례 의 내용을 고례를 근거로 수정한다던가 혹은 새로운 의견을 제기하는데까지 나아가지는 않는다. 그러나 18세기 이후에는 주자가례 의 내용을 수정하는 적극적인 모습이 보인다. 이는주자가례 를 생활 속에 실천하면서 주자가례 텍스트가 갖는 모순을 분명하게 인식하고 또 고례의내용을 깊이 있게 탐구하면서 갖게 된 학문적 자신감의 표출이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investigates a case in which a new custom has been formed out of the costume-related contents in Chinese courtesy books introduced into Joseon such as Yi-Li[Eui-Rye: 儀禮], Li-Ji[Ye-Gi: 禮記], and Zhuzi-Jiali[Juja-Garye: 朱子家禮], which had different meanings from original ones or were modified in routine life. Also, it analyzes through this how confucian characters were manifested in each period of Joseon in which Zhuzi-Jiali were applied. The case this paper considers is the ‘Bulnyu[Buniu: 不紐](tying without a bow/non-tying strings)’ in the traditional funeral rite, for which it takes a look mainly at the literature. The ‘tying without a bow/non-tying strings’ in the traditional funeral rite originally was an action related to utility in everyday life—an action for showing the loss of utility—, but it was changed into an action with strong symbolism and simultaneously gave birth to a new custom with the original utility-related meaning in the course of transmission up to the modern age. This is a case where a new custom was generated with meaning change. This paper addresses the process of change in terms of the meaning of the ‘tying without a bow/non-tying strings’, the object of action, the method of action, and symbolism.
    In sum, the ‘tying without a bow/non-tying strings’ underwent diverse changes in several respects from ancient courtesies through Zhuzi-Jiali to the Joseon period.
    Especially, applied in the Joseon period, it used to give rise to new customs, due to which much discussion arised among confucian scholars. The reason why Joseon’s confucian scholars were confused was that the contents conflicted among Sang-DaJi[Sang-Dae-Gi: 喪大記], annotation of Zheng Xuan(鄭玄) on Shi-Sang-Li[Sa-Sang-Rye: 士喪禮], and Zhuzi-Jiali. However, even though the ancient courtesies conflicted with Zhuzi-Jiali, until the 17th century, they were concerned with how to understand Zhuzi-Jiali with its contents untouched, and was not able to proceed to correct its contents based on the ancient courtesies or raise new opinions. This was because the society in this period did not allow the absoluteness of Zhuzi-Jiali to be damaged. But,since the 18th century, they happened to actively modify the contents of Zhuzi-Jiali. We can say that this was an expression of scholastic confidence as they came to clearly recognize the contradiction within the text of Zhuzi-Jiali in the course of practicing it and profoundly exploring the contents of the ancient courtesies. With this confidence, the modification of the text of Zhuzi-Jiali was likely to be accepted by the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진단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