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僧肇의 佛·儒·道家의 連繫 認識과 淨土論에 대한 일고찰 -승조 選 『注維摩詰經』, 「佛國品」의 註解 分釋을 중심으로- (A Study on Sengzhao's Buddhist·Confucian·Taoist- Linked Knowledge and Pure Land Theory-Focus on the analysis of 「Buddha Land」 in Sengzhao's『The commentary on the Vimalakīrti Sutra』-)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7.10
33P 미리보기
僧肇의 佛·儒·道家의 連繫 認識과 淨土論에 대한 일고찰 -승조 選 『注維摩詰經』, 「佛國品」의 註解 分釋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한문학연구 / 48권 / 48호 / 165 ~ 197페이지
    · 저자명 : 장병한, 신성현

    초록

    승조는 『조론』에서 뿐만 아니라, 『주유마힐경』에서의 그의 주해에서도 『老子』·『莊子』·『周易』의 사상 체계를 자신의 불교학적 이론과 사상 체계의 정립에 차용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예컨대 ‘不思議·해탈’의 경지를 儒家 『周易』의 ‘開物成務’와 老子 『도덕경』의 ‘和光同塵’과의 회통을 시도하고 있다. 즉 여래가 ‘부사의’의 도로써 群方을 다스려 제도하여 중생을 구제하는 것은 곧 유가의 聖人인 文王과 孔子가 천하의 뜻을 통하여 천하의 일을 정하고 천하의 의문을 해결하여 새로운 문명의 세계를 열어가는 즉, ‘개물성무’의 도와 연계되고 있으며, 법신대사인 유마힐이 ‘부사의·해탈’의 도를 홍포하는 것은 곧 노자 『도덕경』에서의 至人이 자신의 本色인 빛을 감추고 속세에 응현하여 중생을 濟度하는 즉, ‘和光塵俗’의 도와도 상통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이는 당시 晉의 道恒의 無心論, 道林의 卽色遊玄論, 竺法汰의 本無論을 중심으로 광범위하게 성행하고 있던 즉, 노장적 허무에 기반을 둔 불교적 해석 체계의 왜곡을 바로 잡고, 용수의 중관·중도 사상에 기반을 둔 본래의 불교 정신을 회복하기 위한 그의 대승적 기획에 나온 것이라 할 수 있다.
    승조는 이와 같은 佛·儒·道家의 연계 인식 체계를 연장하여 그의 『주유마힐경』, 「불국품」의 주해에서의 정토론 전개에도 引據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는 외래의 대승적 불교 정신에 기반을 두면서도 중국 전통의 주요 사상 체계인 도가와 유가의 철학 세계를 용합하여 대승의 정토론을 전개하고 있는데, 즉 정토와 예토의 건립의 관건을 중생 자신들의 인업에 두고 있다는 점, 보살이 소승의 自利에만 머물지 않고 대승보살로서 적극적으로 중생을 교화하여 同事·同行을 통하여 함께 정토를 건립하고 있다는 점, 보살과 중생의 마음이 청정하면 이에 상응하여 淨土가 드러나게 된다는 心淨的 정토론 등은 5세기 초 중국 초기 불교의 대승적 정신의 확장에 하나의 전환점이 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그것이 차지하는 불교사적 의미가 적지 않다고 할 수 있겠다.

    영어초록

    Sengzhao borrowed the thought systems of 『Laozi』·『Zhuang Zhou』·『Book of Changes』not only in his 『The treatise of Sengzhao』but also in his 『The commentary on the Vimalakīrti Sutra』to establish his Buddhist theory and thought system. That is, he attempted to incorporate and harmonize with Buddhist ‘mystery·nirvana’ realm, Confucian 『Book of Changes』's ‘opening of the new civilizations to achieve business (開物成務)’, and Laozi 『The Tao Te Ching』's ‘harmonizing with the world (和光同塵)’. In the annotation of 「Buddha Land」 of his authored 『The commentary on the Vimalakīrti Sutra』, he more plainly borrowed and quoted Taoist Lao-Zhuang thoughts and Confucian thoughts of 『Book of Changes』 than in 『The treatise of Sengzhao』. In doing so, he tried to correct the distorted Buddhist interpretation system, which was based on the Lao-Zhuang thought's nihilism which, in Jin (晉), widely prevailed centering on Dohang (道恒)'s No-Mind Theory (無心論), and on Chukbeoptae (竺法汰)'s the theory that nothing is the fundamental origin (本無論). He also tried to recover the original Buddhist spirit based on Yongsu's thought of Junggwan and Jungdo under his Mahayana plan.
    As such, Sengzhao developed his Mahayana Pure-Land Theory by combining traditional Chinese thought systems of Taoist and Confucian philosophies, yet based on the external Mahayana Buddhism spirit. That is, the fact that the key to the establishment of the Pure Land and the Impure Land was placed on mankind itself, the fact that Bodhisattva was not complacent only with Hinayana's self benefits, but positively enlightened mankind as Mahayana Bodhisattva, thereby establishing the Pure Land as colleagues and peers, and the Pure-Heart Pure Land Theory that if Bodhisattva and mankind have pure hearts, the corresponding Pure Land will appear - all of these could be a single test of expanding China's-early Mahayana Buddhism spirit in the early 5th century, offering profound importance in Buddhist hist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