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가야지역 고분과 고대 산성의 관계 검토 -경남·고령지역 대형 봉토분과 석축산성을 중심으로- (Relationship between Tomb and Ancient Mountain Fortress in Gaya Region -Focusing on stone mountain fortress and large burial mound tombs in Gyeongnam, Goreyong region-)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11.12
29P 미리보기
가야지역 고분과 고대 산성의 관계 검토 -경남·고령지역 대형 봉토분과 석축산성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대학박물관협회
    · 수록지 정보 : 고문화 / 78호 / 147 ~ 175페이지
    · 저자명 : 정인태

    초록

    본 연구는 가야지역에서 발굴조사를 통해 대형 봉토분이 확인된 고분군 및 그 주변지역에 축조된고대 산성의 자료 검토를 통해 그 관계를 파악하였다.
    대형 봉토분이 조성된 고분군은 가야 각 소국의 정치적·문화적 중심 지역으로 볼 수 있으며, 합천 옥전고분군을 제외하고 6세기 중반을 기점으로 대형 봉토분 조영이 중단되는 반면, 산성 축조는창녕, 함안지역에서 6세기 중반에 축조되는 것을 시작으로 경남 서부지역과 남해안지역으로 확대됨을 알 수 있다.
    신라의 가야지역 진출과정에서 축조된 산성은 크게 각 지역 중심 고분군 배후 또는 인근에 위치하는 것과 백제와의 국경지대 및 남해안 연안에 위치하는 것으로 구분된다. 전자의 경우, 신라의 세력확대에 따른 치소성의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이며 추화산성의 축성을 볼 때, 밀양은 신라에 의해 새롭게 부각된 지역으로 추정된다. 반면, 후자의 경우에는 신라의 진출과정에서 백제를 대비한 군사적목적의 축조로 보여 지며, 해안지역에 조성된 폐왕성, 대국산성 등 거제 및 남해지역은 왜구 방어 및해상교역 등의 목적으로 중요시되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산성 축조라는 신라의 직접적인 가야지역 진출 이전에 교류 등 문화적 진출이 선행된 것으로보이며, 이는 주요 가야고분에서 출토되는 신라양식 유물을 통해 확인된다. 한편 창녕 교동고분군,계성고분군 등의 경우, 6세기 후반에서 7세기까지 중소형 봉토분이 조성되고 있어 산성 축조 이후에도 재지 문화가 지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figure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ombs that were revealed with its large burial mound tombs through excavating investigation in Gaya region and ancient mountain fortress that were built in the surrounding area.
    It can be assumed that the tombs and its large burial mound tombs had been the political and cultural center zone of each small country of Gaya. And while most of the construction of large burial mound tombs stop from mid 6th century with the exception of Ok-jeon tombs in Hapcheon, the construction of mountain fortress expands to west region of Gyeongnam province and southern coast region with the beginning of construction in Changnyeong and Haman region in mid 6th century.
    The mountain fortresses which were constructed in the progress of advance of Shilla, can be divided into two different form based upon their location. One is located in the hinterland or surrounding area of each different region’s central tombs, while the other one is located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and the border zone of Baekje and Shilla. The former one is assumed that it had acted as a governing fortress to prevent the expanding power of Shilla and when considering the consecration of Choohwa mountain fortress, Milyang is assumed to had been a newly magnified city that Shilla had considered. On the other hand, the latter one is assumed that it had been constructed in the military purpose to be prepared with Baekje’s attack by Shilla which were trying to advance to such region. And the seaside fortresses of Geoje and Namhae region, such as Pyewang mountain fortress, Daeguk mountain fortress and etc are assumed that it had been regarded as important places for the purpose of defending Japanese raiders and sea trade.
    In addition, before the advance of Shilla to Gaya region which turned out in the form of building mountain fortress, it is assumed that they first conducted a cultural advance, such as trade. And this assumption could be verified through the Shilla style remains that are found in the main tombs of Gaya.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tombs in Changnyeong, it turns out that its burial mound tombs was built from late 6th century to 7th century. So we can assume that clay strip culture still continued after the construction of mountain fortress by Shill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