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쿠부 나오이치(国分直一)의 일본문화 기원론 -‘문화전파’와 ‘민족이동’의 관점에서- (A study on kokubu Naoichi's Ethnogenetic theory of the Japanese People - From the Viewpoints of 'Cultural Diffusion' and 'Migration')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12.11
26P 미리보기
고쿠부 나오이치(国分直一)의 일본문화 기원론 -‘문화전파’와 ‘민족이동’의 관점에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본근대학회
    · 수록지 정보 : 일본근대학연구 / 38호 / 169 ~ 194페이지
    · 저자명 : 세키네히데유키

    초록

    본 연구는 제2차 세계대전 후 남방계 문화를 중심으로 일본문화의 기원론을 전개해 온 고쿠부 나오이치의 존재구속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일제시대의 일본문화 기원론은 동화정책의 일환으로 아시아 민족과 일본민족의 현연관계를 규정하기 위해 ‘민족이동’을 전제로 구상되어 있었다. 한편 전후는 이러한 학설이 위험한 이데올로기로 간주되면서 ‘문화전파’의 시각만으로 학설이 구상하게 되었다. 1949년에 타이완에서 귀국한 고쿠부는 남방계 문화를 중심으로 학설을 전개해 나갔다. 초기의 학설은 ‘민족이동’의 시각이 배제되었지만 90년대 이후의 학설은 고대 일본인의 혼혈을 인정한 자연인류학의 학설을 수용되면서 ‘민족이동’의 시각에서 형성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쿠부는 전전(戰前) 민족이동을 전제로 일본문화 기원론은 구축한 도리이 류조와 자신의 학통을 인정하는데 인색했다. 사실 그가 강조한 남방계 문화는 1916년에 도리이가 ‘인도차이나민족’으로 제창한 것이다. 제국주의가 남긴 후유증으로 전후 연구자가 있는 그대로 현상을 볼 수 없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aimed at clarifying the constraints of existence of Kukubu Naoichi, who was a typical researcher of the ethnogenetic theory of the Japanese people after World War II. As part of the assimilation policy, ethnogenetic theories of the Japanese people were conceived on the assumption of "migration" in order to specify the blood relationship between Asian races and the Japanese race in the age of imperialism. On the other hand, it was considered that these theories were a dangerous ideology, which is why after World War II ethnogenetic theories of the Japanese people have been made only based on the view of "cultural diffusion". Kokubu, who went back to Japan from Taiwan in 1949, formed a theory focusing on the culture from Southeast Asia. The early theory of Kokubu was formed only from the viewpoint of "cultural diffusion", while the viewpoint of "migration" was eliminated. But during the 1990ies academia started to accept the theory of physical anthropology, which was deeply indebted to the viewpoint of "migration." and thus approved the thesis of ancient Japanese half-breeds. Nevertheless, Kokubu was declining to accept an academic relation with Torii Ryuzo, who had helped to form the ethnogenetic theory of the Japanese people from the viewpoint of "migration" before World War II. Although Kokubu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race from Southeast Asia, in fact, Torii named them simply "Indochinese" in 1916. It is regrettable that postwar researchers have not been able to accept this fact plainly as an aftereffect of imperial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본근대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