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화 <헤어질 결심>에 나타난 시각적 표상 연구 - 라캉의 정신분석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 (A Study of Visual Representation in the Movie - Based on Lacan’s Psychoanalytic Approach -)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22.12
11P 미리보기
영화 &lt;헤어질 결심&gt;에 나타난 시각적 표상 연구 - 라캉의 정신분석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 71호 / 133 ~ 143페이지
    · 저자명 : 이미옥, 안상혁

    초록

    박찬욱 감독의 2022년 발표작 <헤어질 결심>은 두 남녀 주인공 해준과 서래의 의식과 무의식의 경계를 넘나들며 인물들의심리 및 관계의 변화를 디테일하게 묘사해 낸 작품이다. 영화 <헤어질 결심>은 인간의 욕망과 인간의 존재적 결핍이 해소되고, 그 주체성이 정립되어 가는 과정을 정반합적인 구조로 영상화하였다. 본 논문은 영화 <헤어질 결심>에 나타난 본질적인 문제인 인간 존재의 소외와 결핍에 착안하여 라캉이 정립한 정신분석학적 이론에 따른 실재계, 상상계, 상징계의 모습들을 다양한 시각적 표상을 통해 어떻게 표현되었는지에 대해 사례분석 부분에서 자세하게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영화에서 나타난 다양한 시각적 표상을 통해 이러한 인간의 욕망, 인간의 존재 결핍의 문제가 이 영화에서 어떻게 구체화되었는지 고찰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영화 <헤어질 결심>에서는 이상적 삶 속에 인지하지 못하는 혼돈이 혼재하는 ‘실재계’, 살인 증거 발견으로 인해 형사 해준이의 완전히 붕괴되는 즉, ‘실이상(失理想)’에서 ‘자아’에 대해 좌절하는 ‘상상계’, 그리고 ‘복이상(復理想)’에서의 ‘주체’의 탄생을 의미하는 ‘상징계’, 즉 서래의 죽음은 실재계 속 보다 근본적 쾌감인 주이상스(Jouissance)를 죽음의 형태로 표출하며, 실재계가 낯선 현실이자 성취 불가능한 이상향임을 입증하고 있다. 이러한 ‘헤어질결심’은 영화 엔딩 부분에서 서래가 해준에게는 일종의 모순인 스스로를 파괴하는 과정으로 이어지고, 이를 통해 서래가본인이 사랑하고, 또한 본인을 사랑하는 해준의 실재계의 질서가 와해되는 것을 스스로의 소멸을 통해 막으려 했다는 점을알 수 있다. 영화 속에 나타난 여러가지 표상들을 단일 이론을 통해 온전하게 해석해내는 것은 어떤 면에서는 저자의 지나친 욕심일지도 모른다. 저자는 본 연구를 통하여 기존 연구를 통해 충분히 논의되지 못한 영상 및 시각 예술 작품에 라캉의정신분석이론을 적용하여 해석하고자 노력을 기울였으며, 이러한 노력이 후속 연구들에 미약하게나마 자양분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영어초록

    Director Park Chan-wook's 2022 release "Decision to Break Up" is a movie that details the changes in the psychology and relationship of the characters, crossing the boundary between the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of the male and female protagonists Hae-joon and Seo-rae. In the movie, the love story between the two is combined with the investigation process of a series of murders, making the audience immersed in thoughts of love and at the same time not to miss detective Hae-han's tension in narrowing the investigation into the murder. This research mainly to find out in detail in the case analysis part how the real world, imagination, and symbolic world were expressed through various visual representations based on the psychoanalytic theory established by Lacan, focusing on the essential problem of human existence in the movie "Decision to Break Up." In addition, it was intended to examine how this problem of human desire and lack of human existence was embodied in this film through various visual representations that appeared in the film.
    The movie "Decision to Break Up" shows ‘the Imaginary Order’, ‘the Symbolic Order’, ‘the Real Order’ according to the psychoanalytic theory established by Jacques Lacan through various visual representations. The death of Seo-rae, a more fundamental pleasure in reality, proves ‘the Real Order’, meaning that the real world is impossible and unfamiliar in reality, which means the birth of a criminal Hae-jin's complete collapse due to the discovery of murder evidence.
    This "Decision to Break Up" leads to the process of destroying herself, which is a kind of contradiction for Seo-rae in the ending of the movie, and it can be seen that Seo-rae tried to prevent Hae-joon's real world order from being broken through his own extinction. However, through this study, the author has made efforts to apply and interpret Lacan's psychoanalysis theory to video and it is hoped that these efforts can be slightly nourished by subsequent resear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