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백제 한성기 횡혈식석실분의 분포 특성과 지방지배 방식의 다양성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tribution of Stone Chamber Tombs with Corridor and the Diversity of Province Governing Systems during Baekje’s Hanseong Period)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23.12
30P 미리보기
백제 한성기 횡혈식석실분의 분포 특성과 지방지배 방식의 다양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고학보 / 2023권 / 4호 / 731 ~ 760페이지
    · 저자명 : 박상민

    초록

    4세기 중후엽 백제 중앙에 채용된 횡혈식석실분은 세 단계를 거쳐 경기 지역에서 충청 내륙, 금강 하류역 등백제 각지로 확산한다. 횡혈식석실분의 단계별 분포 양상은 백제 세력이 마한 권역으로 확산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 과정에는 백제의 지배 전략이 반영되어 있음을 말해준다. 이와 같은 횡혈식석실분의 분포는 마한묘제 중 적석분구묘 분포권에서 거의 확인되지 않지만, 성토분구묘와 주구토광묘 분포권에서 밀접한상관관계가 확인되며, 특히 주구토광묘 분포권에서 횡혈식석실분의 분포 밀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백제가 자신들의 기층문화와 이질적인 주구토광묘·성토분구묘 분포권에서는 횡혈식석실분을 집중적으로 확산시켜 지방지배를 관철시키고자 한 반면, 적석분구묘 분포권에서는 사회·문화적 동질성에 기반하여 비교적쉽게 지방지배를 해 나갈 수 있었으므로 굳이 횡혈식석실분을 확산시킬 필요가 없었던 것을 의미한다. 즉, 백제는 마한 사회를 통합하는 과정에서 원삼국 단계의 문화권역별로 서로 다른 시스템을 적용하여 지방지배를실현하였던 것이다. 한편 기층문화가 이질적인 주구토광묘·성토분구묘 분포권에서 횡혈식석실분을 지역 사회에 확산시킨 후 전통적으로 이어지던 재지묘제를 단절시키거나 혹은 함께 공존시키기도 하고, 적석분구묘분포권처럼 재지묘제를 존중하면서도 위세품을 사여하여 간접지배를 실시하는 등 그 양상이 일률적이지는않다. 이는 큰 틀에서 백제가 기층문화의 동질성과 이질성을 바탕으로 횡혈식석실분의 사용 규제를 통해 지방지배를 관철시키는 한편, 세부적으로는 각 지역 사회의 상황을 고려하여 다양한 지배 방식을 채택하였음을의미한다.
    이러한 지방지배 방식에는 중앙에 의한 묘제의 규제와 차별화, 지방의 중앙묘제 모방 욕구 이용, 재지묘제의 존중을 통한 지지기반 확보 등의 전략이 복합적으로 적용되었다. 그 결과 백제는 전 지역에 걸쳐 전방위적으로 영역화를 진행하지 않아도 되는 상황을 만들었으며, 이로 인해 절감된 에너지를 바탕으로 목지국 등마한 소국들과의 경쟁에서 승리하고 효율적으로 마한 사회를 통합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e emergence and spread of stone chamber tombs with corridor(橫穴式石室墳) during Baekje’s Hanseong period are understood as closely linked to the rule of provinces however, these tombs are not evenly distributed across the area of Baekje, but concentrated in specific area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tribution of stone chamber tombs with corridor in the Hanseong period of Baekje, thereby looking into the historical and cultural implications of these characteristics.
    Stone chamber tombs with corridor adopted by the central Baekje in the late 4th century spread in three stages to various regions of Baekje ranging from Gyeonggi region to inland Chungcheong and the downstream region of Geumgang River. The aspects of the step-by-step distribution of stone chamber tombs with corridor show the process of Baekje’s power expansion to the area of Mahan, and verify that Baekje’s governing strategy was reflected in this process. While such a distribution of stone chamber tombs with corridor is hardly found in the distribution area of rock mound tombs (積石墳丘墓) among tomb systems in Mahan, its close correlation is confirmed in the distribution areas of earth mound tombs (盛土墳丘墓) and of ring ditched pit tombs (周溝土壙墓). And it was found that the distribution density is highest in the distribution area of ring ditched pit tombs. This implies that while Baekje tried to accomplish provincial rule by spreading stone chamber tombs with corridor intensively in the cultural area origin that was foreign to Baekje’s underlying culture, they needed not bother to spread stone chamber tombs with corridor in the cultural area because Baekje was able to govern the cultural area origin with relative ease on the basis of cultural and social sameness. That is, Baekje realized provincial rule by applying different systems according to areas of Mahan in the process of integrating the Mahan society.
    On the other hand, Baekje made the existing local traditional tombs disappear or coexist after spreading stone chamber tombs with corridor to local community in the distribution areas of earth mound tombs and of ring ditched pit tombs where underlying culture was different; or imposed indirect rule by granting prestige goods while respecting the existing local tombs as in the distribution area of rock mound tombs. And thus, the aspects of provincial rule were not uniform. This means that Baekje accomplished provincial rule through regulating the use of stone chamber tombs with corridor on the basis of the cultural sameness or difference of underlying culture in a broad framework, while adopting various governing strategies in detail in consideration of the circumstances of each provincial society.
    It appears that as for the province governing systems, multiple ruling strategies were applied, such as the central regulation and differentiation of tomb systems, the use of provincial desire for imitating the central tomb system, and the securing of support base through respect for the existing local tomb system. As a result, Baekje created circumstances in which it needed not proceed with multidirectional territorialization across all the areas including the distribution area of earth mound tombs, as well as the distribution area of rock mound tombs. And consequently, Baekje was able to win a victory in competition with Mokjiguk (目支國) and integrate the society of Mah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고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