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라 적석봉토분의 지상식 매장주체시설 검토 (A Review on the "On Ground Type Burial Structure" of Silla's Stone and Earthen Mound Tomb)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07.05
27P 미리보기
신라 적석봉토분의 지상식 매장주체시설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상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상고사학보 / 56권 / 56호 / 115 ~ 141페이지
    · 저자명 : 김용성

    초록

    지상적석식으로 인지되고 있는 지상에 매장주체시설을 둔 적석봉토분은 그 구조에서, 크기에서, 출토유물에서 다른 것들과는 분명하게 구분되는 것이다. 발굴보고서가 비교적 자세하게 간행된 이러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천마총과 황남대총 남분과 북분을 검토하여 이들의 묘제와 특성에 대해 좀 더 새로운 시각에서 접근해 보았다.
    지상에 매장주체시설을 가진 지상적석식의 적석봉토분은 납관을 기준으로 볼 때 크게 목제 외피시설 개부까지의 축조와 그 윗부분의 축조 두 단계로 구분된다. 이 두 단계 사이에는 상당한 기간이 경과될 수 있는데, 이것은 일년상 또는 삼년상에 의한 것일 수도 있으며 피장자가 사망하기 이전에 이미 앞 단계가 축조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지상식의 매장주체시설을 가진 신라의 대형분들 가운데 황남대총 남분의 주곽은 삼중곽식으로 적석목곽묘 가운데 가장 발달된 목곽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황남대총 북분과 천마총은 목실묘적인 요소가 개입되어 있는 특수한 묘제로 곽에서 실로 향하는 변화과정을 읽을 수 있게 한다. 황남대총 남분의 중곽부가 생략되면서 북분에서 회랑과 같은 구조가 발생하였고, 천마총에서는 내곽까지 소멸하고 후대 석실의 공간구성과 유사한 모습으로 발전하였다.
    지상식 매장주체시설을 가진 적석봉토분은 무덤의 크기나 출토유물에서 다른 고분들을 압도하는 것으로 왕묘에 한정되어 축조된 경향이 있다.

    영어초록

    The tombs mounted with pebble stones and earthen layer whose main burial structure was constructed on the ground level - Stone and Earthen Mound Tomb - show distinction from other tombs in terms of construction, scale and burial goods. In this paper, through the examination of two tombs of 'Chunma-Chong' and 'Hwangnam-DaeChong', which were known as the examplary case Silla's Stone and Earthen Mound Tomb, a new interpretation was proposed as for its construction structure in relation with the change of burial tradition.


    There are two stages in the construction of the Stone and Earthen Mound Tomb. In the first stage, the construction proceeded up to completion of wooden structure covering the wooden coffin inside it. In the second stage, mound of stone and earth layers was covered on that wooden structure. In some cases, pretty long time elapsed i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tages, because of either preparing the tomb before the death of the entombed or the one year or three year funeral practice.


    The main burial structure of southern mound of 'Hwangnam-DaeChong' having triple wooden outer-coffin structure shows most developed phase in the construction of Silla's Stone and Earthen Mound Tomb. Northern mound of 'Hwangnam-DaeChong' and 'Chunma-Chong' revealed certain style of wooden chamber tomb, which can be taken as the transitional variation from the wooden outer-coffin structure to the stone chamber structure. The corridor - Hwi-rang(回廊)- style structure appeared instead of the middle wooden structure in southern mound of 'Hwangnam-DaeChong', and in 'Chonma-Chong' all wooden outer-coffin structure were disappeared to shape into the structure of stone chamber tomb.


    In sum, the Stone and Earthen Mound Tomb with the entombing structure on the ground is overwhelming in scale and burial goods, and believed to have been built for the kings on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상고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