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4․15세기 초 京畿의 分道와 운용 (The Division and Administration of the Gyeonggi Area in the Fourteenth and Fifteenth Centuries)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18.10
38P 미리보기
14․15세기 초 京畿의 分道와 운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서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 담론 / 88호 / 231 ~ 268페이지
    · 저자명 : 정은정

    초록

    14․15세기 경기는 외방으로 분리된다. 지방으로서 경기의 특징은 수도와 지방의 구분, 분도제에서 찾을 수 있다. 分道는 군사제도의 운영과 물류 수송을 위해 필수적이다. 경기의 위상은 관직이 京官인가 外官인가에 따라 달라진다. 고려말 개성부․개성유후는 경관․외관을 반복하였다. 경관 외관을 반복적으로 교차하는 것은 고려말의 경외순환제에서 기원한다. 여말의 조선의 세종․세조 이후에는 차츰 외관으로 직임이 낮추어졌다.
    공양왕대에는 조선 건국세력에 대한 우대차원에서 경기를 확대하였다. 늘어난 경기는 예성강 방면의 개경 중심을 경기우도, 한강․임진강 방면을 경기좌도라 하였다. 이후 경기의 영역이 정비되어 가는 동안, 경기지역의 좌우는 한강을 기준으로 남북 방향으로 바뀌었다.
    조선 건국 초 경기지역에 투입된 군사제도·지방제도·재정정책은 절충의 관계에 있었다. 군제와 지방제가 운영되는 과정에서 경기 分道의 좌우방향은 어긋나 있었다. 이후 조선의 국가질서가 본격화되자, 군사제도와 지방제도 역역 징발에서 좌우 방향의 불일치는 해소되었다.
    경기지역을 이원적으로 나눈 분도제는 공양왕대 건국주도세력이 처음 제시한 이후 지속적으로 조운·군사·구휼 관련해서 고수되었다. 경기지역 분도에서는 좌우가 통상적 용어이지만, 세종대 이후에는 경기 남북의 방향 구분도 단편적으로 찾아진다. 경기도 분도에 있어서 좌우방향은 실재 운용상의 방향에 맞추어 통합적으로 인지되었다. 그 결과 실학자의 역사지리 인식에서 경기좌우도의 관념적 구분을 대체하여 경기남북도를 칭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영어초록

    The Gyeonggi area was set up as a provincial area since the fourteenth century. The area featured its division between the area surrounding the capital and the regional area at that time. The military administration system and distribution of goods necessitated the administrative division of the area into two provinces. The status of the are depended upon whether the region was governed by the central government official or the local official. In the late Goryeo period those two types of officials took turns to govern the area, called Gaeseongbu(開城府) and Geaseongyuhu(開城留侯) at the time. This system came originally from a rule which made the local area governed by a central official and local one in turn. After the reign of King Sejong and Sejo, the local authorities came to be run by local officials.
    By the reign of King Gongyang the Gyeonggi region expanded as a means to give special treatment to meritorious retainers to the new dynasty and was divided into two sub-provinces, Gyeonggiu-do surrounding Gaeseong and Gyeonggijwa-do where was located around the Han and Imjin rivers. Once the region became bigger, its geographical division tended to be made by the north-south divide.
    The implementation of military and fiscal policies was unbalanced between these two province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s the national administrative system was on the right track, the government managed to sort out this problem.
    The government had maintained the division of the Gyeonggi region to which taxation, military and welfare policies were applied. Even though the left-right divide was common in the dichotomy of the region, the north-south divide was also seen on occasions from the reign of King Sejong. The geographical perception of the region was changed as the policies were implemented and amended by various circumstances. This trend led to practical scientists, Silhak scholars, who were attempted to replace the conventional dichotomy of the left-right divide with the north-south divide by the late Joseon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 담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