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류분산정의 기초가 되는 재산의 범위 (Berechnung des Pflichtsteil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10.12
34P 미리보기
유류분산정의 기초가 되는 재산의 범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법발전재단
    · 수록지 정보 : 사법 / 1권 / 14호 / 39 ~ 72페이지
    · 저자명 : 김민중

    초록

    유류분이란 법률상 상속인에게의 귀속이 보장되는 상속재산 중의 일정비율을 뜻한다. 민법은 제정 당시에는 유류분에 관한 아무런 규정도 두고 있지 않다가 1977년에 유류분제도를 도입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다만 민법상 유류분제도를 규율하고 있는 규정은 민법 제1112조에서부터 제1118조까지 7개의 조항에 불과하여 유류분과 관련한 많은 문제가 학설이나 판례의 전개에 맡겨져 있다고 볼 수 있다.
    유류분의 산정은 유류분제도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에 속한다. 유류분의 산정에서는 유류분산정의 기초가 되는 재산액의 산정과 유류분액의 산정 두 가지 문제가 있다. 우선 민법 제1113조는 유류분산정의 기초가 되는 재산액은 피상속인이 상속개시시에 가진 재산의 가액에 증여재산의 가액(다만 상속개시 전의 1년간 행한 증여만이 해당하고, 당사자 쌍방이 유류분권리자를 침해한다는 사실을 알고 증여한 때에 한하여 1년 전의 증여도 포함된다)을 가산하고 채무의 전액을 공제하여 산정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등식으로 표시하면 [상속개시시의 재산(적극재산)의 가액] + [증여재산의 가액] - [채무의 전액] = [유류분산정의 기초가 되는 재산]으로 비교적 간단하게 나타낼 수 있다(유류분산정의 기초가 되는 재산액에 각 유류분권리자의 개별적 유류분율을 곱하여, 즉 등식으로 표시하면 [유류분산정의 기초가 되는 재산액] x [개별적 유류분율](법정상속분율 x 유류분율] 의 방식으로 각자의 유류분액이 계산된다).
    유류분산정의 기초가 되는 재산액의 산정에 관하여 민법은 비교적 간단하게 규정하고 있으나, 그 해석과 관련하여 여러 가지 문제가 제기된다. 예컨대 1년 이내의 증여는 언제를 기준으로 하는가 하는 문제에 관하여는 다수설인 행위시설과 달리 이행시설이 타당하다고 본다. 사인증여를 유증으로 보는가, 생전증여로 보는가에 관하여 다수설과 같이 유증과 마찬가지로 취급하여야 한다. 그리고 유류분산정의 기초재산과 관련하여 유류분산정 시 산입될 「증여재산」에 아직 이행되지 아니한 증여계약의 목적물이 포함되는지 여부, 공동상속인 중에 피상속인으로부터 특별수익을 한 자가 있는 경우에 민법 제1114조의 적용 여부 등에 관하여는 지금까지 판례가 취한 태도가 타당하다. 민법 제1113조에 의하여 유류분산정의 기초재산을 산정할 때에는 채무의 전액을 공제하여야 하나, 채무의 공제와 관련하여 몇 가지 문제가 있다. 특히 상속에 관한 비용도 공제하여야 할 채무에 포함시키는 태도가 타당하며 보증채무는 다른 채무와 같이 취급하기는 곤란하여 민법 제1113조 제1항에서 말하는 「채무」에 해당하지 아니한다고 보아야 한다.

    영어초록

    Der Pflichtteil ist ein gesetzlicher Erbanspruch, der immer dann eingreift, wenn der Erblasser durch Testament einen nahen Angehörigen von der Erbfolge nach seinem Tod ausschließt. Insoweit ist der Erblasser durch das gesetzliche Pflichtteilsrecht in seiner Testierfreiheit eingeschränkt. Den nächsten Angehörigen wird durch das gesetzliche Pflichtteilsrecht eine Mindestbeteiligung am Vermögen des Erblassers gesichert. Der im Testament von der Erbfolge ausgeschlossene nächste Angehörige wird zwar nicht Erbe, er erwirbt jedoch einen Geldanspruch gegen den oder die Erben.
    Nach KBGB erhalten Abkömmlinge (§ 1112 Nr.1 KBGB), Eltern (§ 1112 Nr.2 KBGB), Ehegatten (§ 1112 Nr.3 KBGB), Geschwister (§ 1112 Nr.4 KBGB) eines Erblassers dann eine wirtschaftliche Teilhabe am Nachlass, wenn sie durch Zuwendungen oder durch Verfügung von Todes wegen (Testament oder Erbvertrag) von der gesetzlichen Erbfolge ausgeschlossen sind. Die Höhe des Pflichtteils ist im einzelnen nach folgendem Maßstab unterschiedlich geregelt:- eine Hälfte des Wertes des gesetzlichen Erbteils für einen Abkömmlinge des Erblassers  - eine Hälfte des Wertes des gesetzlichen Erbteils für den überlebenden Ehegatten des Erblassers - eine Drittel des Wertes des gesetzlichen Erbteils für jeden der Verwandten des Erblassers in gerader aufsteigender Linie - eine Drittel des Wertes des gesetzlichen Erbteils für jeden der Geschwister Die Höhe des Pflichtteils bemisst sich an der Höhe des Erbes. Und die Berechnung des Pflichtteils ist im KBGB folgendermaßen geregelt.
    § 1113 [Berechnung des Pflichtsteils](1) Der Berechnung des Pflichtsteils wird der Überschuß nach Abziehung sämtlicher Beträge der Nachlaßschulden vom Gesamtwert des Nachlasses mit dem Wert der Zuwendungen zugrunde gelegt.
    (2) Bei der Feststellung des Nachlaßwertes müssen Rechte, die von einer Bedingung abhängig sind oder deren Fälligkeit unbestimmt oder ungewiss ist, durch den Schätzwert eines vom Familiengericht bestellten Sachverständigen bestimmt werden.


    § 1114 [Hinzurechnung von Zuwendungen]Dem Pflichtteil werden nur diejenigen Zuwendungen gemäß § 1113 hinzugerechnet, die innerhalb eines Jahres nach Eintritt des Erbfalls vom Erblasser gemacht worden sind. Das gleiche gilt, wenn die Zuwendungen zum Nachteil des Pflichtteilberechtigten bewußt zwischen dem Erblasser und dem Beschenkten erfolgt sind, auch wenn sie in der früheren Zeit als in der obigen bestimmten gemacht worden si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