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未承認國家와 베른條約 - 北․日間 著作物 保護義務 論爭(東京地法 2007年 12月 14日 判決)을 中心으로 - (Disapproval of the State and Berne Convention - Focused on the controversies surrounding the protection of the works between North Korea and Japan(Tokyo District Court Dec.14,2007) -)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10.08
28P 미리보기
未承認國家와 베른條約 - 北․日間 著作物 保護義務 論爭(東京地法 2007年 12月 14日 判決)을 中心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토지공법학회
    · 수록지 정보 : 토지공법연구 / 50권 / 499 ~ 526페이지
    · 저자명 : 김민배

    초록

    북한은 2003년 1월 베른조약에 가입하였다. 이미 일본은 1975년에 베른조약에 가입했다. 그러나 일본은 국제법상 북한을 국가로 승인하지 않고 있다. 즉 북한의 유엔가입에도 불구하고, 외교정책상 국제법상 미승인국가로 대우하고 있다. 따라서 일본과 북한과의 사이에는 외교내지 법적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일본이 북한의 저작물에 대해 보호할 의무가 있는가 하는 점도 같은 차원에서 문제가 되었던 사례다. 즉 북한을 국가로 승인하고 있지 않은 일본의 현실 때문에 북한 주민에게 일본법원에서 당사자 능력이 있는가. 북한의 저작권은 일본의 저작권법에 의한 보호를 받을 수 있는가. 일본에서 북한 저작물의 저작권 취득과 이용허락권의 범위는 어디까지인가 등이 문제가 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일본 동경지방법원은 원고의 당사자 능력을 제외하고는 모두 기각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쟁점들에 대해 문제가 되었던 일본의 판례를 통해 북한에 대한 일본의 입장과 정책들을 검토하고자 한다. 본 판결은 직접적으로는 북․일간의 문제이지만 향후 남북한 관계와 한․일간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북한 저작권과 관련한 소송의 제기가 늘어나고 있다. 일본과는 달리 우리나라는 북한의 저작물에 대해 그 권리를 인정하고 있다. 북한의 저작물 보호와 관련하여 우리나라는 판례를 통해 북한의 저작물이 남한에서 보호된다는 점을 명백히 하고 있다. 그러나 그를 인정한 논리는 매우 다르다. 즉 베른조약이나 저작권이 아니라 우리헌법 제 3조의 영토조항을 근거로 북한에도 우리헌법의 효력이 있다는 점을 전제로 하여 저작권을 인정하는 판결을 내리고 있다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와 달리 일본이 북한에 대해서 저작권의 보호의무가 없다는 판결을 내린 논거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그것은 향후 일본과 북한사이의 외교관계 뿐만 아니라 저작권내지 불법행위 등의 판단에 대한 중요한 기준이 되기 때문이다. 또한 남한과 북한 그리고 일본의 관계는 물론 향후 3개 국가 간의 외교정책이나 법적 문제들을 어떻게 정립해 나아갈 것인가 하는 점을 나타내는 사례로서 연구검토를 하였다.

    영어초록

    North Korea joined the Berne Convention in January 2003. Japan has already joined the Berne Convention in 1975. However, Japan has not accepted North Korea as a nation under international law.
    And article 6 of the Copyright Law in Japan to protected works are as follows. Only those works falling under one of the following items shall receive protection under this Act:(i)works of Japanese nationals (Japanese nationals includes juridical persons established under the laws and regulations of Japan and those who have their principal offices in Japan; the same shall apply hereinafter); (ⅱ)works first published in this country, including those first published outside this country and thereafter published within this country within thirty days from the date from their first publication;(ⅲ)works in addition to those listed in the preceding two items, with respect to which Japan has the obligation to grant protection under an international treaty.
    Based on the above provisions, the North Korea claim that the works are available for this event. Article 6 by the copyright laws of Japan, Japan said that works are duty of care to protected works. North Korea argues that the works protection have universal value. North Korea argues that copyright protection set by the Berne Convention Article 3(1)(a),the conditions of concerning the rights and obligations for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other words, Article 3 of the Berne Convention claim to compliance, Criteria of Eligibility for Protection:(1)The protection of this Convention shall apply to: (a)authors who are nationals of one of the countries of the Union, for their works, whether published or not.
    Highlights of this case are as follows. First, Is the plaintiff eligible parties? Second, Is Japan protected by copyright law? In this paper, the problem of eligible parties (the plaintiffs) were examined. And Japan is obligated to protect the copyright or have not been reviewed for. In conclusion, the Tokyo District Court had dismissed to the plaintiff (North Korea) claim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토지공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0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