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탈북이주여성의 회복적 평화교육 사례 연구: 회복적 평화서클 대화모임 참가자를 중심으로 (Case Study on Restorative Peace Education among North Korean Migrant Women: Focusing on Participants of Restorative Peace Circle Dialogue Group)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24.02
27P 미리보기
탈북이주여성의 회복적 평화교육 사례 연구: 회복적 평화서클 대화모임 참가자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시민인문학 / 46호 / 283 ~ 309페이지
    · 저자명 : 신난희

    초록

    본 논문은 한국사회 정착 10여 년이 넘는 탈북이주여성들의 새로운 지식 갈망과 자기표현의 소통 욕구를 반영하여 회복적 평화교육을 설계하고 진행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회복적 평화교육 설계에는 참가자가 함께 전 과정을 동반하여 설계하였다. 회복적 평화교육은 2단계로 진행되었고 비폭력대화와 피벗 기법을 적용한 서클 대화모임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분석에 의하면, 참가자들은 새로운 의사소통 기법을 학습하며 내면 감정과 욕구를 발견하고 표현하며 소통하는 활동을 통하여 새롭게 자기정체성을 발견하고 이해하는 성과를 얻었다. 학습 과정에서 동료 및 가족의 협력을 받아 도전 과제를 수행하며 성취감을 향유하고 동료 간의 연대의식과 자긍심을 향상하였다. 2단계의 나의 첫 작가 수업 스토리텔링 작성하기 과정은 초기 단계에서 마무리가 되었다. 2단계 과정에 대한 보다 깊은 분석을 바탕으로 참가자들의 내면 기억에 대한 보다 깊은 치유과정이 동반한 평화교육 설계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This paper analyzed the results of designing and conducting restorative peace education by reflecting the thirst for new knowledge and communication needs for self-expression among North Korean migrant women who have settled in Korean society for over 10 years. In designing restorative peace education, the participants were designed together throughout the entire process. Restorative peace education was carried out in two stages and was conducted in a circle dialogue format using non-violent dialogue and pivot technique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participants achieved new discoveries and understanding of their self-identity through activities such as learning new communication techniques and discovering, expressing, and communicating with their inner emotions and desires. During the learning process, they performed challenging tasks with the cooperation of their colleagues and family, enjoyed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improved their sense of solidarity and pride among friends. The process of writing my first writer's class storytelling in Phase 2 was completed in the initial phase. Based on a deeper analysis of the second-stage process, it is believed that peace education design that involves a deeper healing process of participants' inner memories should be design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시민인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