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셜 공중에 적합한 새로운 공중 세분화 이론: 페이스북 페이지의 소셜 네트워크 요인을 중심으로 (A New Approach to Public Segmentation Theory Suitable for Social Media Public)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14.08
36P 미리보기
소셜 공중에 적합한 새로운 공중 세분화 이론: 페이스북 페이지의 소셜 네트워크 요인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PR학회
    · 수록지 정보 : PR연구 / 18권 / 3호 / 394 ~ 429페이지
    · 저자명 : 김동성, 이현우

    초록

    세분화된 공중별 인식과 행동 특성을 파악하고 예측하는 일은 PR 실무자들이나 연구자들에게 있어서 효과적인 PR 전략 수립을 위한 우선 과제이다. 이를 위해서 Grunig의 상황이론과 Hallahan의 쟁점진행모델을중심으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양방향의 상호작용적·교류적 커뮤니케이션 모델이 중심이되는 현재 소셜 미디어 시대에는 새로운 공중, 즉 소셜 공중에 적합한 진화된 세분화 요인을 새롭게 제시할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 새로운 기준으로서 소셜 미디어 공간에서 이슈를 공유하는 이용자들 사이의 관계, 즉 소셜 네트워크라는 요인을 제시하고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들에 대한 답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의 핵심 연구문제는 소셜 미디어 시대의 새로운 공중인 소셜 공중을 세분화하는 주요 요인들을 찾는것이다. 기존 공중 세분화 연구들에서 제시하고 있는 세분화 요인 중 관여와 지식 변인이 소셜 공중에게도유의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소셜 공중을 위해 새롭게 제시하는세분화 요인으로서 소셜 네트워크 분석에서 사용하는 매개 및 소통 역할을 의미하는 사이 중앙성으로 정의한 소셜 네트워크, 즉 관계 요인도 유의한 소셜 공중 세분화 요인임이 검증되었다. 관계 변인은 정보처리행동을 제외하고 정보추구행동과 쟁점진행모델의 커뮤니케이션 행동을 확장한 정보생산행동인 정보공유와정보저작 행동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관여, 지식, 관계라는 3가지 세분화 요인들의 수준 고저에 따라 8개의 소셜 공중을 유형화하고 그 차별화된 커뮤니케이션 행동 특징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소셜 네트워크 변인을 측정하는데 있어서 서베이를 통한 인식적 차원의 측정과 소셜 네트워크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기술적 측정은 소셜 미디어의 사생활보호 정책과 샘플링 등의 문제들로 인해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관여, 지식, 그리고 관계가 소셜 공중을 세분화하는 주요 요인임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소셜 공중을 유형화함으로써 효과적인 소셜 미디어 PR 전략을 위한 유용한 가치를 지닌다고 할 수있다. 그렇지만 현재의 SNA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관계 변인을 기술적으로 측정하는 데는 아직 한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번 연구가 소셜 공중 세분화에 대한 초기의 탐색적 연구이기에 향후에는 다양한 소셜 미디어 분야에서 관계 요인을 중심으로 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들이 재검증 및 일반화를 위해서 요구된다.

    영어초록

    It will be one of top priority tasks for PR practitioners as well as PR researchers to identify andpredict the segmented publics’ perceptions and their behaviors regarding given issues.
    Grunig’s situational theory of publics and Hallahan’s issues processes model have beenserved to provide the theoretical backbone on this matter. But new and advanced publicsegmentation theory is needed for the social media public in two-way interactional andtransactional communication paradigm. Thus this study proposed that the degree of ‘socialnetwork’ will play a key role in determining public segmentation for social media public suchas people on facebook fan page. The followings are main objectives and results of thisresearch.
    The first research objective is to find influential segmentation factors for the social mediapublic. In addition to the involvement and knowledge factor used in earlier studies, the presentresults showed that the network factor is the significant indicator for social media publicsegmentation. Specifically, the social network variable defined as the ‘between centrality’performing the mediator or communication role in social network analysis is a significantfactor to affect many dependent variables, including information seeking, sharing, andpublishing, except for information processing.
    Second, it is found that social media publics can be categorized into 8 types featuringdifferentiated communication behaviors according to the level of involvement, knowledge, andnetwork. The authors invite PR practitioners and PR researchers to validate and utilize newlyformed social media public segmentations.
    The final research objective purports to find a fast and efficient measurement method for the network factor by using technical program such as NodeXL, which easily provide the dataregarding the centrality of social network analysis. To serve the research objective, thecentrality data obtained from NodeXL program and the perception data obtained fromtraditional survey methods are compared. However, the results of two data sets were notconsistent, presumably due to SNA(Social Network Analysis) program's crawling technologylimitation or due to sampling problems resulting from the social media's privacy policies.
    In conclusion, this study identified that the public’s involvement, knowledge, and networkvariables are the key influential factors for segmenting social media publics. Furthermore, itis suggested that the 8 social media public types based on the present research deserve moreacademic and practical scrutiny. Social media public segmentation study is still in its earlystages. Thus, additional follow-up studies extending the findings of this exploratory study willenrich the PR communication fields by providing valuable guidelines for PR practitioners inplanning and executing effective social media PR campaig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PR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8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