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石北 申光洙의 송별기록 「鶴歌贈法正東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eokbuk Sin Gwang-su’s Parting Record Hakgajeungbobjeongdongui)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17.06
15P 미리보기
石北 申光洙의 송별기록 「鶴歌贈法正東歸」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지학연구 / 70호 / 5 ~ 19페이지
    · 저자명 : 강순애

    초록

    이 글은 새로 발견된 석북(石北) 신광수(申光洙)의 송별기록 「학가증법정동귀(鶴歌贈法正東歸)」를 대상으로 신광수의 생애와 시 및 「학가증법정동귀」의 서지적․내용적 측면을 연구한 것이다.
    신광수(1712-1775)의 본관은 고령이고 자는 성연, 호는 석북, 오악산인이다. 영조 26년(1750)에 진사 급제를 하였다. 영조 48년(1772)에 기로정시에 장원하여 승지를 제수 받았고, 이어 돈녕부도정, 영월부사가 되었다. 영조 51년(1775)에 우부승지를 제수 받았다. 그해 64세로 사망하였다. 신광수는 조선조 후기의 남인시단의 대표적인 시인이었고, 이헌경은 신광수를 ‘시호(詩豪)’라 하였다. 그는 특히 과시(科詩)와 악부(樂府)에 능하여「관산융마(關山戎馬)」와 「관서악부(關西樂府)」를 지었고, 『석북집(石北集)』 16권 8책과 『석북과시집(石北科詩集)』 1책이 남아 있다. 이 「학가증법정동귀」는 신광수가 영조 40년(1764)경에 법정(法正) 정범조가 동쪽으로 돌아갈 때 이별의 슬픔을 담아 서술한 것이다. 자필본은 깨끗이 정서된 것이고, 『석북집』권8에 실린 글은 문집이 작성될 당시 일부 수정된 것으로 여겨진다. 필첩의 원래 크기는 26cm(세로) × 37.5cm(가로)이다. 필사본 전체는 14줄인데 부제목 2줄, 본문 11줄, 끝에 ‘石北生’이라고 씌여 있어 신광수가 저작자 겸 필서자임을 알 수 있다. 석북은 이 송별기록에서 ‘소행반초(小行半草)’의 특징인 작은 행서체와 초서체를 잘 썼고, 행초서는 위에서 지적한 순화각첩의 고법 중 왕희지의 필법에 가까우면서도 일부 글자에서는 자신의 개성을 살리고 있다.
    석북이 자필로 쓴 원문의 기록과 문집의 내용을 비교하면, 첫째, 원문의 기록에는 제목이 없고, 문집에는 ‘鶴歌贈法正東歸’라고 제목을 붙였다. 둘째, 부제목과 내용에는 교정된 부분이 있다. 셋째, 이 시는 칠언시 12운 23행이고 17행은 육언이다. 제1행부터 제6행까지는 약(藥)자 운통의 입성운자이고 제7행부터 제23행까지는 지(支)자 운통의 평성운자이다. 이 칠언시는 의미상 세 단락으로 나뉜다.
    이 연구는 향후 민간기록의 연구는 물론 서지학, 기록관리학, 역사학, 국어학계에 가장 기본적인 연구성과로 활용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studies Hakgajeungbobjeongdongui, the newly discovered parting record by Seokbuk Sin Gwang-su, by examining Sin Gwang-su’s life and poetry as well as Hakgajeungbobjeongdongui’s bibliography and content.
    Sin Gwang-su (1712-1775)’s family clan was Goryeong, his courtesy name Seongyeon, and his pen name Seokbuk or O-ahksanin. He passed the jinsa in the 26th year of King Yeongjo’s reign (1750). In the 48th year of King Yeongjo’s reign (1772) he received the highest score in the girojeongsi and subsequently became donnyeongbudojeong and Yeongwol busa. In the 51st year of King Yeongjo’s reign (1775), he was given the responsibility of ubuseungji. He died the same year at the age of 64. Sin Gwang-su was a representative poet of the Southern faction in late Joseon, with Yi Heon-gyeong naming him “Siho.” He was especially skilled at gwasi and akbu, writing Gwansanyungma and Gwanseoakbu, with 16 volumes and 8 books of Seokbukjib and 1 book of Seokbukgwasijib remaining. Sin Gwang-su wrote the parting record Hakgajeungbobjeongdongui in the 40th year of King Yeongjo’s reign (1764) to express the sadness of parting when Beobjeong Jeong Beom-jo returned east. The handwritten version is neatly written., and the writing in Book 8 of Seokbukjib is thought to have been partly revised at the time the anthology was made. The specimens of handwriting measure 26 cm vertically and 37.5 cm horizontally. The handwritten version has 14 lines, with 2 lines for the subtitle, 11 lines for the body, and the word “Seokbuksaeng” at the end which show that Sin Gwang-su is the author and the penman. Seokbuk adeptly wrote the small script semi-cursive style and the cursive style, both of which are characteristics of “sohaengbancho.” His semi-cursive and cursive style closely resembles that of Wang Xizhi among the chunhuagetie method, yet retains Seokbuk’s own individuality.
    A comparison of Seokbuk’s handwritten original record and his work in the anthology reveal firstly, that the original record has no title while the latter was given the title of “Hakgajeungbobjeongdongui.” Second, there are revisions to the subtitle and the content. Third, the poem is a 12-stanza 23-line heptasyllabic poem but Line 17 has six syllables. Line 1 to Line 6 has the character “yak” as the rhyming character in the entering tone, while Line 7 to Line 23 has the character “ji” as the rhyming character in the neutral tone. The heptasyllabic poem is divided into three paragraphs content-wise.
    This study will be used hereafter in the most basic studies of private records as well as in those of bibliography, record management, history and Korean langu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지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