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북핵문제와 남북관계, 갈등과 협력의 이중주 - 앙상블을 위하여 - (North Korean Nuclear Issue and Inter-Korean Relations: From a Duet of Conflict and Cooperation to an Ensemble)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13.05
27P 미리보기
북핵문제와 남북관계, 갈등과 협력의 이중주 - 앙상블을 위하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연구 / 59호 / 37 ~ 63페이지
    · 저자명 : 양무진

    초록

    이 글의 목적은 북핵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과 좌절들을 고찰하면서 현실적인 함의를 찾는 것이다. 고찰의 주요 대상은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이지만 북핵20년의 역사적 인문학적 고찰이라는 점에서 김영삼 정부와 박근혜 정부도 포함시켰다. 김영삼 정부는 피는 물보다 진하다는 감성에서 출발하였지만 핵을 가진자와 악수할 수 없다는 강경노선으로 변화함으로서 통미봉남을 자초하였다. 노무현 정부는 북핵불용이라는 원칙하에 북핵문제를 남북관계 차원에서 풀려고 노력했지만 ‘핵은 남쪽을 겨냥한 것이 아니다’라는 북한의 대미협상 선호논리에 막혀 가다 서다를 반복하였다. 이명박 정부는 ‘비핵·개방·3000’ 구상을 내세웠지만 모든 대화와 교류협력의 단절로 비핵화도 이루지 못하고 남북관계도 진전시키지 못한 최악의 한반도 상황을 이끌었다. 박근혜 정부는 핵을 머리에 이고 살 순 없다는 강력한 비핵화 의지를 보여주고는 있지만, 정치적 상황과 관계없이 인도적 지원은 하겠다는 유연한 입장도 견지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의 정책이행이 주목된다. 북핵20년사는 한반도문제가 남북한의 문제이면서 국제적인 성격을 지닌다는 이중성을 그대로 보여주었다. 이러한 이중성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관련국들의 공동노력을 통한 조화로운 앙상블이 요구된다. 북핵문제와 남북문제 해결의 선순환관계, 한미공조와 한중협력의 균형적 발전, 평화통일을 위한 내외의 합의기반조성이 시급한 과제이다. 갈등과 협력의 이중주 속에서도 한반도문제와 관련된 모든 연주자들이 조화롭고 협력적인 앙상블을 가하는 순간 한반도 통일은 우리가 원하는 방향으로 우리 곁에 다가올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find practical implications to resolve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through discussing the efforts and frustrations behind this subject. The main target of the study is the historical consideration of 20 years of the nuclear issue from the Kim Young-sam to the incumbent Park Geun-hye administrations, although the main focus is on Lee Myung-bak and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s. Kim Young-sam government departed from the sentiment of “Blood is thicker than water,“ but it ended up as a hardliner policy from its firm position that it will not hold hands with a nuclear state. This eventually led to North Korea’s policy of “Talk to the US, Isolate the South.” Roh Moo-hyun government took the approach to resolve the nuclear issue in the context of inter-Korean relations under the principle of intolerance for nuclear weapons, but North Korea retorted with the argument that 'nuclear arsenals' were not aimed for the South and North-South relations repeated the stop-and-go from North’s preference to talk with the US. Lee Myung-bak administration’s Vision 3000 or “denuclearization, openness, and 3000” policy resulted in all dialogues, exchanges and cooperation with the North to come to a complete halt, unsuccessful in achieving denuclearization or improving relations resulting in the worst inter-Korean relations in history. The Park Geun-hye government also is endorsing a strong ambition of denuclearization and at the same time showing a rather flexible attitude to continue humanitarian assistance regardless of political situation. The 20 years of the nuclear history of the Korean Peninsula indicates such duality— one that it is both inter-Korean and international concern. In order to overcome the duality, it requires harmonious ensemble with the major actors in the region to join in efforts and overcome challenges. The main tasks at hand is to turn the current inter-Korean relations to a virtuous cycle, balanced development of US-Korea and South Korea-China cooperation, and seek consensus-based resolution toward the peaceful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Under the duet of conflict and cooperation, all the players involved with the Korean Peninsula should attempt to form harmonious and cooperative ensemble in order to head toward the direction we want in reunifi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