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탈북 청년의 가족관계경험에 관한 연구 - 내러티브 - 생애사 분석을 중심으로 - (An Autobiographical - Narrative Analysis of Family Experiences of Two Young Adults from North Korea)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16.03
32P 미리보기
탈북 청년의 가족관계경험에 관한 연구 - 내러티브 - 생애사 분석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 / 51호 / 219 ~ 250페이지
    · 저자명 : 전명희

    초록

    본 연구는 북한을 탈출하여 남한 사회에 정착하고 적응하고자 노력하고 있는 두 청년의 이야기를 가족관계 경험을 중심으로 하여 로젠탈의 내러티브-생애사 접근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두 연구 주인공이 경험한 인생여정에서 출발점인 원가족은 가정불화, 가족 상실과 해체의 경험으로 따스함을 경험하지 못하고 버려지는 경험을 하였던 곳이었으며,10대에는 가족 울타리가 없이 전전하며 목숨을 연명하는 시기를 보내왔다. 가족 재결합과 재구성, 상실 속에서 탈북과 남한 입국의 과정을 거치게 되었고, 20대 후반의 청년기에 이르러 원가족과의 심리적분리 및 새로운 가족 형성의 과업 앞에 놓여있다. 이러한 그들의 삶에서 현재 중요한 삶의 주제로는 부모나 북한 땅에서 받은 것이 없이 버려짐과 홀로서기의 경험이 지배적이지만 집안의기둥으로서 가족을 살리는 사명자로서 재북 가족과 탈북 가족들을 돌아보는 고단한 짐을 스스로 떠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남한과 북한 사회가 공유하고 있는 전통적인 ‘가족주의’ 의 가치가 표현된 것으로 오히려 남한에서는 희석되어 가는 가족을 위해 희생해야 한다고 여기는 관념으로서의 가족 의식이 깊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남과 여 두 청년이 가부장적 구조속에서 서로 다른 입장과 적응 전략을 통해 자기 및 가족 정체감을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남한에 입국하여 청년기를 보내고 새로운 가족을 만들어갈 탈북 청년들의 발달적 과업과 현재의 삶을 어떻게 통합할 수 있을지에 관한 논의를 제시해보았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family relationship experiences of two young adults from North Korea through Rosenthal's autobiographical-narrative methods. Series of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a male and a female subjects. In biographies of North Korean young adults who live in South Korea now, their original family suffered from parental conflict, family break-up and loss in their childhood, and the subjects experienced being left and neglected from their parents due to huger and hardship in North Korea situations in 1990s. However, they have hold their family burdens during the exile from North Korea to South Korea and still have been supporting their family members in North Korea or South Korea financially. Results indicated that young adults from North Korea keep the main value of "familism" in the patriarchical society as like South Korean people had and they have believed that they ought to sacrifice themselves, delaying their developmental task in the young adulthood. In addition, the research found that the male and the female have different strategies to survive and adjust on family gender perspectives. Based on the results, some implications and practical suggestions were discussed for the young adults from North Korea in the settlement proc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