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세기 말 미국 북 장로회의 한국 선교 추진 과정에 대한 연구 (Early Korea Mission Works by the North Presbyterian Church of U.S.A. in the 19th Century)

4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12.03
47P 미리보기
19세기 말 미국 북 장로회의 한국 선교 추진 과정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방학지 / 157호 / 279 ~ 325페이지
    · 저자명 : 이선호, 박형우

    초록

    본 논문에서는 우선 미국 북 장로회가 한국에 대해 선교를 개시하게 되는 배경과 그 구체적인 과정에 대해 1차 사료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한국에 대해 선교가 개시되게 된 배경에는 두 가지를 들 수 있는데, 윌리엄 그리피스(William E. Griffis, 1843~1928)의 책이 선교의 바탕을 제공하였다면 일본에서 일어난 이수정(李樹廷, 1842~1886)의 세례는 보다 구체적인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할 수 있다. 이 가능성을 직접 접한 것은 이수정에게 세례를 준 녹스(George W. Knox, 1853~1912)가 소속된 미국 북 장로회와, 루미스(Henry Loomis, 1839~1920)가 소속된 미국 성서공회였다.
    두 번째로 본문에서는 한국에 대해 미국 북 장로회의 선교가 본격적으로 추진된 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에는 일본과 중국 등 두 지부의 활동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미국 성서공회는 직접적인 한국 선교에 나서지 않고 이수정과 함께 성경을 번역하는 성과를 이루었다. 이에 반해 미국 북 장로회의 총무 엘린우드(Frank F. Ellinwood, 1826~1908)는 한국 선교 가능성에 대해 일본과 중국 두 지부의 선교사들에게 의견을 모아 줄 것을 요청했다. 그 결과 일본인 2명이 한국을 답사했으나 여러 이유로 시기상조라는 의견을 개진하였지만, 엘린우드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유사성에 주목하였기에 결국 한국 선교는 중국, 특히 산동지부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던 것이다.
    이렇게 논의가 진행되는 가운데 1883년 12월 14일 제남의 헌터(S. A. D. Hunter)와 리드(Gilbert Reid, 1857~1927)가 한국행을 지원했지만 선교본부는 주로 중국어와 한국어 습득에 따른 어려움을 이유로 이를 허락하지 않았다. 그러다가 이수정의 한국 선교 요청 소식이 전해지고 1884년 2월 한국 선교를 위한 기금 기부 의사가 전해지자 미국 북 장로회 선교본부는 같은 해 4월에 동 테네시의 젊은 의사 헤론(John W. Heron, 惠論, 1856~1890)을 한국의 첫 선교사로 임명해 한국 선교를 준비했던 것이다.
    세 번째로 본문에서는 헤론이 한국의 첫 선교사로 임명되었으나 알렌(Horace Newton Allen, 安連, 1858~1932)이 첫 선교사로 내한하게 된 배경과 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부분에서는 그간 거의 공개되지 않거나 활용되지 못한 사료들을 충실하게 인용하여 객관적인 사실들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알렌이 예기치 못하게 헤론보다 먼저 한국에 오게 된 데에는 세 가지의 이유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국 정부가 의료 사업 전개에 대해 호의를 가지고 있는 점, 이미 중국에 가서 한국행을 희망하고 있던 알렌이 소속되어 있던 장로회에 비해 미국 감리회는 한국에 파송할 선교사를 확보하는 데 보다 시간이 걸린 점, 그리고 알렌 부인의 건강 등의 문제로 알렌이 중국에서 선교 사업에 본격적으로 나서지 못한 점 등이 그것이었다.
    미국 북 감리회는 이수정의 세례 소식에 큰 반응을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오히려 미국에서 11월 견미사절단 일행을 만나 한국 선교에 대한 가능성을 엿본 가우처(John F. Goucher, 1845~1922)가 선교부에 이를 고려해 줄 것을 요청했다. 하지만 별 반응이 없자 그는 일본의 맥클레이(Robert S. Maclay, 1824~1907)에게 한국을 답사하도록 요청했다. 그리하여 맥클레이는 1884년 6월말 서양 선교사로서는 한국을 공식적으로 처음 방문해 고종(高宗, 1863~1919)으로부터 병원과 교육 사업에 대한 윤허를 받았지만 감리회 본부의 한국 선교에 대해 그리 적극적이지 않았다. 그런데 중국에 있던 북 장로회 소속의 알렌이 9월 방한하여 비록 선교활동을 하지 못하지만 박해를 받지 않는 것을 보고서야 스크랜튼(William Benton Scranton, 施蘭敦, 1856~1922) 등을 임명해 한국 선교에 나서게 되었던 것이다.
    한편 알렌은 1883년 10월 중국에 파송되었으나 부인의 건강 때문에 임지로 가지 못하고 남경과 상해에 머물렀다가 1884년 6월 주위 동료 의사들의 권유로 한국행을 모색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알렌은 가능성이 보이자 선교본부에 한국행을 요청했고 9월 20일 내한했다. 그리고 가족들을 데리고 와 최초의 상주 선교사가 되었다.
    반면에 첫 선교사로 임명된 헤론은 자신의 선교사 자원에 대해 의사를 번복한 적도 있고 일종의 완벽주의자여서 보다 훈련을 받고 파송 받고 싶어 했다. 그런 와중에 알렌이 한국의 첫 선교사로 임명되었으나 헤론은 한국에 대한 특별한 애정을 계속 유지하면서 알렌과 함께 선교 활동을 펼칠 수 있기를 기원했다. 결국 1885년 2월 헤론의 한국 파송 결정이 났고 선교사로 임명 받은 지 1년이 넘은 6월 내한하게 되었다.
    네 번째로 본문에서는 미국 북 장로회의 한국 선교 개시의 의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크게 보아 미국 북 장로회의 선교 개시에는 세 가지 중요한 의미가 있다. 우선 북 장로회의 한국 선교 개시는 한국,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 삼국과 미국 선교 본부의 복합적 관계 속에서 일어났다는 점이다. 또한 한국 선교의 개시는 미국 북 장로회 주도한 것은 사실이지만 미국 성서공회, 미국 북 감리회 등 복수의 기관 및 선교기관들의 관계 속에서 입체적으로 진행되었다는 점이다. 끝으로 한국에 대한 선교의 개시에는 선교본부의 의지 뿐 아니라 이수정의 활동, 한국 정부의 개화에 대한 의지 등이 맞물려 있었기에 한국에 대한 미국 북 장로회의 선교는 처음부터 교회, 병원, 학교 등 이른바 트라이앵글 메소드가 보다 용이하게 정착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되었다.

    영어초록

    Although Dr. John W. Heron (惠論, 1856~1890) was appointed the first missionary to Korea in April 1884, Dr. Horace N. Allen (安連, 1858~1932) became the first resident missionary in September 1884. By analyzing the correspondences from Japanese and Chinese Missions, as well as early materials housed in the Presbyterian Historical Society, Philadelphia, this study deals with the early Korean Mission works, especially by the Presbyterian Church of U.S.A. (PCUSA), centering on the appointment of Dr. Heron.
    The publishing of Korea, the Hermit Nation by W. E. Griffis (1843~1928) and baptism of Mr. Rijutei (李樹廷, 1842~1886) by Rev. George W. Knox (1853-1912) of the Presbyterian Church of U.S.A. paved the path for the evangelization of Korea. On receiving the reports about Mr. Rijutei from Mr. Knox, Mr. Frank F. Ellinwood (1826~1908), the Secretary, asked the opinions of the missionaries in Japan and China. As a result of this communication, two Japanese missionaries visited Korea in July 1883 and reported that the time was not quite right to begin mission works in Korea. So further consideration on the mission work in Korea proceeded with Shantung Station. On December 14, 1883, two missionaries from Shantung, Dr. S. A. D. Hunter and Mr. Gilbert Reid (1857~1927), applied for Korea Mission. However, the Board didn't approve them by reason of the objection by other missionaries of the Station and the language study. An appeal by Mr. Rijutei and contribution by David W. McWilliams (1838~1919) for Korea mission works moved the Board, and the young Dr. Heron from east Tennessee was appointed the first missionary to Korea in April 1884.
    Mr. Henry Loomis (1839~1920) of the American Bible Society in Yokohama contacted Mr. Rijutei and obtained translated Korean Bibles with him. However, the American Methodist Episcopal Church (MEC) didn't respond to this matter. But unexpectedly, Rev. John F. Goucher (1845~1922) had a chance to talk with Min, Yonk Ik (閔泳翊, 1860~1914), the leader of the Korean delegation to America, on the train to Washington in November 1883. Rev. Goucher felt confidence on the mission works in Korea and asked the Board of MEC for action, but to no positive responses. So he asked Rev. Robert S. Maclay (1824~1907) to visit Korea. Rev. Maclay formally visited Korea as a missionary minister in June 1886 for the first time and got permission for hospital and educational works from King Kojong (高宗, 1863~1919). However, after Dr. Allen's arrival in Korea in September 1884, MEC appointed three missionaries to Korea in December 1884: Dr. W. B. Scranton (施蘭敦, 1856~1922), Mrs. Mary E. Scranton (施蘭敦, 1832~1909), and Rev. H. G. Appenzeller (亞扁薛羅, 1858~1902).
    Dr. Allen sailed to China in October 1883 but couldn't get to his destination, Shantung, due to the illness of his wife and instead stayed in Nanking and Shanghai. His medical fellows suggested he go to Korea. Dr. Allen searched for a possible position in Korea and applied to go to Korea in June 1884. The Board of PCUSA gave him permission and transferred him to Korea Mission. On receiving permission, he landed in Chemulpo on September 20, 1884, and became the first resident missionary for Korea.
    The first appointee, Dr. Heron, who had changed his application before, wanted to sail as a well-trained state. Meanwhile, Dr. Allen was appointed to Korea, but Dr. Heron wished to complete his mission work in Korea with Dr. Allen. Afterwards, the Board permitted Dr. Heron to sail to Korea and he landed in June 1885.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학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