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2차 북핵위기와 한반도, 동북아 질서 변화 (North Korean Nuclear and Structural Changes of the International Order in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08.01
23P 미리보기
1,2차 북핵위기와 한반도, 동북아 질서 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신대학교 민주사회정책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 13호 / 101 ~ 123페이지
    · 저자명 : 박순성

    초록

    1·2차 북핵위기의 전개 과정은 일차적으로는 전통적 안보 갈등에 직면한 북한과 미국의 협상전략에 주목하게 만들지만, 근본적으로는 1980년대 말부터 시작된 한반도·동북아 질서 변화에 주의를 기울이도록 한다. 1980년대 말 냉전체제의 해체와 함께 한반도·동북아에서는 북한에 불리한 세력불균형이 형성되었다. 이러한 세력불균형은 1980년대 말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외교적 방법을 통해 평화적으로 관리되었으나, 1992년 가을부터 한국과 미국의 대북압박정책이 가동되면서 1차 북핵위기가 시작되었다. 전형적인 안보딜레마 상황에 빠진 북한과 미국은 중재자의 노력으로 1994년 10월 갈등의 평화적 해결에 합의하였다. 하지만, 합의 이후에도 북한과 미국의 내부 사정으로 북핵위기는 완전한 해결에 이르지는 못하였다. 남한이 주도하는 ‘포용’과 ‘병행’의 대북정책으로 한반도는 2000년 이후 평화와 통일을 향한 길로 접어들었으나, 미국 네오콘의 대북압박정책으로 2002년 10월 2차 북핵위기가 발발하였다. ‘군사노선’과 ‘평화노선’이 부딪친 6자회담에서 한반도·동북아 질서와 관련하여 영향력이 강화된 한국과 중국의 노력으로 북한과 미국은 결국 평화적 해결에 합의하였다.

    영어초록

    Two things are worth noticing from the first and second North Korean nuclear crises: negotiation strategies of Nor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faced with traditional security conflicts; structural changes of the international order in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 This paper gives more attention to the latter than the former. Since the end of the Cold War, the balance of power in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 turned unfavorable to North Korea. In the beginning this situation was managed by diplomatic measures, but South Korea and the U.S. took a hard line towards North Korea in the second half of 1992. March 1993 the first nuclear crisis was broken out. October 1994 North Korea and the U.S. signed the “Agreed Framework”, which was not to resolve entirely the crisis because of negative influences of the domestic circumstances of both North Korea and the U.S. The “sunshine policy” of South Korea and the inter-Korean summit in June 2000 opened a door towards the peace and unific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October 2004 the second nuclear crisis was, however, provoked by the hawkish policy of the Bush administration and tension was built up by North Korean and US hard-line policies. South Korea and China, whose position in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 was beginning to be strengthened from the end of the 1990th, succeeded in persuading North Korea and the US to agree upon a peaceful resolution of crisi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주사회와 정책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