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담론복합체, 정치적 자본, 그리고 위기의 민주주의:종북(從北)담론의 텍스트 구조와 권력 재창출메커니즘의 탐색적 연구 (Abstract 115Discourse Complex, Political Capital, and the Crisis of Korean Democracy:Textual Analysis of ‘Pro-North Korea’ Discourse and Understanding the Mechanism of Recreating Power Order)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13.12
41P 미리보기
담론복합체, 정치적 자본, 그리고 위기의 민주주의:종북(從北)담론의 텍스트 구조와 권력 재창출메커니즘의 탐색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 수록지 정보 : 미디어, 젠더 & 문화 / 28호 / 71 ~ 111페이지
    · 저자명 : 이병욱, 김성해

    초록

    2012년 대선에서 보수 언론의 종북 보도는 유별났다. 일부 보수적 신문사와 방송국은 특정 집단을 대상으로 종북세력이라는 낙인을 붙였다. 또한 언론의 종북 보도는 사회 전반에 걸쳐 보수적인 분위기를 형성했고 결과적으로 새누리당의 정권 재창출을 이끌어 냈다. 현존하는 권력관계에 의해 생산된 담론이 지배질서를 어떻게재창출하는지 잘 보여주는 사례였다. 그러나 정치적 목적과 효과를 가장 잘 대변하는 종북담론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은 없었다. 노무현과 이명박 정권을 거치면서 누가 종북담론을 주로 생산하고 있으며, 종북담론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고, 또 어떤메카니즘을 거쳐 정권 재창출에 기여하고 있는가에 대한 분석도 부족했다. 이 연구는 먼저 이론적 논의를 통해 담론복합체가 무엇이고 어떤 특성을 갖고 있는지 보았다. 더불어 한국 사회에서 어떻게 발전해 왔는가를 살폈다. 그 다음, 비판적 담론 분석을 둘러싼 다양한 논점과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종북담론 분석의 이론적 근거와방법적 타당성을 제시했다.
    본 연구를 위해 동아일보, 문화일보, 서울신문, 한국일보, 경향신문, 한겨레 등 6대 일간지에서 나온 종북을 다룬 사설과 칼럼을 분석했다. 검색어로 ‘종북’ 및 ‘친북(親北)’을 사용했고 정권별 변화에 따른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수집기간은 노무현정부가 시작된 2003년 2월 25일에서 이명박 정권이 끝나는 2013년 2월 24일까지로 정했다. 담론의 구성요소로 종북에 대한 정의, 종북을 둘러싼 표상체계, 종북의 근거 및 해결책 등을 선정했다.
    분석을 통해, 종북에 대한 언론의 보도는 사실에 기반을 둔 객관성과는 거리가 먼 정치적 재구성이라는 점이 확인되었다. 종북담론은 언론사의 이념적 입장에 따라 전혀 다르게 재구성되고 있었으며 정권의 재창출이라는 특정한 정치적 목적과 깊은 관련이 있었다. 종북의 표상체계와 논리구조 역시 언론사에 따라 다양한 가치와 주장이 자의적으로 접목된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자들은 이를 토대로 언론의 종북 보도는 명백한 정치성과 역사성을 가진 담론으로 기능했으며 종북 담론의 생산과 유통 및 소비를 통해 권력 재창출이 가능했다는 점을 확인했다. 이 연구는 담론복합체를 통한 여론 왜곡과 민주주의 위기를 고민하는 한편 담론정치의 구조를 보다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발판이 되었으면 한다.

    영어초록

    The news coverage over pro-North Korean groups and individuals were salient during the last presidential election in 2012. Naming in way of de-legitimizing certain sector as public enemy resulted in landsliding victory for the ruling political party. This paper attempts to decipher the whole processes of discourse strategies mediated by major newspapers in line with political struggle. For this purpose, first of all, the concept of ‘Discourse Complex’ was suggested so as to explain how Korean conservative news media had been able to lead a group of power elite.
    This paper, then, paid particular attention to dissecting ‘pro-North Korea’discourse known as ‘Jongbook’ by dividing it into definition, attached value,causes and remedies. Total 443 of columns and editorials were collected from such newspapers as <DongAilbo> <Moonhwailbo> <Hankookilbo> <Seoulshinmun><Hangyereshinmun> and <Kyonghwangshinmun>.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various non-profit organizations and social activists were identified as pro-North Korean one only because of their supporting for such values including peace,equality, justice and self-reliance. Not only the logic and grounds had bearing little truth but those conservative papers had taken a double standard in way of de-moralizing political opponents. Unconditional support for the status quo helped by political advocacy groups were also evident.
    The authors hope this study can be a guiding post for deciphering the way of making Korean power order in time of digital revolution.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talk about recovering public sphere in way of securing fair and sound competition of discourses is another point of wis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