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집단지성 기반 학습자료 북마킹 서비스 시스템 (Learning Material Bookmarking Service based on Collective Intelligence)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14.06
14P 미리보기
집단지성 기반 학습자료 북마킹 서비스 시스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 수록지 정보 : 지능정보연구 / 20권 / 2호 / 179 ~ 192페이지
    · 저자명 : 장진철, 정석환, 이슬기, 정치훈, 윤완철, 이문용

    초록

    최근 IT 환경의 변화에 따라 웹 서비스를 기반으로 대규모 사용자 대상의 상호 참여적인 MOOC(Massive Open Online Courses)과 같은 온라인 교육 환경이 부상하고 있다. 그러나 온라인 교육 시스템은 원거리로 학습이 이루어짐에 따라 학습자의 자발적 동기를 꾸준히 유지하기 어려우며, 또한 학습자 간에 지식을 공유하고 공유한 지식을 활용하는 기능이 부족하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구성주의적 학습이론과 집단지성에 기반하여 학습자가 보유한 학습자료를 공유하고 개인화된 학습자료 추천을 받을 수 있는 학습자료 북마킹 서비스인 WeStudy를 구현하였다. 위키피디아 (Wikipedia), 슬라이드쉐어 (SlideShare), 비디오렉쳐스 (VideoLectures) 등 현존하는 집단지성 기반 서비스들의 주요 기능으로부터 필요한 집단지성 기능들을 검토하였으며, 본 서비스의 주요 기능으로 1) 리스트 및 그래프 형태의 학습자료 리스트 시각화, 2) 개인화된 학습자료 추천, 3) 보다 상세한 학습자료 추천을 위한 관심 학습자 지정 등을 도출하여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이후, 웹 기반으로 구현된 세 가지 주요기능 별로 개량된 휴리스틱 사용성 평가 방법을 통해 개발된 시스템의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10명의 HCI 분야 전공자 및 현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정량적 및 정성적인 평가 결과, 세 가지의 주요 기능에서 전반적으로 사용성이 우수한 것으로 판정되었다. 주요 기능 별 정성적인 평가에서 도출된 여러 마이너 이슈들을 반영할 필요가 있으며, 향후 대규모 사용자를 대상으로 본 서비스를 보급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여 자발적인 지식 공유 환경을 조성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영어초록

    Keeping in line with the recent changes in the information technology environment,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that supports multiple users’ participation such as MOOC (Massive Open Online Courses) has become important. One of the largest professional associations in Information Technology, IEEE Computer Society, announced that “Supporting New Learning Styles” is a crucial trend in 2014. Popular MOOC services, CourseRa and edX, have continued to build active learning environment with a large number of lectures accessible anywhere using smart devices, and have been used by an increasing number of users. In addition, collaborative web services (e.g., blogs and Wikipedia) also support the creation of various user-uploaded learning materials, resulting in a vast amount of new lectures and learning materials being created every day in the online space. However, it is difficult for an online educational system to keep a learner’ motivation as learning occurs remotely, with limited capability to share knowledge among the learners. Thus,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which materials are needed for each learner and how to motivate learners to actively participate in online learning system. To overcome these issues, leveraging the constructivism theory and collective intelligence, we have developed a social bookmarking system called WeStudy, which supports learning material sharing among the users and provides personalized learning material recommendations. Constructivism theory argues that knowledge is being constructed while learners interact with the world. Collective intelligence can be separated into two types: (1) collaborative collective intelligence, which can be built on the basis of direct collaboration among the participants (e.g., Wikipedia), and (2) integrative collective intelligence, which produces new forms of knowledge by combining independent and distributed information through highly advanced technologies and algorithms (e.g., Google PageRank, Recommender systems). Recommender system, one of the examples of integrative collective intelligence, is to utilize online activities of the users and recommend what users may be interested in. Our system included both collaborative collective intelligence functions and integrative collective intelligence functions. We analyzed well-known Web services based on collective intelligence such as Wikipedia, Slideshare, and Videolectures to identify main design factors that support collective intelligence. Based on this analysis, in addition to sharing online resources through social bookmarking, we selected three essential functions for our system: 1) multimodal visualization of learning materials through two forms (e.g., list and graph), 2) personalized recommendation of learning materials, and 3) explicit designation of learners of their interest. After developing web-based WeStudy system, we conducted usability testing through the heuristic evaluation method that included seven heuristic indices: features and functionality, cognitive page, navigation, search and filtering, control and feedback, forms, context and text. We recruited 10 experts who majored in Human Computer Interaction and worked in the same field, and requested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valuation of the system. The evaluation results show that, relative to the other functions evaluated, the list/graph page produced higher scores on all indices except for contexts & text. In case of contexts & text, learning material page produced the best score, compared with the other functions. In general, the explicit designation of learners of their interests, one of the distinctive functions, received lower scores on all usability indices because of its unfamiliar functionality to the users. In summary, the evaluation results show that our system has achieved high usability with good performance with some minor issues, which need to be fully addressed before the public release of the system to large-scale users. The study findings provide practical guidelines for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various systems that utilize collective intellig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지능정보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