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물 윤리 관점에서 『정글북』 다시 읽기 (Rereading The Jungle Book from the Perspective of Animal Ethics)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24.02
35P 미리보기
동물 윤리 관점에서 『정글북』 다시 읽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교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문학 / 92호 / 299 ~ 333페이지
    · 저자명 : 김선재

    초록

    본고는 그간 제국주의 옹호자의 혐의에서 자유롭지 않기에 국내에서 비평적으로큰 관심을 받지 못한 러드야드 키플링(Rudyard Kipling)의 대표작 『정글북』(The Jungle Book, 1894)을 포스트휴머니스트이자 동물 이론연구가인 캐리 울프(Cary Wolfe)와 도나 해러웨이(Donna J. Haraway)의 관점에서 다시 읽는다. 키플링의작품을 바라보는 탈식민주의 비평적 관점을 놓치지는 않되, 무엇보다 작품에서 드러나는 정글 생태에 관한 작가의 관심과 상상력, 동물에 대한 호기심과 애정을 집중적으로 조망한다. 본고는 『정글북』이 동물 윤리와 생명의 문제에 관해 던지는 질문들의 중요성과 현대적인 울림을 적극적으로 고찰하기 위해, 동물 학대와 생명 윤리 문제에 관한 최근의 시사적인 이슈들을 겹쳐 놓고 읽는다. 이는『정글북』이 세월을 뛰어 넘어 여전히 가장 사랑받는 아동문학의 고전 중의 하나로 손꼽히는 이유와 그 의미를 되짚어보는 작업이기도 하다. 본문의 첫째 장에서는 정글북 속 단편 「하얀 물개」(The White Seal)에서 인간 서술자의 시선이 그에게 이야기를 들려준 굴뚝새 림메르신(Limmershin)과 이야기 속 물개 코틱(Kotick)의 고통에 잠기고 이입하는 서술 방식을 조망하며, 작품이 고통에 노출된 취약한 몸이라는 공통 요소에서 동물과 인간의 관계를 새롭게 바라볼 수 있는 통로를 마련한다고 주장한다. 본문의 둘째 장에서는 『정글북』 속 단편 「코끼리들의 투마이」(Toomai of the Elephants)와 모글리(Mowgli)의 정글에서의 모험을 다룬 단편들을 함께 읽으며 작품이 재현하는 인간과 동물 사이의 깊은 교감의 차원을 면밀히 살피고, 작품이 보여주는 포스트휴먼적 동물 윤리를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반려 동물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 높아진 반면 동물 실험과 학대는 여전히 계속되고 있는 역설적 현실을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타개할 방안을 고민해보는 것으로 글을 마친다.

    영어초록

    This paper revisits Rudyard Kipling’s The Jungle Book (1894) for what it says about animals through the lenses of Cary Wolfe and Donna J. Haraway, both of whom are prominent figures in the field of animal studies and human-animal relations. While acknowledging charges of imperialism and racialism against Kipling, this paper suggests that we separate the author’s fascination with the ecology of the jungle, his brilliant reimagination of it, and his love of animals featured in the novel from his notoriety for standing up for British imperialism. In doing so, this paper examines how the novel allows us to rethink the relationship between animals and humans as well as the question of how to understand, protect, and respect life. In “The White Seal” chapter, in particular, the struggle of Kotick to find a safe island is narrated by a human narrator, who was told the story by Limmershin, a winter wren, and is heavily immersed in the pain of Kotick. With this narrative technique, the chapter underscores the possibility of embracing the pain of animals as part of ours. In “Toomai of the Elephants,” Little Toomai, a ten-year-old boy, and Kala Nag, an old wild elephant, share intimate desires, fear, and ambition beyond the reach of the senior elephant-handlers. While awakening our sense of wonder at the animal world, which is already part of us according to Wolfe, The Jungle Book stands as a significant and matchless work of art dealing with animals in literary hist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