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론의 빈곤과 북핵 위기: 북핵문제 해결 실패에 대한 회고적 비판 (Poverty of Theory and North Korea Nuclear Crisis : A Critical Review of Failure of North Korea Nuclear Problem Resolution)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25.03
28P 미리보기
이론의 빈곤과 북핵 위기: 북핵문제 해결 실패에 대한 회고적 비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부경대학교 글로벌지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Journal of Global and Area Studies / 9권 / 1호 / 383 ~ 410페이지
    · 저자명 : 차창훈

    초록

    이 글은 지난 30여 년간의 북핵 위기와 그 해법 실패의 원인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북한의 핵개발과 북미 협상은 탈냉전 이후 한반도 세력균형이 붕괴된 시점에 미국의 공격대상이 된 북한의 생존게임이었다는 점에 주목하고자 한다. 북핵 위기와 전개방식은 세 력균형이 붕괴된 구조적 위기에서 출발하였기에 그 해법 역시 구조에 대한 인식에서부터 찾 을 수 있다. 냉전의 해체와 한반도 세력균형의 붕괴로 고립된 북한은 생존과 안보를 위해 내 적 균형과 외적 균형의 선택지가 있었다. 외적인 균형의 선택지인 북미 및 북일 수교가 불가 능했던 상황에서 북한은 핵과 미사일 개발의 방식으로 내적 균형의 선택지를 택하였다. 핵개 발 선택지는 북한에게 1994년 북미 제네바 합의를 통해서 핵동결과 경수로를 얻어 주었고, 1998년 미사일 협상으로 2000년 북미 수교의 목전에 이르렀다. 그러나 2000년 부시 행정 부로의 정권 교체는 대북정책의 궤도를 바꾸었다. 제네바 합의가 파기되었고, 임박했던 북미 수교가 무산되었다. 국제정치의 현실주의 이론에 따라서 와해된 세력균형이 발생시키는 위협 인식 속에서 선택될 수밖에 없는 필연을 이해한다면 해법은 간단해진다. 압박과 제제 그리고 제네바 합의와 같은 미봉책의 협상이 문제였다. 상대의 위협인식을 제거해줄 구조의 변경이 필요했다. 그것은 북한이 요구했던 적대관계 청산과 북미수교였고, 2000년 대통령선거에서 패배하기전까지 클린턴 행정부는 그 지점에 도달하려 했다. 이 해법에 이르지 못했기에 한반 도에서 북미관계는 북한의 핵미사일 실험에 따른 도발, 긴장, 위기, 대결이 반복되었다. 이제 북한은 핵⋅미사일 보유국이 되어 냉전의 고아로 남아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intends to review U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 nuclear crisis during the last three decades. North Korea nuclear development and the negotiation between US and North Korea was in fact a kind of survival game for North Korea, which had been an assault target by US. North Korea nuclear crisis and its evolution was a structural effect upon collapse of balance in Korean Peninsula. North Korea had two options, internal balancing and external balancing. While external balancing by normalization with US and Japan had been unlikely to be accomplished, nuclear and missile development was sought as an internal balancing. Nuclear development options was traded with light water reactor at 1994 Agreed Framework in Geneva and missile deal in Pyongyang seemed to reach normalization with US in 2000. Presidential election in 2000, however, changed everything. Geneva deal was abandoned and the imminent US-North Korea normalization was aborted. Structural realism set us wear the lense to resolve the problem. The threat perception was aroused by the structure of international system. The removal of threat perception could be resolved by change of structure rather than pressure and sanction. That resolution was establishment of bilateral diplomatic ties which North Korea had asked many times before, which Clinton administration tried to reach. Becaue US had not resolved this matter, Korean Peninsular watched numerous North Korea nuclear and missile tests and military tension and crisis repeated. North Korea, now becoming a nuclear state, still remains a cold war orph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Journal of Global and Area Studies”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