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懶婦를 모티프로 한 한국 한시와 국문가사의 대비적 고찰 (A Comparison of Korean Sino - Poetry and Korean Gasa based on the Motif of Nabu(lazy woman))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16.12
35P 미리보기
懶婦를 모티프로 한 한국 한시와 국문가사의 대비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고전문학연구 / 50호 / 5 ~ 39페이지
    · 저자명 : 이국진

    초록

    한국에서 懶婦를 모티프로 한 한시의 출현과 전개는 懶婦를 연민의 시선으로 바라보고 그들의 애상적인 정조를 반영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한국에서 懶婦를 모티프로 한 최초의 한시 작품인 洪侃(?~1304)의 <嬾婦引>은 사치와 향락을 일삼는 권세가와 대비하여 베짜는 여인들의 가난하고 궁핍한 모습을 형상화 하였다. 이후 18세기 이전까지 나타나는 懶婦를 모티프로 한 한국 한시들도 모두 여인들의 애환과 애상적인 정조를 부각하였다. 하지만 이런 문학적 현상은 작가들의 사회의식이 적극적으로 반영된 것이 아니라, 악부풍의 시적 분위기를 재현하기 위한 의도가 작용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洪侃의 작품이 철저히 중국 시풍을 염두에 두고 창작되었으며 작품에 대한 비평도 唐風의 구현 여부에 초점이 맞춰진 점, 이후 18세기 이전까지의 작품들도 생활고에 시달리는 가난한 여인들의 문학적 전형을 반복 재생한다는 점을 통해 이를 알 수 있다.
    그런데 18세기부터는 懶婦를 모티프로 한 한국 한시의 양상이 懶婦의 부정적인 모습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바뀐다. 이는 조선 후기에 이르러 유교적 가부장제의 규범화가 매우 강고해지는 현상이 반영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그리하여 18세기부터는 懶婦의 부정적인 모습을 강조하는 문학적 전형이 조선 후기 한시사적인 흐름 속에 자리하게 되었다. 李瑞雨(1633~1709)의 <嬾婦吟>을 차운한 李應協(1709~1772)과 林應聲(1806~1866)의 작품들이 모두 애상적인 여인의 정조가 아닌 추하고 게으른 여인상을 형상화 하는데 집중한 점, 18세기 이후 작품들이 모두 추하고 게으른 여인상을 기반으로 한 점은 懶婦의 문학적 전형이 변모하고 고착화되는 양상을 잘 보여준다. 이 과정에서 시어머니와 며느리의 대화체를 적극 활용하여 인물의 내면을 입체적으로 구체화 한 朴守儉(1629~1698)의 <懶婦篇>과 추하고 게으른 여인상의 다양한 면모를 실감나고 생동감 있게 형상화 한 李學逵(1770~1835)의 <嬾婦賦>은 작품의 개성과 문학성이 단연 돋보인다.
    18세기 이후 창작된 것으로 보이는 국문가사 <나부가>는 이와 같은 한시사적 맥락 속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국문가사 <나부가>는 예상 독자층이 여성이었으며, 창작 동기는 여성을 선도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창작자는 여전히 사대부 남성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국문가사 <나부가>는 18세기 이후 한국 한시사에 보편화 된 懶婦의 문학적 전형을 자연스럽게 수용했던 것이다. 또한 이정환본 <나부가>에서 두드러지는 시어머니와 며느리의 대화체 형식과 내용도 朴守儉의 <懶婦篇>과 매우 유사하다는 점에서 그 영향 관계를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따라서 앞으로 이와 같은 문학적 상관관계들을 고려한다면, 기존 연구 성과에서 <나부가>의 섬세한 분석을 통해 밝혀진 다양한 문학적 의미들도 더 다양하고 온전하게 구명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영어초록

    A Comparison of Korean Sino-Poetry and Korean Gasa based on the Motif of Nabu(lazy woman)

    The appearance and development of Korean sino-poetry based on the motif of Nabu(lazy woman) proceeded through the attitude of viewing them with compassion and the reflection of their sorrowful mood. Also, Korean sino-poetry based on the motif of Nabu(lazy woman) before the 18th century stressed sorrowful and melancholy mood of women. However, this literary phenomenon does not properly reflect the social consciousness of the writers but was a result of the writers’ intention to create the poetic atmosphere similar to akbu style.
    From the 18th century, however, the aspect of Korean sino-poetry with the motif of Nabu(lazy woman) turns into the direction of emphasizing the negative sides of Nabu(lazy woman). This can be seen as a result of the social change in the late Joseon era, when regulations and rules of Confucian patriarchy got deeply entrenched. So from the 18th century, the literary archetype that emphasizes the negative aspects of Nabu(lazy woman) was settled in the historical flow of Korean sino-poetry. In this background, <Nabupyun> by Soogeum Park(1629~1698), which multi-dimensionally portrayed the inner side of the characters by actively utilizing the dialogue of mother-in-law and daughter-in-law, and <Nabubu> by Hakgyu Lee(1770~1835), which depicted the various aspects of an ugly and lazy woman in a realistic and lively way, are outstanding in their originality and literary value.
    <Nabuga>, a work of Korean gasa which seems to have been written after the 18th century, should be understood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Korean sino-poetry. <Nabuga> naturally accepted the literary archetype that was generalized in the history of Korean sino-poetry after the 18th century. If such literary correlation is considered, various literary meanings, which were revealed through detailed analysis of <Nabuga> in the previous studies, are likely to be illuminated in more various and complete way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