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비자 매매계약에 있어 계약부적합성에 따른 구제수단 (Rechtsbehelfe von Verbrauchern bei Vertragswidrigkeit in Kaufverträgen)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23.08
35P 미리보기
소비자 매매계약에 있어 계약부적합성에 따른 구제수단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소비자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소비자법연구 / 9권 / 3호 / 9 ~ 43페이지
    · 저자명 : 김상중

    초록

    이 논문은 소비자매매법의 제정을 바라면서 매도 사업자의 계약위반에 따른 소비자의 구제수단을 입법적으로 검토한 글인데, 소비자의 구제수단과 그 행사기간 등에 관하여 얻어진 입법제안은 다음과 같다.
    먼저, 소비자에게 계약에 적합하지 않은 물품이 제공되는 경우 소비자는 추완청구, 대금감액, 계약해제와 손해배상의 권리를 가지며 이들 권리는 양립할 수 있는 이상 경합적으로 인정되어야 한다(입법사항 1). 다음으로 부적합한 이행에 대한 소비자의 추완청구권은 이행우선과 계약유지의 원칙, 현실의 거래실무 등에 비추어 인정되어야 하며(입법사항 2) 다른 구제수단에 우선하는 구제수단으로서 입법되어야 한다(입법사항 3, 4). 한편 매수 소비자는 하자 등의 부적합한 이행에도 불구하고 이를 추완할 수 없는 경우에는 대금감액 또는 계약해제의 권리를 갖게 되는데, 양 권리는 선택적 관계로 구성되어야 한다(입법사항 5). 또한 추완청구, 대금감액 또는 계약해제의 권리행사에도 불구하고 계약위반에 따른 별도의 손해를 입은 소비자는 그 배상을 청구할 수 있어야 하는데, 본 연구는 하자손해와 하자확대손해 여부에 따라 입법할 것을 제안하였다(입법사항 6).
    이상의 소비자 구제수단의 요건⋅내용과 비교하여 권리행사기간에 관한 입법 제안은 다소 논쟁의 여지를 갖고 있다. 먼저, 계약부적합에 따른 구제수단을 행사함에 있어서 매수 소비자가 이를 사전에 통지해야 할 의무(책무)를 부담하는지 여부인데, 본 연구는 소비자의 통지의무를 규정하지 않는 것으로 제안하였다(입법사항 7). 다음으로 소비자권리의 행사기간(장단)과 그 기산방식 등에 관하여 본 연구는 ‘2년의 주관적 기산 + 5년의 객관적 기산 방식’(제1안)과 ‘3년의 객관적 기산’ 방식(제2안)을 제안하였는데, 제1안을 최종적으로 지지하고 있다(입법사항 8). 다만 하자확대손해에 대한 소비자의 손해배상청구권은 주관적 기산 하의 3년, 객관적 기산에 따른 10년의 권리행사기간을 제안하였다(입법사항 10). 그리고 본 연구는 현행민법에 따르면 하자담보책임에 의한 매수인의 권리행사기간이 제척기간으로 파악되는 것과 달리 소비자의 추완이행과 손해배상청구권에 대해서는 소멸시효로 구성해 보았다(입법사항 9). 끝으로 계약부적합의 주장ㆍ증명책임과 관련하여 소비자가 하자 등의 계약부적합을 주장ㆍ증명하되, 인도한 날로부터 1년 내에 부적합함이 드러난 경우에는 인도 당시부터 하자의 존재를 추정하여 소비자의 증명곤란을 완화하는 규정을 제안하였다(입법사항 11).

    영어초록

    Diese Arbeit behandelt die Verabschiedung des Verbraucherkaufvertragsgesetzes und schlägt einen gesetzgeberischen Rechtsbehelf für Verbraucher im Falle einer Vertragsverletzung durch einen Verkäufer vor. Die Vorschläge zu Verbraucherrechten und deren Ausübungsfrist lauten wie folgt.
    Zunächst im Falle von der Lieferung einer nicht vertragsgemäßen Ware hat der Verbraucher die Rechte zur Nacherfüllung, Preisminderung, Vertragsauflösung bzw. zum Schadensersatz und diese Rechte sollten kumulativ anerkannt werden können(1. Vorschlag). Sodann muss das Recht des Verbrauchers auf Nacherfüllung bei nicht ordungsgemässer Leistung im Hinblick auf den Grundsatz der Erfüllungspriorität und der tatsächlichen Geschäftspraxis anerkannt werden(2., 3. Vorschlag) und Vorrang vor anderen Rechtsbehelfen haben(4. Vorschlag). Der Verbraucher hat dazu das Recht, den Preis zu mindern oder vom Vertrag zurückzutreten, wenn eine nicht vertragsgemäße Leistung nicht nacherfüllt werden kann(5. Vorschlag). Darüber hinaus kann der Verbraucher neben dem Recht auf Nacherfüllung, Minderung bzw. Rücktritt den Ersatz von dem noch verbleibenden Schaden verlangen und schlägt die Arbeit die Regelung des Ersatzanspruchs bei der Unterscheidung zwischen Mangel- und Mangelfolgeschäden vor(6. Vorschlag).
    Im Vergleich zu den oben genannten Voraussetzungen und Inhalten der Rechtsbehelften ist der gesetzgeberischen Vorschlag zur deren Ausübungsfrist noch umstritten. Zunächst stellt sich die Frage, ob der Verbraucher verpflichtet ist, den Unternehmer zum Inanspruchnehmen seiner Rechtsbehelfen vorab über die Vertragswidrigkeit zu informieren. In dieser Studie wird vorgeschlagen, diese Hinweispflicht des Verbrachers nicht festzulgen(7. Vorschlag). Dazu im Hinblick auf die Ausübungdsdauer von Verbraucherrechte und diese Ablaufszeitpunkte überprüft die Arbeit die „subjektive Ablaufsmethode von 2 Jahren + obkektive Ablaufsmethode von 5 Jahren“ (1. Modelle) und die „objektive Ablaufsmethode von 3 Jahren“ (2. Modelle) und wird dann die 1. Modelle vorgeschlagen (8. Vorschlag). Für den Ersatzanspruch des Verbrauchers bei Mangelfolgeschäden beträgt die hier vorgeschlagene Ausübungsfrist jedoch 3 Jahre beim subjektiven Ablauf und 10 Jahre beim objektivem Ablauf(10. Vorschlag). Schliesslich soll der Verbraucher zur Geltendmachung seiner Behelfen die Vertragswidrigkeit behaupten und beweisen. Wenn jedoch die Nichtkonformität innerhalb eines Jahres nach em Lieferdatum festgestellt wird, wird nach dem Gesetzesvorschlg das Vorliegen des Mangels ab dem Zeitpunkt der Lieferung vermutet, was die Beweisschwierigkeiten des Verbrauchers verringern kann(11. Vorschla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소비자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