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박태원 기획 권영희 집필 『갑오농민전쟁』 제3부의 서술 특성과 서사 의미 (Reading Kwon Young-hee’s narration and narrative of Gabo Peasant War (Gabo nongmin jeonjaeng) Part 3)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23.10
44P 미리보기
박태원 기획 권영희 집필 『갑오농민전쟁』 제3부의 서술 특성과 서사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근대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근대문학연구 / 24권 / 2호 / 179 ~ 222페이지
    · 저자명 : 염인수

    초록

    박태원의 역사소설 『갑오농민전쟁』 제3부는 박태원이 기획하고 권영희가 집필한 책이다. 『갑오농민전쟁』 제3부는 박태원의 투병 상황 또는 북한의 이념적 경직성 심화 때문에 인물과 역사가 조야하게 재현된 결과물로 해석되기 쉬웠으며 그전 책들의 입체성과 핍진성이 사라지고 경직성과 이념성이 대두되었다고 논의되는 경우가 많았다. 우리 논문은 이제까지 적극적으로 해석되지 않았던 『갑오농민전쟁』 제3부에 초점을 맞춰, 서술 특성과 서사 의미에서 집필자 권영희가 미친 영향을 추론하고 이를 통해 제3부의 고유성을 도출해보고자 했다.
    갑오농민전쟁』 제3부의 서술 특성은 서술자가 인물의 말을 재현하는 서술화법에서 서술자의 말과 인물의 말이 서로 분리되는 경향이 강하고, 오지영의 『동학사』를 이야기 전개의 자료로 참고하면서 적극적으로 오지영의 문장을 차용하기도 했다는 것이다. 이런 특성을 통해서는 계급 사이 말의 대립이라는 <갑오농민전쟁 기획> 전체의 주제구성이 직접적으로 드러난다.
    제3부 서사의 의미를 해석하기 위해 우리 논문이 주목한 것은 이전 책들과 달리 여성 인물들이 농민 전쟁에 직접 참여해 싸우는 이야기가 포함되었다는 점이다. 제3부 14, 15, 16절에서 여성을 실천적 주체로 서술한 것은 이 책을 권영희가 집필했기 때문이라고 추론한다. 우리 논문은 이 세 여성 인물 즉 윤영아, 한음전, 이름 없는 여성의 이야기가 각각 史實과 事實에 기초한 것임을 밝히고, 이 여성 인물들에게 실천적 주체성을 새롭게 부여한 것이 제3부 서사의 고유성이라고 해석하였다.
    『갑오농민전쟁』 제3부에는 <갑오농민전쟁 기획> 속 여성 인물 형상의 새로운 가능성인 ‘싸우는 여성’과 ‘사랑하는 여성’이 나타났다. 권영희는 평민 계급이 충실한 주체로서 비극적 패배를 견디고 싸움을 이어가는 역사소설을 쓰겠노라는 박태원의 기획을 완성하면서, 제3부 집필을 통해 여성 평민 주체의 형상을 부가하였다.

    영어초록

    Part 3 of Park Tae-won's historical novel Gabo Peasant War is a book planned by Park Tae-won and written by Kwon Young-hee. Gabo Peasant War Part 3 was easy to interpret as the result of crude reproduction of people and history of the years of late 19th century, and there are cases where it is argued that the multidimensionality and verisimilitudity of the previous books disappeared and rigidity and ideology emerged. Our paper focuses on Part 3 of 『Gabo Peasant War』, which has not been actively interpreted so far, and attempted to infer the influence of author Kwon Young-hee on narrative characteristics and narrative meaning and derive the uniqueness of Part 3.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Gabo Peasant War Part 3 is that when the narrator reproduces the characters' language, the narrator's words and the characters' words tend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narrative discourse, and while the narrator actively refers to Oh Ji-yeong's Donghaksa as material for story development, she borrows Oh Ji-young's sentences. Through these characteristics, the overall thematic structure of <Gabo Peasant War Plan>, which is the conflict of words between classes, is directly revealed.
    What our paper focused on in order to interpret the meaning of the narrative in Part 3 is that, unlike previous books, it included stories of female characters directly participating and fighting in the peasant war. It is inferred that the reason women are described as practical subjects in Sections 14, 15, and 16 of Part 3 is because this book was written by Kwon Young-hee. Our paper reveals that the stories of these three female characters, namely Yoon Young-ah, Han Eum-jeon, and an unnamed woman of Hoemunsan mountain, are each based on actual history and events, therefore the uniqueness of the narrative in Part 3 is that new subjectivity is given to these female characters.
    In Gabo Peasant War Part 3, new possibilities of female characters in <Gabo Peasant War Project>, ‘fighting women’ and ‘loving women’, appeared. Having completed Park Tae-won's plan to write a historical novel in which the commoner class endured tragic defeat and continued the fight as faithful subjects, Kwon Young-hee added the images of plebeian female subjec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근대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