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라의 왕경 관련 행정조직과 운영 – 6부소감전을 중심으로 –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Capital of Silla: Focusing on Yukbusogamjeon(六部少監典))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22.12
34P 미리보기
신라의 왕경 관련 행정조직과 운영 – 6부소감전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대사연구 / 108호 / 177 ~ 210페이지
    · 저자명 : 한영화

    초록

    본고는 왕경과 관련한 관사, 특히 6부소감전을 중심으로 그 운영과 직무에 대해 살펴보 고자 하였다. 왕경 운영과 관련된 조직의 출현은 월성이 정궁으로 자리잡은 데 이어 市가 설치된 된 시점으로 볼 수 있다. 6부를 중심으로 한 왕경에 대한 관리, 감독의 필요성은 도시 기능의 활성화와 관련하여 크게 대두되었을 것이다. 특히 왕경을 관할하기 위한 조직이었던 6부소감전은 이와 궤를 같이하여 5세기 말, 6세기 초 무렵부터 설치, 운영되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삼국사기』 직관지에서 전하는 6부소감전의 관원 구성은 전체적으로 중고기 관직의 분화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명칭을 가지고 있어 ‘고식적’이라는 지적을 받지만, 그 설치는 일시에 이루어졌다고 보기는 어렵다. 특히 6부소감전의 최고위직이 部에 따라 ‘監臣’과 ‘監郞’으로 나타나는 것은 내성 관련 私臣의 설치와 연관성이 있으며, 이는 왕의 권력이 6부를 제도 적으로 장악해가는 과정과도 맞닿아 있다. 이를 통해 본다면 직관지에 서술된 6부소감전의관원 구성은 최소한 진평왕 7년(585) 이후 어느 시점에 이루어졌으리라 추정된다.
    6부소감전은 신문왕대 전읍서로 개편된 것으로 보이는데, 전읍서의 편제는 비교적 정돈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는 7세기 전쟁을 마무리한 후 왕경의 정비에 따른 6부의 변화, 신문왕의 천도계획과 무산을 거쳐, 왕경의 재정비 필요에 따른 결과였다. 전읍서의 직무는 비슷한 시기 일본의 京職을 통해 추론할 수 있는데, 戶口 관리를 비롯하여 규찰, 소송, 田宅, 조세 관련 업무까지 폭이 넓다. 왕경의 의례를 담당했던 대일임전은 왕경에서의 조회와 같은 일상적 모임의 출입자 명단 보고와 확인, 출입과 인도 등의 업무를 담당했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일상적 의례뿐만 아니라 왕경에서 대대적으로 이루어지는 행사도 포함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신문왕 3년의 혼례의식도 대일임전의 소관이었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전읍 서와 대일임전은 경덕왕대를 거치면서 전경부로 통합된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the operation and duties of government offices related to the Capital were studied, especially focusing on Yukbusogamjeon(六部少監典). The emergence of a dedicated organiz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city can be seen as the time when Wolseong(月城) became the palace and then the market was established.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of the market are important implications in relation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city functions. Due to such influence, the need for management and supervision of the Capital centered on Yukbu(六部) would have emerged significantly. In particular, Yukbusogamjeon(六部少監典), which was an organization to govern the Capital, is thought to have been established and operated since the end of the 5th and early 6th centuries.
    The officials of Yukbusogamjeon(六部少監典) in Samguksagi(『三國史記』) Jikgwanji(職官志) were pointed out as hackneyed because they generally have names that may appear in the process of differentiation of government posts during the middle-ancient period(中古期) in Silla. However,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se government posts were established at once. In particular, the fact that Yukbusogamjeon(六部少監典)'s high-ranking positions appear as gamshin(監臣) and gamrang(監郞) is thought to be related to the installation of sashin(私臣) in Naesung(內省). In other words, it is also in line with the process of the king's power systematically taking control of the yukbu(6部).
    From this, it is estimated that the composition of the official staff of Yukbusogamjeon described in the Jikgwanji is at least at some point after the 7th year of King Jinpyeong(585).
    It is thought that Yukbusogamjeon(六部少監典) was reorganized into Jeoneupseo(典邑署) during the reign of King Sinmun, by the way the organization of Jeoneupseo(典邑署) has a relatively organized structure. This is the result of the increase inthe need to reorganize the Capital after the war in the 7th century, due to the change of yukbu due to the maintenance of the capital and the attempt and failure of King Sinmun to relocate the capital. And during the reign of King Gyeongdeok, Jeoneupseo(典邑署) and Daeilimjeon(大日任典) were merged into the Jeongyeongbu(典京府).
    It is estimated that the Daeilimjeon(大日任典) was in charge of routine rituals and events in the Capit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대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