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현장경찰 개인성격이 감정부조화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influence of personnal character of policemen at the scene of action towards creation of emotional lack of harmony)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15.05
18P 미리보기
현장경찰 개인성격이 감정부조화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 / 12권 / 1호 / 47 ~ 64페이지
    · 저자명 : 김정완, 조현빈

    초록

    한국직업능력개발원(KRIVET. 2013) 보고서에서 2012년 203개 직종 중 경찰관 감정노동지수가 22위로 공안직군 중 유일무이하게 감정노동지수가 높은 직종인 것으로 확인 되었고, 경찰청은 전국 경찰관서 치안성과평가 항목에 경찰 접촉 고객 대상 평가인 치안고객만족도의 가중치를 30%(치안고객만족도) 부여하고 있는 등, 그간 감정이라는 단어는 인간행동을 설명할 수 있는 중요요소임에도 공공조직 연구 분야에서 소홀히 다루어져 왔던 것이 사실이다. 여기에서 연구자는 일선에서 활동하는 경찰관들이 주취자, 음주운전자, 집단 폭행사범, 민사성 사기사범 등을 대할 때 항상 느낄 수 있는 감정, 즉 대인 접점부서 경찰관들이 타부서 근무자들보다 높게 느낀다고 할 수 있는 감정노동의 한 구성요소인, 실제감정과 표현감정의 불일치를 뜻하는 감정부조화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정서성과 같은 개인 특성은 감정부조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고객 감정표현, 부정적 상황, 종업원상태 등에 의하여 서비스제공자는 감정부조화를 겪고 있는 등 개인 성향에 따른 종업원들의 감정부조화의 경험정도를 실증할 필요성이 있음을 피력하고 있어 개인성격 요인 중 대표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Bic 5 모형을 감정부조화의 독립요인으로 활용하여 현장 경찰관들의 개인성격이 감정부조화를 강화 또는 약화시킬 수 있다는 가설을 실증할 수 있다면, 향후 지역경찰, 수사․형사 등 민원 접점부서 인사배치 참고자료 활용 등 그 전략적 이용가치가 높아 질 수 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개인성격 중 주도면밀성과 신경증적 성격을 가진 경찰관의 감정부조화 지수가 높고, 외향적이고 친화적이며 지적개방성이 높은 경찰관의 감정부조화 지수가 낮게 나타난 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감정억제 지수는 신경증·주도면밀성을 가진 경찰관이 높고 외향성·지적개방성을 가진 경찰관이 낮으며, 감정연기 지수는 주도면밀한 경찰관이 높고 외향성·친화성이 높은 경찰관이 낮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영어초록

    KRIVET 2013 Report shows that the policemen's emotional labor index was among 22nd place; Which was by all means Relatively highly ranked job sector among other public servants.
    In the meantime, the national police agency has granted 30% weights on public security result assessment; public security client satisfaction on those clients who contact police; Despite importance of emotions which is an extremely important element; that could explain human behavior; has rather been neglectful in fields of public organization research. Therefore, I myself would like to focus on the concept of emotional lack of harmony; conflict between explicit and implicit emotional expressions; part of emotional labor structural elements(Morri & Feldman 1996).
    To face those emotional feelings when those policemen working at the scene of action faces drunks, drunk drivers, group bulling, civil fraud affairs. Reffered by Morris & Feldman(1996), Kim sang hei & Seo Moon sik(2005), etc.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emotions are closely realted to emotional lack of harmony, and emotional expressions by clients negative circumstances.
    Conditions of an employee, all these factors ca affect service provider who would go through emotional lack of harmony who is obliged to proof his/her experience of emotional lack of harmony with employee. Therefore I myself would like to use BIC 5 MODEL as an independent factor of emotional lack of harmony(Costa & Mccrae 1992) To back up the theory that personal character of those policemen at the scene of actions can either reinforce or to deteriorate emotional lack of harmony, and if this hypothesis can be proofed. This would be helpful to provide.
    Better personnel management of local police, investigations, criminal cases, civil affairs etc. As a result of that, I have reached the conclusions that those officers who is elaborate and neurotics are more likely to be emotional lack of harmony. And by contrast, those officers who is outgoing, friendly(positive minded), interlectually opened are more likely to have far less emotional lack of harmony rate.
    Furthermore, In terms of emotional restraints; Officers who's elaborate and neurotics have higher rate while outgoing and interlectually opened officers have lower rate. In terms of emotional performance, also those officers with elaborate mind showed higher rate while outgoing and friendly officers recorded lower rate. To draw a conclusion, having effectively used officers emotional lack of harmony rate. This could be served as a stepping stone for more effective personal management such as effective disposition of policemen at the scene of ac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