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국의 유엔군사령부 정책: 해체 결정 및 번복 배경(1969~1978) (The U.S. Policy toward the UN Command: The Background of Dismantlement Decision and Reversal (1969~1978))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21.06
34P 미리보기
미국의 유엔군사령부 정책: 해체 결정 및 번복 배경(1969~1978)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일민국제관계연구원
    · 수록지 정보 : 국제관계연구 / 26권 / 1호 / 43 ~ 76페이지
    · 저자명 : 남정호

    초록

    2020년대 들어 한반도 주변 상황이 요동치는 가운데 수년 전부터 유엔사령부(이하 유엔사)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전작권 이양과 관련, 앞으로 출범할 미래사와 유엔사 간 관계가 어떻게 설정될지가 중요한데다 미국이 유엔사 재활성화 정책에 나섰기 때문이다. 과거에 비해 크게 축소된 유엔사가 한반도 안보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은 쉽게 파악하기 어렵다. 이는 70년대 미국이 유엔사를 해체하기로 결정했다 번복한 과정을 분석하면 이해할 수 있다. 닉슨 대통령은 주한미군 완전철수를 추진하면서 유엔사도 없애려 했다. 유엔사의 손발인 주한미군이 없어지면 지탱할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보완 조치 없이 유엔사가 해체될 경우 정전협정의 당사자가 없어지는 셈이어서 정전체제도 무너지게 된다. 이렇게 되면 한반도 안보가 위태로워질 뿐 아니라 북·미 간 소통 채널이었던 군사정전위원회도 없어진다. 이에 닉슨 행정부는 정전체제를 유지하기 위해 정전협정 당사자 지위를 유엔사에서 한국군으로 넘기기로 하고 이를 수용하도록 북한을 설득해 달라고 중국에게 부탁한다. 레짐이론에 따르면 ‘체제 내 변화(change in regime)’를 모색한 셈이다. 그러나 북한은 정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대체해 정전체제 자체를 무력화하려 했다. ‘체제 교체(regime change)’를 추진한 셈이다. 카터 행정부도 같은 정책을 폈다. 하지만 처음에는 미국을 도울 듯 했던 중국이 북한과의 관계 악화를 우려해 입장을 바꿈으로써 미국의 방안은 수포로 돌아간다. 유엔사 해체에 따른 정전체제 붕괴를 막지 못하게 되자 미국은 결국 한국 방어와 같은 유엔사의 핵심 기능을 대체하는 한미연합사를 출범시키면서도 유엔사를 없애지 않고 이를 축소한 뒤 지금까지 유지하고 있다.

    영어초록

    The United Nations Command (UNC) is a small but important organization that the U.S. has been thinking of how to revitalize it since 2017. It is necessary to make a historical review so that the institutional role of the UNC may be understood. Both Nixon and Carter administrations had decided to dissolve the UNC in the 1970s, but it was not eliminated after all. President Nixon sought to withdraw U.S. troops from South Korea completely and to dismantle the UNC. The U.S. thought that the UNC, as the centerpiece of the Korean armistice regime, would not be sustained without the U.S. Forces in Korea. However, the U.S. realized that the Korean armistice regime would collapse if the UNC had been dissolved without any supplementary measures to prevent the concerned parties of the armistice agreement from disappearing. The UNC dissolution would have only jeopardized the security of the Korean Peninsula by removing the Military Armistice Commission that was the only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U.S. and North Korea. Therefore, the Nixon administration, as a way of making the “change in the armistice regime” rather than the complete “regime change”, decided to transfer the role of the armistice agreement party from the U.S. to the South Korean military. The U.S. asked China to persuade North Korea to accept the change in the Korean armistice regime. The Carter administration carried out the same policy. However, China eventually refused to comply with the U.S. request due to its concern about the relationship with North Korea. After the failure to acquire the Chinese cooperation, the U.S. finally decided to maintain the UNC to keep the security regime provided by the armistice agreement of the Korea Wa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