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국의 검찰제도와 연방법무부장관의 정치적 중립성 (The Prosecution System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Political Neutrality of the US Attorney General)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21.03
34P 미리보기
미국의 검찰제도와 연방법무부장관의 정치적 중립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형사소송법학회
    · 수록지 정보 :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 / 13권 / 1호 / 53 ~ 86페이지
    · 저자명 : 김종구

    초록

    미국은 연방과 주(state)별로 각각 검사제도가 확립되어 있으며, 연방과 주 모두 법무장관이 검찰총장을 겸한다. 연방법무부장관(US Attorney General)은 대통령이 임면권을 갖고 있으며, 별도의 임기가 없고 언제든 대통령이 해임할 수 있다. 주의 경우 대부분 주법무부장관(Sate Attorney General)은 주민에 의해 선출되며, 일정한 임기가 정해져 있고, 주지사는 법무부장관의 임면에 관여하지 않는다. 주지방검찰청(카운티검찰청)의 지방검사장 또는 지방검사(district attorney)도 독립성이 보장되어 있다.
    검찰과 검찰총장의 정치적 독립성은 공소권의 독립성(prosecutorial independence)이라는 관점에서 필히 요청되는 것이다. 그러나, 미국에서도 연방법무부장관의 독립성은 계속해서 문제가 되고 있다. 미국 연방법무부장관이 정치화된 것은, 결국 대통령이 해임을 자유로이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의 각 주의 지방검사(District Attorney)가 독립적인 것은 대개 유권자에 의해 선출되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우리는 검찰총장의 선출직화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국민이 사법절차에 참여하는 것은 관련 사법기관에 민주적 정당성을 부여함으로써 기관의 중립성과 독립성을 보장하는 방안이 될 수 있다. 임명권자로부터의 독립이라는 관점에서 기존 제도의 보완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그 방안의 하나로 검찰총장의 임명에 국회의 동의를 필수 요건으로 하여 민주적 정당성을 부여함으로써 검찰총장의 독립성을 강화하는 방법도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나 미국 모두 초기에 검사는 법관에 준하는 준사법기관(quasi-judicial officer)으로 이해되었고, 검찰 독립의 의미는 사법부의 독립에 준하는 것이었다. 우리나라나 미국 모두 형식상 검찰총장과 검사가 행정부 소속으로 되어 있으나, 여전히 준사법기관으로 파악되어야 하고, 공소권의 독립을 위해 검찰총장과 검찰조직의 독립성과 정치적 중립성은 당연한 규범이라 할 것이다. 검찰은 사법기능의 일부를 수행하는 준사법기관으로서 사법부 독립에 준하는 독립성과 정치적 중립성의 보장이 요청된다는 점을 유념해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서 검찰 밖과 안에서 동시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본 논문은 검찰의 정치적 중립성과 관련하여 미국의 검찰제도의 연혁과 검찰조직을 살펴보고, 검찰총장을 겸하는 미국 연방법무부장관의 정치적 중립성을 고찰한 후,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을 생각해본 것이다.

    영어초록

    The U.S. has a federal and state-by-state public prosecution system. Both the US and State Attorney General concurrently serves as a prosecutor general. The US President has the right of appointment for the US Attorney General who is subject to removal by the president. The US Attorney General has no fixed term of office and can be dismissed by the president at any time. In the case of states, most State Attorney Generals are elected by residents, with a fixed term of office, and the governor cannot involve in the appointment or dismissal of the State Attorney General. The District Attorney is elected by local residents, and also guaranteed independence.
    The political independence of the public prosecution and the prosecutor general is necessarily requir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rosecutorial independence. However, even in the United States, the independence of the US Attorney General continues to be a controversial issue. The reason why the US Attorney General has been politicized is that the president is free to dismiss him after all. The District Attorney in each state of the United States is independent because he is usually elected by residents. Here, we also need to think about the direct or indirect election system of the prosecutor general. The people’s participation in the judicial procedures can be a measure to ensure the neutrality and independence of the public prosecution. Efforts will be needed to supplement the existing syste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US Attorney General’s independence from the President’s power to appoint. One of the measures would be to strengthen the prosecutor general’s independence by giving him democratic legitimacy by requiring the parliamentary consent for the appointment of the US Attorney General.
    In bo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prosecutors were initially regarded as quasi-judicial officers equivalent to judges, and the meaning of prosecutorial independence was equivalent to that of the judiciary. Both in Korea and the U.S. the prosecutors and the prosecutor general are formally affiliated with the administration, but they should still be identified as quasi-judicial officers, and the independence and political neutrality of the prosecutor general and the prosecution's office essential for the independence of the right to indict. The prosecution should keep in mind that as a quasi-judicial body it is required to ensure independence and political neutrality equivalent to judicial independence. With regard to the political neutrality of the prosecution,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y of the prosecution system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political neutrality of the US Attorney General, who also serves as the prosecutor general, and then considers the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prosecution system of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