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개념이란 무엇인가 2부 1편, 논리 공간 개념론 원론 (What is a concept 2-1, the logico-space concept theory)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21.12
44P 미리보기
개념이란 무엇인가 2부 1편, 논리 공간 개념론 원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철학연구 / 102호 / 363 ~ 406페이지
    · 저자명 : 한대석

    초록

    이 글은 “논리 공간”의 가능성을 타진한다, 그래서 “원론”이라 부제를 붙였다. 이 글의 목적은 저 개념을, 구성 계기들을 모두 발굴하고 해설한 후, 최종 구성하는 데에 있다. 다른 한 편, 논리 공간의 현실성을 (뉴턴 역학을 사례로) 실증하는 것은 “각론”이라 부제가 붙을 후속 글의 과제다. 논리 공간은, 적어도 글쓴이에게는, 저렇게 두 번의 품을 들여 해설해야 할 만큼, 두껍고 추상적인 개념이다. 논리 공간. 현실은 이해되어야 하고 현실 이해를 위해 필연적으로 상정된 이것은, 그 속에서 대상들이 사슬 연관해 있다. 사슬 연관해 있는 대상들. 논리 공간 속에서 일어나는 이 일을, 우리는 현실에서 발견할 수가 없다. 글쓴이의 의미에서 사슬 연관은  곧은 막대였다가 구부려져 사슬 결합하는 것이 아니라  애초부터 사슬이기 때문이다. 애초부터 이음새가 없는 사슬들. 저 의미에서 사슬 연관하는 논리 공간을 우리는 현실에서 발견하지 못하며 앞으로도 못할 것이다. 그렇다면 “논리 공간”은 한바탕 어지러운 형이상학의 꿈 이야기 인가. 그렇지 않다는 것이 이 글(과 후속 글)의 요지다. 논리 공간이, 실상, 현실에 관한 이야기라는 데에, 저 개념의 모든 요점이 있다. 논리 공간이라는 개념은 현실 이해의 구조를 분석해서 얻어진 것이기 때문이다. 현실은 이해되어야 하며, 현실 이해는 매몰과 초월 사이 어딘가이다. 현실 이해는 현실이 풍기는 직접적, 체구적 인상을 파괴하는 데에 있다. 체구가 파괴되고 그 안에 들어앉아 있던 소위 “본질”이 드러난다는 식은, 그러나, 단호히 아니다. 논리 공간론의 방법은 대신에 분석의 방법이다. 비현실.
    우리가 자의적으로 상정해 세운 (따라서 직접적일 필요도 체구적일 필요도 없는) 이것 은, 논리적 장치의 조력을 받으면, 현실에 이르기까지 자기 변전한다. 자기 변전하여 급기야 대상 현실에까지 접속하고야 마는 이 비현실은, 그렇다면, 현실을 분석하고 있다. 현실을 (정확히 이 분석 저 분석일 필요는 없지만) 대저 분석되어 있는 무엇이라 규정할 때, 저 비현실의 논리 공간은, 그렇다면, 현실을 비로소 구축한다. 이렇게 해서, 진실의 일면은 세계가 구축되고 제작된 존재자라는 것이다. 저 구축과 제작의 주소지가 논리 공간이다. “세계는 논리 공간 속 사실들”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to introduce the concept of logical space. That's why it was subtitled "Logical space 101". To demonstrate the concepts introduced in this way, with Newtonian mechanics as an example, is the task of a subsequent thesis.
    Reality must be understood, and understanding reality involves logical space. In logical space, the objects concatenate with each other. This concatenation of objects, which is what happens in logical space, cannot be found in reality. If so, is the concatenation talk a dream story of dizzy metaphysics? Unlikely. The whole point of that concept is that the chain link, in fact, is a story about reality. The chain link is what we obtain from analyzing the structure of understanding reality.
    Understanding reality is somewhere between immersion and transcendence. In order to understand reality, we must resist the direct and physical impression of it.
    It is not that the underlying “essence”, when reality is destroyed, is revealed as if by magic. That “essence” talk is just a sublimated form of immersion in reality. Instead, the method of logical space is the method of analysis. Something not-real. We arbitrarily create this and develop it into the spatio-temporal reality, with the aid of a logical device. Since logic has no content, that development is a self-transformation of the aforementioned Not-real. This Not-real, which transforms itself and finally comes into contact with reality, can be said rightly to analyze reality. Therefore, neither being immersion nor transcendence, the logical space of Not-real is the space of understanding re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