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王夫之 四書學의 특징과 淸代 實學으로의 전환 (Characteristics of Wang Fuzhi’s Sishuxue and the Transition to Qing Dynasty’s Shixue)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18.12
31P 미리보기
王夫之 四書學의 특징과 淸代 實學으로의 전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철학연구 / 90호 / 137 ~ 167페이지
    · 저자명 : 진성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왕부지 四書學의 형성과정과 淸代 實學으로의 전환과정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왕부지 經學과 本體論의 내재적 연관성을 살펴보고, 經世論 및 修養論의 성격을 검토하였다. 明朝의 遺臣이었던 왕부지의 철학사상은 大義名分的 성격이 매우 강하다. 따라서 그의 경세론은 강한 민족의식에 기초하고 있으며, 經世致用을 통해 새로운 나라를 건설하겠다는 염원이 담겨있다. 이에 왕부지는 새로운 세계관의 필요성을 자각하고 張載의 氣哲學을 계승하여 氣一元論을 완성했다. 기일원론을 토대로 왕부지는 宋明理學과 老佛을 비판하고, 儒學의 오래된 과제였던 ‘道德과 經世’의 合一을 시도했다. 이 과정에서 왕부지는 ‘존재하지만 움직이지 않는 우주’라는 程朱學의 본체론을 비판하고, ‘움직이는 우주 본체’라는 새로운 세계관을 제시했다. 이를 바탕으로 왕부지는 지식보다 실천을 강조한 새로운 경학방법론과 수양론을 완성하였다. 현실개혁에서 출발한 왕부지의 비판의식은 결국 宋明理學에 대한 비판을 거쳐 인간의 능동적 실천을 강조하는 경세론과 수양론으로 발전하였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왕부지의 四書學은 실용성을 강조한 청대 실학으로의 전환기 사상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in which Wang Fuzhi(王夫之)’s Sishuxue(四書學) was created and has transitioned to Shixue(實學) in the Qing Dynasty. With this goal in mind, the study examines the intrinsic relationship between Wang Fuzhi's Shixue and Bentilun(本體論) and reviews the characteristics of Jingshilun(經世論) and self-discipline. The philosophical thought of Wang Fuzhi, a scholar who succeeds from the Ming Dynasty, has a clear purpose. Therefore, his Jingshilun(經世論) is rooted in strong ethnic awareness and has a yearning for building a new nation through studies that has practical contribution to the society (經世致用). Wang Fuzhi felt strong need for a new worldview and completed Qi-monism(氣一元論) by succeeding Zhang Zai’s Qi philosophy(氣哲學). Based on Qi-monism, Wang Fuzhi criticized theories of Song Ming Lixue(宋明理學), Taoism, and Buddhism and attempted to unify ‘Moral(道德) and Jingshi(經世),’ which was age-old unresolved issue of Confucianism. In this process, Wang Fuzhi criticized "existent but immovable universe," the main theory of the Cheng Zhu Lixue(程朱學) and presented a new world view that believes in the "moving universe body". Based on this, Wang Fuzhi completed the new methodology of classical learning(經學) and self-discipline that emphasized actual practice rather than knowledge. The critical mind of Wang Fuzhi, which started from with an aim to reform the reality, eventually developed into Jingshilun(經世論) and self-discipline that emphasized people’s active practice after going through series of criticism of Song-Ming Lixue(宋明理學). From this point of view, Wang Fuzhi's Sishuxue can be argued to be a turning point in the transition to the Shixue of the Qing Dynasty which has heavy emphasis on practic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