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통감부 시기 ‘施政改善協議會’의 운영과 성격 변화 (Changes in the Ope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mmittee on Administrative Reform During the Residency‐General Period)

5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23.11
50P 미리보기
통감부 시기 ‘施政改善協議會’의 운영과 성격 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84호 / 341 ~ 390페이지
    · 저자명 : 남은정

    초록

    본 논문은 통감부 시기(1906~1910) 한국 내각과 통감부 사이의 정치회의인 ‘施政改善協議會’에 대한 연구이다. 시정개선협의회는 1906년 3월 13일부터 1909년 12월 28일까지 97차례에 걸쳐 진행되었다. 주요 참석자는 통감과 한국 대신들이었으며, 한국 국정 각 분야에 걸친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시정개선협의회를 중심으로 통감부 시기 일본이 한국 내정을 장악하는 과정을 규명하고자 했으며, 그 결과 다음의 내용을 규명할 수 있었다.
    초대 통감 이토 히로부미는 시정개선을 명분으로 협의회를 시작했으며 그 목적은 한국 내정에 관여하기 위한 것이었다. 1907년 제3차 한일협약 이전 협의회의 특징은 ‘시정개선’의 필요성을 강조했다는 점이다. 이토는 내각의 논의가 분열되지 않도록 하고자 했다. 1907년 5월 박제순 내각이 사퇴하고 이완용 내각으로 교체되었으며 내각 총리 이완용에게 권한이 집중되었다. 이후 시정개선의 당위성은 더 이상 표방되지 않았다.
    1907년 한일협약을 분기점으로 협의회는 성격 변화가 나타났다. 1907년 9월 통감부 관제에 부통감과 참여관 직제가 신설되었고, 이들은 협의회의 구성원으로 편입되었다. 이와 함께 통감부 참여관회의가 구성되어 협의회와 연계성을 가지고 운영되었다.
    그런데 1909년 6월 소네 아라스케 통감 임명 이후 통감과 참여관 사이에 균열이 표면화되기 시작했다. 이때 협의회와 참여관회의의 연계성은 축소되었다. 그러나 통감부 내부의 세력 균열이 일제의 세력 약화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었다. 참여관의 역할이 확대되면서 참여관들은 통감을 무시하고 그들만의 참여관회의에서 한국 정치를 논의했다. 소네가 일본에 귀국한 1910년 1월 이후 참여관회의는 개최되었으나 협의회는 중단되었다.
    협의회의 소멸은 또 다른 통치체제의 형성을 의미했다. 그것은 총독부로의 전환, 즉 대한제국을 잠식한 통감부의 해체를 내포하고 있었다. 통감 통치의 종언은 본격적인 식민통치의 시작이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mmittee on Administrative Reform, which served as a political forum between the Korean cabinet and the Residency‐General from 1906 to 1910. Its on Administrative Reform was conducted 97 times from March 13, 1906 to December 28, 1909. The Committee's primary participants were the Resident‐General and Korean cabinet ministers. It examined issues across diverse fields of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or process of Korea administrative control by Japan, and the result was as follows. The first Resident‐General, Ito Hirobumi, convened meetings of the Committee under the pretext of administrative reforms, his aim was Korea's internal affairs.
    The Committee that preceded the Korea‐Japan Agreement of 1907 emphasized the need for administrative reform.
    Ito attempted to foster harmony in the cabinet's discussions. However, in May 1907, the Bak Je‐soon cabinet resigned and was replaced by the Yi Wan‐yong cabinet, with all authority vested in Yi Wan‐yong. Then the appropriateness of administrative reform was no longer professed in the Committee.
    With the Korea‐Japan Agreement of 1907 marking a turning point, significant and unprecedented changes began to occur. In September 1907, the Residency‐General introduced new positions, including those of Vice Resident‐General and Executive Officer, who were incorporated as members of the Committee. Moreover, the Executive Officer Assembly was formed and administered within the Residency‐General in connection with the Committee.
    Following Sone Arasuke's appointment as the Resident‐General in June 1909, conflict between the Resident‐General and the executive officers began to surface. Also, the Committee was reduced in connection with Executive Officer Assembly.
    Importantly, these internal divisions did not signify the weakening of Japanese dominance. As the executive officers' posts expanded, they became overtly disrespectful toward the general and began discussing Korean politics in their own conferences. Although the Executive Officer Assembly continued after January 1910, when Sone had returned to Japan, the Committee never convened again.
    The dissolution of the Committee marked the emergence of a different governance system and signified a shift toward the Government‐General, resulting in the withdrawal of the Residency‐General's influence from the Korean Empire. The end of the Residency‐General's dominance marked the onset of a comprehensive colonial reg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독립운동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