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593년 조선 조정의 명군지휘부 접촉과 일본군 공세 논의 (The Joseon Court’s Communications with the Ming Military Headquaters and Their Discussions about Attacks against the Japanese Army in 1593)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24.03
38P 미리보기
1593년 조선 조정의 명군지휘부 접촉과 일본군 공세 논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학진흥원
    · 수록지 정보 : 국학연구 / 53호 / 45 ~ 82페이지
    · 저자명 : 김한신

    초록

    1592년 임진왜란 초기 조선은 명의 군사지원을 받는 데서부터 수세에서 공세로 돌아설 수 있었다. 1592년 7월 부총병 조승훈의 평양성 공격은 실패했으나, 1593년 1월 제독 이여송은 평양성전투에서 승전하여 성을 수복할 수 있었다. 이후 조선 조정의 관심사는 명군과 함께 한성을 협공하여 수복하고 일본군을 조선에서 격퇴하는 것이었다. 1593년 1월말 명군이 벽제관전투에서 패전했으나, 조선 조정에서는 명군에 진격을 촉구했다. 이 때 조선 조정과 명군지휘부 사이의 견해차가 확연히 드러날 수밖에 없었다. 경략 송응창으로 대표되는 명군지휘부에서는 명군의 희생을 줄이면서 전쟁을 마무리 지으려 는 움직임을 보였다. 송응창은 일본군과의 교섭을 진지하게 고려하고 있었다. 명군지휘부에서 즉각적으로 조선 조정의 공격 요청을 수용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조선 조정에서는 명군지휘부와의 소통을 긴밀히 유지해야 했다. 명군지휘부의 의사가 무엇인지를 알아두고 있어야 했으며, 이를 근거로 명군지휘부와의 견해차를 줄일 수 있었기 때문이다. 조선 조정으로서는 명군의 협조가 불가결했는데, 그러한 협조는 명군지휘부를 어떻게 설득하느냐의 여부에 달려있었다. 이러한 지점이 고찰되어야 임진왜란 초기로부터 1594년 강화교섭 국면으로 이어지는 전쟁의 전개가 선명히 드러난다.

    영어초록

    In 1592, in the early stages of the Imjin war, Joseon changed its defensive position into an offensive one by launching a counterattack with Ming military support. Although the attack by Zǔ Chéngxùn (祖承訓), the Ming commander, failed to recapture Pyeongyang Fortress in July 1592, the second attack, led by Li Rusong (李如松), the Ming supreme commander, defeated the Japanese army and recaptured Pyeongyang Fortress in January 1593. After that, the main aim of the Joseon court was to reclaim Hanseong, Joseon’s capital, and push the Japanese army out of Joseon territory with help from the Ming. At the end of January 1593, Li Rusong’s army was defeated by the Japanese army in the Byeokje area. The Joseon court urged Li to go towards Hanseong. At that time, a difference in opinion between the Joseon court and the Ming military headquarters clearly emerged. The military headquarters, mainly controlled by Song Ingchang (宋應昌), the Ming military commissioner, wanted to end the war to reduce the sacrifice of Ming soldiers. Song seriously considered peace negotiations with the Japanese army. This meant that the Ming military headquarters did not intend to accept the request to fight the Japanese army at Hanseong. At this time, the Joseon court needed to maintain communication with the Ming military headquarters in order to know the exact intentions of the Ming commanding officers. This information was then used to reduce the difference in opinions between the two sides. From the Joseon court’s viewpoint, the Ming army’s help was imperative. What actually happened depended on how the Joseon court was able to persuade the Ming military headquarters to fight the Japanese army. Through understanding communications between the Joseon court and the Ming military headquarters, the developments from 1593 to 1594 during the early stages of the Imjin war can be made clea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