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삼국사기』 신라본기 유리이사금 9년 六部 기사의 역사적 배경 -지명 語素의 맥락을 중심으로-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Record of the 6Bu(部), Which Appears in the 9th year of Yuri-Esageum(尼師今) in the Samguk sagi Shilla Bongi- Focusing on the Context of the Land Name-)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22.08
31P 미리보기
『삼국사기』 신라본기 유리이사금 9년 六部 기사의 역사적 배경 -지명 語素의 맥락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신라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신라사학보 / 55호 / 1 ~ 31페이지
    · 저자명 : 이부오

    초록

    본고는 신라 6부명의 어소에 대한 분석을 통해 『삼국사기』 유리이사금 9년 6부 기사에 반영된 역사적 실상의 실마리를 얻기 위해 작성되었다.
    본피부에서 ‘본피’는 중심역할이나 주된 공간을 의미했을 것이다. 습비부 즉 사피부에서 ‘사’는 지역의 고유한 특성을, ‘피’는 공간을 나타냈다. 한기부에서 한기는 넓은 벌판을 의미했다. 이상은 고유한 읍락의 특징을 표현한 지명들이다. 탁부에서 ‘탁’은 최고 내지 중심지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사탁부에서 ‘사’는 새롭다는 의미 외에 ‘높다’는 의미를 포함한다. 사탁은 서벌 즉 소벌이 탄생했던 공간의 탁을 의미했다. 모량부에서 모량은 ‘모단벌의 탁’을 줄인 말이다. 모단벌은 길목에 위치한 골짜기의 벌판을 의미했다.
    6부의 공간에는 원래 읍락 단계부터 고유한 지명이 존재했다. 그 지명어미가 모단벌의 伐, 한지의 岐(只), 본파의 波 등에 흔적을 남겼다. 그 중에서도 ‘본파’는 사로국의 탄생 이전에 유력한 세력이었음을 반영한다. 사탁부 일대는 사로국 최초의 국읍으로 부상하면서 기존 고유지명이 ‘서벌’로 바뀌었다. 사탁부는 6부가 편성될 당시 기존 지명 및 탁부와의 관계를 반영한 명칭이다. 월성 일대는 서벌을 대신해 국읍으로 부상하면서 기존 고유지명이 탁으로 변해 이것이 부명으로 정착되었다. 모단벌부는 마립간기에 탁부・사탁부의 지배세력과 연합한 결과, 중성리비에서 모단벌탁을 칭했다. 6부를 ‘탁평’으로 칭한 것은 탁으로 상징되는 신라 지배세력의 우월성을 527년 이후 557년 이전에 6부로 확산시킨 결과로 보인다.
    6부의 편성은 지역에 대한 왕경의 우월성과 부 사이의 차별성을 동시에 인정하는 조치였다. 그 시기는 이사금대 후기로 추정된다. 사로국은 국읍인 탁과 주요 읍락을 6부로 편성함으로써 지역세력에 대한 지배세력의 우월성을 드러내려 했다. 이사금은 탁부와 사탁부의 지배세력을 대표하여 6부에 대한 지배권을 행사했다. 각 부의 干支는 기존 자치권을 유지하는 대신 이사금이 주도하는 6부의 업무에 협조했다. 마립간기를 거치면서 부의 자치단위적 성격은 점차 약화되고 행정단위적 성격은 강화되어 갔다. 유리이사금 9년 6부 기사는 이러한 변화의 출발점과 중고기 이후의 변화를 첫 번째 이사금대로 집약 정리한 것이다.

    영어초록

    This thesis was written to reveal the historical reality reflected in the 6-Bu, which appears in the 9th year of Yuri-Esageum in the Samguk sagi through the analysis of the land name.
    In Bonpea-Bu, ‘Bonpea’ meant a central role or the main space. In the Subbi-Bu, that is, Sapi, ‘sa’ represent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and ‘pi’ described the space. In the term ‘Hangi-Bu’, ‘Hangi’ meant a wide field. The above are place names that show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Eeuprak(邑落). In Tak-Bu, ‘tak’ meant supremacy or the center. In Satak-Bu, ‘sa’ meant ‘new’ and ‘high’. Satak meant ‘tak’ of the space where Servol was born. ‘Moryang’ in Moryang-Bu is an abbreviation of ‘Modanbeol’s Tak’. Modanbeol meant a field in a valley located along the road.
    In the space of the 6-Bu, a unique place name existed from the period of Euprak. These names left traces on the endings of beol(伐), ki(岐), and pa(波). Satak-Bu’s space also had a unique place name, and after it was transformed into the first Guk-eup(國邑) of Saro-guk, it was called ‘Seobol’. After the 6-Bu was organized, this place was called Satak-Bu considering the existing name and relationship with Tak-Bu. The vicinity of Wolseong(月城) was called ‘Tak’ after it was turned into Guk-eup, and this became the name of this Bu. Modanbeol-Bu was called Modanbeol-Tak on Jungjung-ri Silla-stele as a result of the alliance with the ruling forces of Tak-Bu and Satak-Bu during the Maripgan period. The name 6-Takpyeong(啄評) was the result of spreading the superiority of the ruling powers of Silla to 6-Bu after 527 and before 557.
    In the late Esageum period, the organization of the 6-Bu recognized the superiority of the capital and the distinction between Bu at the same time. Saro-State tried to reveal its superiority over the local powers by organizing the Gukeup and Euprak into 6-Bu. Esageum exercised control over the 6-Bu on behalf of the the ruling powers of the Tak-Bu and Satak-Bu. Instead of maintaining autonomy, the Kanji(干支) of each Bu cooperated in the work of Esageum. During the Maripgan period, the character of the autonomous unit of the Bu became pale and the character of the administrative unit got clear. 6-Bu, recorded in the 9th year of Yuri Esageum, summarizes the beginning of these changes and those after the Junggo(中古) Ages as the events of the first Esageum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