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비도성 내 수공업 공방의 양상과 외경부 (The aspect of handicraft workshop and the Oegyeongbu in Sabi Capital)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24.10
30P 미리보기
사비도성 내 수공업 공방의 양상과 외경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서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호서고고학 / 59호 / 91 ~ 120페이지
    · 저자명 : 이화영, 최형운, 성정용

    초록

    본고는 백제 사비도성 내 수공업 공방의 위치와 구조 그리고 운영 방식 등을 살펴보고, 공방 주변의 외경부 비정에 대한 시론적 고찰을 시도해보았다.
    삼국시대 수공업은 양잠, 길쌈과 같은 직조업, 토기나 기와 등을 제작하는 요업, 금·은·동·철을 채굴하는 광업, 이를 제련·정련하는 야금업과 생활품·도구와 무기 등을 생산하기 위한 각종 제조업 등이 있으며, 점차 규모가 커지면서 관영 수공업으로 운영된 것으로 알려졌다. 사비도성 일원에서 수공업 공방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 유적으로는 금속 공방과 요업 공방 등이 주로 확인되고 있는데, 요업 공방의 경우 도성의 서쪽 경계에 해당하는 백마강 건너에 주로 분포 하는 반면 금속이나 유리 제품을 제작했던 공방의 경우 도성 내 특정 지역권을 중심으로 시기를 달리하여 분포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사비 천도 초기 단계의 공방은 관북리 유적을 중심으로한 부소산 남록에 위치하고 있다가, 도성 내 북동쪽 일대로 이동한 것으로 이해 된다. 이 일대는 자연지형적으로 곡간 충적대지에 해당하여 유수에 취약하지만, 그에 반해 풍부한 수원 공급이 가능하고 도성 외곽에서 내부로 진입하기 위한 교통로에 가까워 원활한 물류 유통이 가능한 곳이다. 이러한 공방시설의 이동은 천도 이후 도성 체제의 안정화, 점진적인 도성 내부 습지 개발 과정에 따른 것으로 이해된다.
    공방시설의 공간적 이동과 함께 구조의 변화도 확인되는데, 초기 관북리 공방은 다양한 물품을 밀집된 공간 내에서 동시 생산하는 구조인 반면, 도성 내 북동쪽 일원의 공방은 일정 범위로 개별 범위를 구획하고 그 내부에 생산과 부속시설이 편제되는 구조를 보이고 있다. 공방시설의 서쪽과 북쪽 일대 구릉부와 그 말단 충적지를 중심으로 한성기 이래 운영되었던 지하 저장시설과 다양한 건물지를 포함한 위계성 있는 건물 구조, 사비도성 내 높은 목간 출토량 등을 통해볼 때 공방시스템 운영 및 관리를 위한 관청으로서의 시설, 즉 외경부 일부로서의 기능을 가진 공간이 존재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d the location, structure, and operation of handicraft workshops in Sabi Capital in Baekje, and attempted a poetic review of Oegyeongbu location around the workshops.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handicrafts include weaving such as sericulture and weaving, ceramics manufacturing earthenware and tile, mining gold, silver, copper, and iron, metallurgy to refine them, and various manufacturing industries to produce household goods, tools, and weapons. It is known that it was operated as a government-operated crust industry as the scale gradually increased over time. In Sabi Capital, metal workshops and ceramics workshops are mainly identified. It is understood that ceramics workshops are mainly distributed across the Baekma River, which is the western boundary of the capital, while metal or glass workshops are distributed at different times around specific points in the city.
    It is understood that the workshop in the early stages of Sabi-period was located in the south of Buso-Mountain, centered on the ruins of Gwanbuk-ri, and then moved to the northeast area of the capital. The northeastern area of Sabi Capital is vulnerable to running water because it corresponds to the alluvial land, but it is a place where abundant water sources can be supplied and smooth logistics and distribution is possible as it is close to a transportation route to enter from the outskirts of the capital. It is understood that this movement of the workshop facilities is due to the stabilization of the capital system after the capital city and the gradual development of wetlands inside the capital city.
    Along with the spatial movement of the workshop, changes in the structure are also confirmed.
    The initial Gwanbuk-ri workshop is a structure that simultaneously produces various goods within a dense space, while the workshop in the northeast of the capital divides individual ranges into a certain range and shows a structure in which production and accessories are organized within it.
    Based on underground storage facilities, hierarchical building structures, distribution patterns of various building sites, and high wooden slips in Sabi Capital, it is estimated that there was a space with functions as a part of the Oegyeongbu, as a government office for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the workshop system in the west and north areas of the workshop.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호서고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