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참의부 군사위원장 李種赫의 민족운동 (The Nationalist Movement of Lee Jong-hyeok, Military Commissioner of Chameuiboo)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18.06
30P 미리보기
참의부 군사위원장 李種赫의 민족운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족운동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95호 / 151 ~ 180페이지
    · 저자명 : 박경

    초록

    본고는 참의부 군사위원장 이종혁의 생애와 민족운동을 살핀 연구이다. 그는 일본 육군 중위 출신이자 중국 국민군부대의 참모장을 지낸 이력을 바탕으로 참의부 군사위원장을 맡아 참의부를 이끌었다. 이종혁의 생애와 독립운동은 자료의 부족으로 지금까지 연구된 바 없으나, 그의 일본유학 생활과 중국 직봉전쟁 참여, 만주 무장투쟁단체에서 활동은 무장투쟁운동노선을 가진 여타 독립운동가들과는 차별점이 있다고 생각한다.
    이종혁은 대한제국육군무관학교에 입학했으나 무관학교가 1년 만에 폐교되면서 1909년 국비유학생의 신분으로 일본으로 유학을 떠났다. 그는 일본육군사관학교 27기 졸업생으로 1921년까지 일본군으로서 복무했는데, 11년 간 일본에서 유학생활을 하는 동안 국권피탈, 일본의 시베리아 출병, 3ㆍ1운동 등의 사건을 겪었다. 함께 일본유학을 온 많은 이들이 일제에 충성하는 삶을 택한 것과 달리 그는 독립운동에 가담하기로 결심했다. 그는 일본 육군 중위로 활동하며 독립운동에 참여했을 때 이용할 일본군 병서와 지도 등 중요자료들을 수집했다.
    이종혁은 1924년 만주로 망명했으며 중국 국민군부대로 들어가 참모장을 지냈다. 제2차 직봉전쟁에 참여한 이종혁은 봉천파의 포로가 되어 처형당할 위기에 직면했으나 도주하여 신민부로 들어갔다. 그는 신민부에서 다른 독립운동단체와의 연합을 논의하는 교섭자로 활동했다. 1927년 참의부로 이동한 그는 참의부의 군사학교에서 군사를 양성하는 직임을 맡았다. 그는 일본에서 가져온 병서로 독립군을 교육시키고 일본군, 중국군에서 겪은 경험을 토대로 군사들을 훈련시켰다. 1928년 2월 참의부 군사위원장으로 선임되어 수 백 명의 군사들을 지휘했다.
    이종혁은 1928년 9월 체포되었다. 일제는 참의부 군사위원장이었던 그가 일본육군 중위 출신이며, 시베리아 출병으로 훈공까지 받은 적이 있다는 사실에 매우 놀랐다고 전해진다. 그는 5년 형을 선고받았으며 1934년 출옥했다. 출옥한 바로 다음 해 복역 중에 앓게 된 늑막염으로 인해 평안북도 선천에서 순국했다.

    영어초록

    Lee Jong-hyeok(1892~1935) was a military commissioner of Chameuiboo, a representative Korean independent movement organization in the Manchurian region in the mid-1920s. In the days of military commissioner, he used the name of Ma Duk-chang which became famous with his activities. Lee Jong-hyeok, who had dreamed of becoming a soldier of the Korean Empire, entered the Korean Empire Military Academy, but the academy was closed in a year, and after that he went to Japan in 1909 as a government-sponsored international student. He was one of the 27th graduates of the Japanese Military Academy and served as a Japanese soldier until 1921. During the 11 years of studying in Japan, there were series of events such as the annexation of Korea to Japan, the Japanese invasion of Siberia, and the March 1st Movement, and his desire to take part in the anti-Japanese struggle and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grew. However, in reality, he was not in a situation that he could devote to the independence movement right away. This was because Japanese surveillance of Korean soldiers was severe. He had no choice but to wait for the right time to leave, while gathering books and information on Japanese military strategies and important documents related to different kinds of military references.
    In 1924, Lee exiled to Manchuria, went to the Chinese National Army, and served as a chief of staff. After entering the New People’s Government under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he met Ji Cheong-chun, Chief Military Commissioner of the Pro-Independence Armed Unit and served as an intermediary between the New People’s Government and the Pro-Independence Armed Unit. In 1927, he joined the Chameuiboo and in February 1928 he was elected as the military commissioner of the Chameuiboo. Although he spent seven months or less as the military commissioner, his activities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actions of the Chameuiboo. He trained the independence forces with the military strategy books brought from Japan and put his efforts for independence struggle.
    Lee Jong-hyeok was arrested by the Japanese military in September 1928 . When he was arrested, the Japanese were very surprised as he was a Japanese army lieutenant who even had a record of distinguished services. The Japanese tried to convert him while he was in prison, but he rejected it and finished all five years of imprisonment. However, the next year, the illness he had suffered from while serving the sentence in prison caught up with him and he died in Seon-cheon, North Pyongan Provi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족운동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