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褥薩의 大城·王都 5部 駐在와 그 職任 (Yoksal’s Residing in Large Castles, Five Tribe Areas of the Capital and his Official Duties)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8.12
33P 미리보기
褥薩의 大城·王都 5部 駐在와 그 職任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대사연구 / 92호 / 165 ~ 197페이지
    · 저자명 : 이성제

    초록

    욕살은 고구려의 왕도 5부와 대성에 주재한 관이었다. 大城은 遼東城·烏骨城·國內城·柵城·漢城의 5곳으로 파악된다. 이들 성은 지방의 주요 거점이면서 군사기지로, 중앙군이 배속되어 있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주위의 諸城이 주로 현지 주민으로 편성된 지방군을 보유하고 있었던 것과는 달랐던 것이다. 제성의 방어를 지방군이 맡도록 하고 중앙군은 주요 거점에 두어 유사시에 대비한 것으로 고구려가 구축했던 성 중심의 방어체제가 견고할 수 있었던 원인의 하나라고 여겨진다.
    北部褥薩·南部褥薩의 존재는 욕살이 지방의 대성만이 아니라 왕도의 5부에도 주재했음을 알려준다. 사료에 보이는 5部兵의 존재는 이들 욕살이 지휘했던 중앙군이었다. 이 두 계통의 욕살-部名과 城名을 冠稱한-은 중앙과 지방에 주재한다는 차이에도 불구하고 중앙군을 지휘하여, 왕도와 대성이라는 나라의 근간이 되는 곳을 지켰다는 점에서 직임상 동일하였다. 또한 지휘의 내용과 막중한 책임으로 보아 욕살에의 취임은 제5위의 官位를 가진 武將 가운데 국왕의 신임을 받는 자에 한정되었다.
    욕살은 여러 제성들로 이루어진 광역의 지역 공간이 아니라 훨씬 한정된 지역을 관장하였다. ‘都督兼摠兵馬, 管一十二州高麗, 統卅七部靺鞨’의 기록은 책성이 12州의 하나이며, 이들 대군을 지휘하기 위해서는 총병마라는 별도의 관함이 필요했음을 알려준다. 고구려는 성 방어체제를 뒷받침하기 위해 유사시 야전군을 운용했는데 욕살은 이 야전군의 지휘관에 취임할 수 있는 관이었다. 욕살의 本職을 소지하고 겸직으로서 야전군의 지휘를 맡았던 것이다.
    대성과 제성 간의 統屬관계와 관련하여, 發兵權을 제외한 여타 군사의 일에 대해서는 욕살이 관할하였던 것으로 이해된다. 현지에서 중앙군 부대를 지휘한 욕살이고 보면 군사 방면에서의 책임이 막중했을 것이고, 유사시에 제 병력을 지휘하기 위해서 기본적인 군사관계는 마련되어 있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Yoksal (semantically, provincial governor) was a government official who resided in the five tribe areas of the capital and large castles. The large castles are Liaotungcheng (“Yodongseong” in Korean) Castle, Wugucheng (“Ogolseong”) Castle, Guoneicheng (“Guknaeseong”), Shancheng (“Chaekseong”) Castle, and Hancheng (“Hanseong”) Castle. These castles are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they were provincial major hubs and military bases and that the central army stationed in them, unlike the neighboring castles that had a provincial army composed mainly of local residents. Koguryeo had a system to prepare for emergencies by making the provincial army take charge of defending the castle and placing the central army at the main hubs. This is one of the reasons why the castle-centered defense system established by Koguryeo was robust.
    The existence of northern Yoksal and southern Yoksal suggests that Yoksal resided in large castles in the provinces as well as the five tribe areas in the capital. The five tribe armies seen in historical records belonged to the central army commanded by Yoksal. There is a difference that these two kinds of Yoksal, whose tribe name and castle name were prefixed to their names, resided in the center and province, respectively, whereas there is a similarity in official duties that both of them commanded the central army to defend the capital and large castles, which were the bases of the country. In consideration of the contents of the command and the heavy responsibilities, the appointment of Yoksal was limited to those who won the confidence of the king among the 5th ranked military commanders.
    Yoksal controlled a small area rather than a large area covering several castles. There is a record that ‘the military governor and commander-in-chief control 12 province of Koguryeo and rule 37 tribes of Mohe (都督兼摠兵馬, 管一十二州高麗, 統卅七部靺鞨).’ This record shows that Shancheng (“Chaekseong”) castle was one of the 12 provinces and that another government post called commander-in-chief was needed to command these large armies. Koguryeo operated a field army for an emergency to support the castle defense system, and Yoksal was a government official to take over as a commander of this field army. Yoksal retained his main position and served as a commander of the field army at the same time.
    It is understood that Yoksal managed the military affairs other than the power to mobilize the army with regard to the dominance relations between large and small castles. Since Yoksal commanded the central army in a field and took a heavy responsibility on military affairs, a basic military relation seems to have been established for Yoksal to command the army in case of an emergenc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