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說一切有部에 있어서 四念住의 전개 (The Process of the Four Smrtyupasthānas in the Sarvāstivād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3.10
32P 미리보기
說一切有部에 있어서 四念住의 전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학 / 67권 / 455 ~ 486페이지
    · 저자명 : 김경희

    초록

    본고는 四念住에 대해서 제1기 阿毘達磨論書부터 제3기 아비달마논서까지를 중심으로 하여, 초기불교에서의 사념주가 説一切有部(이하 유부)에서 어떻게 해석되고 있으며, 나아가 유부내에서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가를 검토하였다.
    먼저 제1기 아비달마논서로 분류되는 『집이문족론』에는 세 종류의 염주(三種念住)의 해석과 관련된 내용이 제시되어 이후의 아비달마논서에서 반복적으로 기술되고 있다. 한편 『법온족론』에서 염주는 위빠사나이며 염주의 대상이 되는 신ㆍ수ㆍ심ㆍ법의 속성을 설하는 가운데 후대의 유부의 수행도에 있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는 “無常ㆍ苦ㆍ空ㆍ無我(非我)”가 제시되어 있다.
    제2기 아비달마논서인 『품류족론』에는 『집이문족론』의 해석에 의거하면서도 법념주의 언급에 無爲法이 포함되어 사념주와 유부의 “五位”로 정의되는 법체계와의 관련성을 제시하고 있다. 한편 『바사론』에는 소연념주ㆍ상잡념주ㆍ자성념주라고 하는 구체적인 명칭과 상잡념주만이 번뇌를 단절한다는 논의가 처음으로 등장한다. 그리고 사선근으로 연결되는 수행단계가 제시되어 한층 발전적으로 해석되고 있다.
    제3기 아비달마논서에 속하는 『심론』 계열의 논서의 경우, 세 종류의 염주의 해석은 『바사론』의 영향을 받고 있는 『잡심론』에 설명되고 있지만, 『심론』 『심론경』에는 언급되지 않는다. 그리고 『심론경』 『잡심론』에는 사념주를 自相(svalakṣaṇa)과 共相(sāmānyalakṣaṇa)으로 관찰하여 法念住의 단계에서 일체의 有爲法을 “無常ㆍ苦ㆍ空ㆍ無我(非我)”의 四行相으로 관찰하는 논의가 새롭게 전개되어 『구사론』의 해석과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clarifies the development and position of the four smṛtyupasthānas in the Sarvāstivāda path through an examination of allSarvāstivāda Abhidharma texts through the third stage. Theinterpretations of the four smṛtyupasthānas in each SarvāstivādaAbhidharma text are varied, but their intrinsic nature can be seen asprajñā(insight) and its object is expanded to include the five groups andthe seventy-five dharmas in the Abhidharmakośabhāṣya and otherthird stage treatises. Particularly, in the Abhidharmamahāvibhāṣaśāstra,discrimination of dharmas(dharmapravicaya) is said to ultimately bringabout the destruction of defilements, which leads to the attainment ofthe four kuśala-mūlas.
    The saṅgītiparyāya, the earliest Sarvāstivāda Abhidharma text,explains three kinds of smṛtyupasthānas and then they are describedconsistently in Sarvāstivāda Abhidharma texts. The Dharmaskandhaclassified the earliest Sarvāstivāda Abhidharma text as the saṅgītiparyāya, four smṛtyupasthānas identified as vipaśyanā and referred to fourmodes of activities(ākāras) of duḥkha satya–those pertaining to sixteenmodes of activities(ākāras) of the four noble truths.
    The Prakaraṇapāda was based on the saṅgitiparyāya’s explainationof smṛtyupasthānas, but it referred to asaṃskṛta in a dharmasmṛtyupasthāna so that it can relate to the classification of five groups–rūpa, citta, caitasika, cittaviprayukta-saṃskāra, asaṃskṛta. In theAbhidharmahṛdayaśāstra and Saṃyuktābhidharmahṛdayaśāstra, thefour smṛtyupasthānas are described as discrimination both by particularinherent characteristics(svalakṣaṇa) and by generic characteristics(sāmā nyalakṣaṇa). And then, finally contemplation of anitya, śunya, anātmanand duḥkha of the saṃskṛta in the dharmasmṛtyupasthāna, whichinfluenced the Abhidharmakośabhāṣya.
    On the other hand, the classification of the four smṛtyupasthānasas, the foundation of mindfulness in their intrinsic nature as prajñā(svabhāvasmṛtyupasthānam), the foundation of mindfulness throughconnection(saṃsarga-s゚), the foundation of mindfulness in the beginningof an object(ālambana-s゚), is common to all of the Sarvāstivāda works,and one can find fairly general agreement in these texts that prajñā isthe foundation of mindfulness in and of itself. Therefore, in texts ofthe Sarvāstivāda, insight of the four smṛtyupasthānas is important forpractice. The four smṛtyupasthānas of the Sarvāstivāda arediscrimination of dharmas(dharmapravicaya), and ultimately theabandonment of defilements, which is conducive to the four kuśala-mūlas, and therefore is an important element of the path process in theSarvāstivād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