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高麗 木塔址 基壇部의 構成과 特性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Goryeo Wood Pagoda Site Stylobate)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3.09
28P 미리보기
高麗 木塔址 基壇部의 構成과 特性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악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악미술사학 / 15호 / 31 ~ 58페이지
    · 저자명 : 류형균

    초록

    목탑은 삼국시대부터 조영되기 시작하여 고려시대에도 다수의 목탑이 건립되었음을 ..高麗史.., ..陽村集..
    등의 문헌기록에서 찾아볼 수 있다. 고려 목탑은 현존하는 예가 없고 모두 터만 남아 있어 이에 대한 연구도상대적으로 미진한 실정이다. 그나마 발굴조사를 통해 그 양상을 파악할 수 있는 것은 7개소에 이른다. 고려목탑지 기단부는 평면 . 기단 . 계단 . 심초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각 구성요소와 특성을 살펴보았다.
    고려 목탑지의 평면 규모가 가장 큰 것은 실상사 목탑지로 7×7칸이며, 만복사지 목탑지는 5×5칸이다. 원향사지 목탑지는 5×5칸으로 추정되고, 사자사지 목탑지는 3×3칸이다. 중방리사지 목탑지는 3×3칸으로 추정할수 있다. 평면형태는 정방형과 팔각형으로 대별되는데, 정방형 평면은 만복사지 . 사자사지 . 실상사 . 중방리사지 . 원향사지 목탑지가 해당되고, 흥왕사지 목탑지는 팔각형이다. 초석은 만복사지 목탑지만 다듬돌 원형초석이고, 사자사지 . 실상사 . 천왕사지 목탑지는 자연석을 사용하였다.
    기단토 구축방법은 굴광성토형 . 지상성토형 . 지상판축형으로 구분된다. 굴광성토형은 실상사 . 중방리사지 . 천왕사지 . 원향사지 목탑지가 있다. 만복사지 목탑지는 지상성토형으로 파악하였고, 사자사지 목탑지는 지상판축형으로 확인되었다. 외장축조기법에서 가구식 석조기단의 예는 만복사지 . 실상사 . 흥왕사지목탑지가 해당되며, 사자사지 목탑지는 축단식 기단이고, 천왕사지 목탑지는 가구식 석전병용기단으로 보았다. 중방리사지 목탑지는 전축기단의 사례로 주목된다.
    계단이 2개소에 설치된 것은 만복사지 . 실상사 . 흥왕사지 목탑지가 있고, 1개소만 마련된 경우는 사자사지 . 중방리사지 목탑지가 있다. 만복사지 목탑지 계단은 디딤돌과 소맷돌까지 정연하게 다듬었고, 사자사지. 중방리사지 목탑지 계단석은 장대석으로 시설하였다.
    만복사지 . 사자사지 . 중방리사지 목탑지 심초석은 중앙에 위치했을 것으로 판단되고, 실상사 목탑지 심초석은 중앙에 놓여 있다. 심초 설치방법은 대부분 지상식의 특성을 보이며, 심초의 형태는 실상사 . 천왕사지 목탑지의 경우 방형이고, 정방형은 사자사지 심초석이 있다. 중방리사지 심초석은 장방형 평면에 원형 사리공이 있어 특이하다.

    영어초록

    According to Goryeo History, Yangchonjip Collection, and other literature, wood pagoda began to be constructed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a number of wood pagodas were constructed in the Goryeo period as well. No Goryeo wood pagodas have survived to the present day; instead, only their sites remained, making studying them difficult. Note, however, that seven such sites were excavated to be able to identify the styles of wood pagodas. The Goryeo wood pagoda site's stylobate unit consists of the ground, stylobate, staircase, and base stone,so their components and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Among the Goryeo wood pagoda sites, the Silsangsa Temple wood pagoda site area is the biggest with 7×7 kan,and the Manboksa Temple wood pagoda site measures 5×5 kan. The Wonghyangsa Temple wood pagoda site was presumed to be 5×5 kan, whereas the Sajasa Temple wood pagoda site measures 3×3 kan. The Jungbangrisa Temple wood pagoda site was presumed to measure 3×3 kan. The ground types are classified into a square and an octagon;the square type includes wood pagoda sites in the Manboksa Temple, Sajasa Temple, Silsangsa Temple, Jungbangsa Temple, and Wonhyangsa Temple sites, whereas the Heungwangsa Temple wood pagoda site is an octagon. For foundation stones, only the Manboksa Temple wood pagoda site used a trimmed circle foundation stone, whereas wood pagoda sites in the Sajasa Temple, Silsangsa Temple, and Cheonwangsa Temple sites utilized natural stones.
    Stylobate soil construction methods are classified into the excavated soil creation type, ground soil creation type,and ground plate creation type. The excavated soil creation type includes wood pagoda sites in the Silsangsa Temple, Jungbangrisa Temple, Cheonwangsa Temple, and Wonhyangsa Temple sites. While the Manboksa Temple wood pagoda site is of the ground soil creation type, the Sajasa Temple wood pagoda site is of the ground plate creation type. For the external construction method, furniture-type stone foundation examples include wood pagoda sites in the Manboksa Temple, Silsangsa Temple, and Heungwangsa Temple sites; the Sajasa Temple wood pagoda site has a piled staircase-type stylobate, whereas the Cheonwangsa Temple wood pagoda site has a furniture-type, offering table-combined stylobate. The Jungbangrisa Temple wood pagoda site draws attention as an example of brick stylobate.
    Wood pagoda sites with two staircases installed include those in the Manboksa Temple, Silsangsa Temple, and Heungwangsa Temple sites, whereas wood pagoda sites with one staircase installed include those in the Sajasa 高麗 木塔址 基壇部의 構成과 特性/ 류형균 57Temple and Jungbangrisa Temple sites. The Manboksa Temple wood pagoda's staircase features well-trimmed stepping stones and railings, whereas staircases in the Sajasa Temple and Jungbangrisa Temple wood pagoda sites were made of large and long stones.
    Base stones in the Manboksa Temple, Sajasa Temple, and Jungbangrisa Temple wood pagoda sites were presumed to be located at the center, whereas the base stone in the Silsangsa Temple wood pagoda site is centered.
    The base stone installation method is characterized mostly by the ground-type method. For the base stone shape,wood pagoda sites in the Silsangsa Temple and Cheonwangsa Temple sites resemble a rectangle, with the Sajasa Temple wood pagoda site having a square base stone. The base stone in the Jungbangrisa Temple site has rectangle and circular sarira spa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악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