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구속과 보석 내지 조건부 석방 (Detention and ‘Bail or Conditional Releas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24.06
27P 미리보기
구속과 보석 내지 조건부 석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형사법학회
    · 수록지 정보 : 형사법연구 / 36권 / 2호 / 267 ~ 293페이지
    · 저자명 : 최병천

    초록

    이 논문은 구속 사유가 소명되어 구속한 피고인을 보석에 의해 석방하는 이유가 무엇일까라는 의문에서 시작되었다. 보석은 일정한 조건을 부과하여 구속사유를 해소시킴으로써 구속된 자를 석방하는 제도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피의자에 대해서는 일정한 조건을 부여하여 구속 사유를 제거함으로써석방될 기회를 부여하지 않거나 제한하고, 피고인이 되어야만 보석의 기회를부여받게 하는 것이 입법론적으로 타당한지 검토하였다. 구속이 피의자와 피고인에게 끼치는 불이익이 크다는 점을 감안하면 도주나증거인멸의 염려가 있는 피의자ㆍ피고인이라고 하더라도 일정한 조건을 부과하여 그러한 구속 사유를 해소시킬 수 있다면, 국가로서는 마땅히 일정한 조건을 부과하여 피의자ㆍ피고인을 석방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또한 피의자를 일단 구속하였다가 그로부터 얼마 지나지 않아 기소가 되면 보석을 허용하는 것은 불합리하다. 미국은 체포 직후에 치안판사가 일정한 조건을 부과하여 도주나 사회에 대한 위험성을 제거할 수 있는 때에는 조건을 붙여 석방하도록 하고있고, 영국과 독일도 피의자ㆍ피고인 석방 제도를 단일하게 운용하여 피의자도보석을 청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는 점에 비추어보더라도 그러하다. 결론적으로 영장실질심사 절차에서 구속영장의 발부 여부를 결정하면서 동시에 보석 결정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라고 생각된다. 최근대법원은 피의자에게 구속영장을 발부하는 대신 거주지 제한 등의 일정한 조건을 달아 불구속 상태에서 재판을 받도록 하는 조건부 구속영장 제도의 도입을검토하고 있다. 조건부 석방은 구속영장 발부 단계에서 피의자에 대한 보석을허용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 이러한 조건부 석방 제도의 도입에 관하여 “구속되어야 할 피의자가 석방되어 피해자 보호에 역행하고, 수사상 장애를 초래해실체적 진실발견을 저해할 가능성이 크다.”라는 비판이 있다. 그러나 조건부석방 제도가 일정한 조건을 부과하여 구속 사유를 해소시킴으로써 피의자에게석방의 기회를 넓히는 방식으로 시행된다면 이를 반대할 필요는 없고 오히려 적극 찬성하여야 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began with the question of what is the reason for releasing a defendant on bail after he has been detained on establishing of the causes of detention. Bail is a system that releases an arrested person by imposing certain conditions by which the reasons for detention can be resolved. From this perspective, I examined whether it would be legislatively appropriate to not give or restrict suspects the opportunity to be released on bail which will remove the causes for their detention until they become defendants.
    Considering that detention impacts great disadvantages on suspects and defendants, even for suspects and defendants who may escape or destruct evidence, the state should make an effort to avoid arrests and to release suspects and defendants, if such risks can be resolved by imposing certain conditions.
    Additionally, it is unreasonable to arrest a suspect and then grant bail if he is prosecuted shortly thereafter. In the United States, a magistrate imposes certain conditions immediately after arrest, allowing release with conditions when the risk of flight or danger to society can be eliminated. The United Kingdom and Germany also operate a uniform release system for suspects and defendants, allowing suspects to be released on bail.
    In conclusion, I think it is most reasona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o issue an arrest warrant during the warrant issuing process while also allowing bail decisions to be made. Recently, the Supreme Court is considering the introduction of a conditional release system that allows suspects to be tried without detention by imposing certain conditions, such as residence restrictions, instead of issuing arrest warrants to suspects. Conditional release is no different from granting bail to a suspect at the stage of issuing an arrest warrant.
    Regarding the introduction of this conditional release system, there is criticism tha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suspects who should be detained might be released, which will go against the protection of victims, obstruct criminal investigation and hinder the finding of the substantive truth.” However, if the conditional release system is implemented in a way that increases the chances of release for suspects by imposing certain conditions and resolving the causes of detention, there is no need to oppose it, but rather, it should be actively suppor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형사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