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재외동포, 이주 및 다문화 배경 구성원 대상 한국어 교육 정책에 대한 소고 -외교부, 법무부, 여성가족부의 한국어 교육 사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for Overseas Koreans and Members of Migrant and Multi-cultural Backgrounds -Focusing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jects by the Ministry of Foreign Af)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22.12
34P 미리보기
재외동포, 이주 및 다문화 배경 구성원 대상 한국어 교육 정책에 대한 소고 -외교부, 법무부, 여성가족부의 한국어 교육 사업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민족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민족문화연구 / 80권 / 80호 / 529 ~ 562페이지
    · 저자명 : 서진숙, 장미라, 김지형, 봉원덕

    초록

    이 연구는 국내외 외국인 대상의 한국어 교육 정책을 주관하고 있는 정부 부처인 외교부, 법무부, 여성가족부의 한국어 교육 정책과 주요 사업을 살펴보고 문제점을 고찰하여 각 부처의 한국어 교육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에 2000년대부터 2021년 상반기까지 각 부처의 한국어 교육 정책과 사업 자료를 확인하고 주요 사업의 변화와 특징을 교육과정과 교재 개발, 교원 양성, 교육 지원, 교육과정 간 통합/연계의 4가지 기준으로 기술하였다. 세 부처의 문서를 분석 기준에 따라 통합하여 분류하면, 교육과정과 교재 개발 영역의 문서는 총 73개(47.1%)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교육 지원 영역은 40개(25.8%), 교원 양성 영역은 37개(23.9%), 교육과정 간 통합/연계 영역은 5개(3.2%)로 나타나, 세 부처 모두 한국어 교육과정과 교재 개발 사업에 가장 많은 비중을 두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나머지 기준은 부처별로 약간의 차이가 나타났다. 세 부처별로 업무의 특성을 살펴본 결과, 세 부처 모두 대상별로 한국어 사업을 진행하고 있었다. 그러나 외국인의 한국어 학업 목적이 다양하고, 한국어 사업의 수혜 대상이 복잡해지고 있어 대상별 사업의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국어 교재 개발에서 외교부, 법무부, 여성가족부는 주무부서인 국립국어원과의 협력이 비교적 잘 이루어지고 있으나 외교부와 법무부는 부처별로 특성에 맞게 자체 교육 자료 개발에도 집중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교원 양성 측면에서는 국립국어원이 주관하는 한국어교원 자격을 인정하고 있으나 외교부는 한글학교 교사 인증제와 같은 제도를 추진하고 있으며, 법무부는 다문화사회전문가, 여성가족부는 방문 한국어교원 재교육 등에도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다. 이러한 점 등을 고려할 때 대상별로 각기 이루어지는 한국어 교육 정책에 대한 정비와 한국어 교육 정책을 전담할 수 있는 상위 부서의 운영이 여전히 필요함을 알 수 있었으며, 한국어 교육 수혜자 및 미수혜자 등에 대한 정보를 빅데이터로 축적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policies 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examining policies and major projects and considering problems of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the Ministry of Justice,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which are the government departments that oversee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ies for foreigners in Korea and abroad. With the examination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ies and project data of each ministry from the 2000’s to the first half of 2021,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major projects were described as four criteria: curriculum and textbook development, teacher training, education support and integration/liaison between curriculums. When the documents of the three ministrie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analysis criteria, the documents in the curriculum and textbook development area were the most common as 73(47.1%), the area of education support was 40(25.8%), the area of teacher training was 37(23.9%) and the area of integration/liaison between curriculums was 5(3.2%). This showed that the three ministries focused most on the curriculum and textbook development area and the rest of the standards differed slightly by ministry. The result of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work showed that all three ministries were conduc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business by targets. With the diversity of the purposes of learning Korean language and the complexity of beneficiaries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busines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limitations in business categorized by targets.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textbook, all three ministries were relatively well coordinated with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the primary concern department.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he Ministry of Justice focused on developing their own educational materials according to their departmental characteristics. In terms of teacher training, the Korean language teacher certificate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was recognized. However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was promoting a system such as the Hangul school teacher certification system. And the Ministry of Justice was making efforts through multi-cultural society specialist program and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through re-education of visiting Korean language teachers. To consolidate policies, it was still necessary to operate a higher level department dedicated to the reorganization and the operation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ies. It was also confirmed that it was necessary to accumulate information in big data on beneficiaries and non-beneficiari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