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성부지권(京城府之卷) 외 사진첩에 재현된일본인 거류지의 도시공간의 성격과 그 특징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Urban Space in the Japanese Settlement, Represented in Photo Album titled ‘A Book of Kyungsung(京城府之卷)’)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8.06
12P 미리보기
경성부지권(京城府之卷) 외 사진첩에 재현된일본인 거류지의 도시공간의 성격과 그 특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3권 / 3호 / 275 ~ 286페이지
    · 저자명 : 이연경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개항 이후 외국인에 의해 촬영된 사진들은 19세기 말 ~ 20세기 초의 도시공간을 살펴볼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본 연구에서는 통감부시기 제작된 『경성부지권(京城府之卷)』외 사진첩을 대상으로, 20세기 초 한국의 주요 개시장·개항장 도시들에 형성된 일본인 거류지의 도시공간의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일본인 거류지가 당시 한국의 도시들에서 가지고 있었던 의미에 대해 생각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연구대상인 『경성부지권(京城府之卷)』은 1900년대 후반 8개의 개항장/개시장 도시인 경성, 인천, 평양, 진남포, 군산, 목포, 마산, 부산을 찍은 사진첩이다. 이 사진첩은 일본인 거류지를 중심으로 개항장 개시장 도시들의 도시 환경과 건축 사진 300여매 이상을 포함하고 있다. 20세기 초반의 일본인 거류지 도시 공간의 분석을 위해, 사진들은 크게 도시 환경과 건축으로 분류하였으며, 건축의 경우 시설 용도에 따라 공공, 교육, 의료, 주거, 상업 및 위락시설 등으로 세분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는 우선적으로 『경성부지권(京城府之卷)』외 사진첩의 출처와 제목, 제작의도 등을 밝혀내고, 이를 통해 이 사진첩의 성격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 이 사진첩이 일본인 거류지를 소개하기 위해 일본인 거류민의 지원 하에 일본인 사진가에 의해 1907년 경 제작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경성부지권(京城府之卷)』 외 사진첩의 사진들을 1.도시전경 및 가로경관, 2.거류지 내 시설 및 건축, 3.도시별 특징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8개 도시의 일본인 거류지의 도시공간이 보여주는 특징 및 각 도시에서 가지는 의미에 대해 생각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서울과 평양 같은 개시장의 경우와 부산, 인천, 군산과 같은 개항장의 경우가 다른 양상으로 나타남을 확인해 볼 수 있었으며, 각각의 도시만의 특징들이 드러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건축적으로는 서양식과 일본식, 그리고 절충식 건축물들이 혼재하고 있으며, 2층 규모의 목조 건축물이 대다수였다. (결론) 『경성부지권(京城府之卷)』 외 사진첩에 수록된 8개 도시의 사진들을 통해 살펴볼 때, 20세기 초 개시장 및 개항장 도시들의 일본인 거류지가 가지고 있던 혼종적인 도시공간의 특징을 살펴볼 수 있었으며, 이같은 현상은 20세기 초 한국의 도시들에서 나타났던 서구화와 일본화, 근대화와 식민화가 혼재적으로 나타난 결과였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그 동안 자료의 부재로 많이 연구되지 못했던 20세기 초의 도시공간을, 특별히 민간건축과 생활공간의 차원에서 살펴볼 수 있었으며, 현재 남아있는 근대 도시 및 건축물들의 원형을 확인해볼 수 있었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Pictures taken by foreigners since the opening of ports in Korea are good sources to show the urban spaces of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This study aims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space and of Japanese settlement in the early 20th century with an analysis of A Book of Kyungsung (京城府之卷), a photograph album which was made in the early 20th century to analyze how Japanese settlement has functioned in open port/open market cities. (Method) A Book of Kyungsung (京城府之卷) is a collection of photograph albums which were taken in eight open ports and open market cities in Korea in the late 1900s: Seoul, Incheon, Pyeongyang, Gunsan, Masan, Pusan, Mokpo and Jinnampo. This album includes more than 300 images, and most of them are photographs focused on Japanese settlement within the urban environment and architecture of open port/open market cities. For the analysis of urban space in Japanese settlement in the early 20th century, pictures were categorized into urban environment and architecture, and the category of architecture was subdivided according to the usage of the facility: public, educational, medical, residential, commercial and recreational. (Results) As a starting point, this study tries to find basic information about A Book of Kyungsung (京城府之卷), including its author, its date and its purpose. It is assumed that this book was produced around 1907 by a Japanese photographer with the support of Japanese settlers, and it was made as an introduction of Japanese settlement. Characteristics of urban space represented in the pictures were then analyzed in three aspects: 1. Cityscape and streetscape, 2. Architecture, and 3. Urban characteristics. As a result, it is revealed that the cases of open market cities such as Seoul and Pyeongyang, and the cases of open port cities including Pusan, Incheon and Gunsan, are different, with each city having its own characteristics. In its architectural aspect, the style of buildings is diverse: Western, Japanese and eclectic. Most of them are wooden structures with a second floor. (Conclusions) The urban space described in the pictures of A Book of Kyungsung (京城府之卷) is a mixed and hybridized one, and it is a result of the complex changes of Korean modern cities in the early 20th century due to modernization and colonization and westernization and Japanization. With this study, it is also available to depict the original form of urban space and architecture in the open port and open market c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