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두기봉의 밀키웨이 제작사와 포스트 -1997 홍콩영화 정체성의 문제: 느와르 작가주의와 ‘중국화’(mainlandization) 사이에서 (Johnnie To’s Milkyway Image Production Company and Post-1997 Hong Kong Film Identity : Between Auteurist Film Noir and “Mainlandization”)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23.03
38P 미리보기
두기봉의 밀키웨이 제작사와 포스트 -1997 홍콩영화 정체성의 문제: 느와르 작가주의와 ‘중국화’(mainlandization) 사이에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아시아영화연구 / 16권 / 1호 / 143 ~ 180페이지
    · 저자명 : 박은지

    초록

    포스트-1997년 시대를 맞이한 홍콩 영화에서 가장 존재감 있는 감독 중 하나로 두기봉 감독을 떠올리는 것은 어렵지 않다. 오늘날 중・홍 합작의 대작영화들이 대세로 자리 잡은 중화권 영화계에서 두기봉은 존재가 희미해져가는 홍콩 느와르의 맥을 계승하는 ‘느와르계의 대부’로 불린다. 지난 세기말부터 현재까지두기봉은 작가적 색채와 홍콩인으로서의 의식이 가감 없이 묻어나는 다작의 활동을 펼쳐옴으로써 중국으로의 반환 이후 침체기에 빠진 ‘홍콩 영화의 재활성화라는 미션을 스스로 수행해 온’ 감독으로 간주되어 왔다.
    이 글에서는 포스트-반환 시대의 두기봉에 초점을 맞추면서 그를 느와르 영화의 스타일리스트이자 동시에 홍콩의 굴곡과 변천에 따른 시대상을 포착하는 작가주의 감독으로서 바라보고자 하며, 이를 다음의 두 가지 요소와 연관을 지으면서 시기별로는 1990년대 말, 2000년대, 2010년대 이후로 각각 구분하여 헤아려보려고 한다. 첫째, 두기봉이 일구어온 필모그래피의 다기한 요소들은 그가 지난세기 말에 설립한 밀키웨이 제작사와의 연관성 속에서 존재한다는 점이다. 밀키웨이는 대형 스튜디오시스템과 상업화된 스타시스템이 지배하는 홍콩 영화계에대항하려는 의도가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했고, 그에 대한 타개책으로서 두기봉스스로 염원하던 독창적이고 창조적인 영화 만들기에 대한 갈증에서 탄생한 영화사이다. 그렇다고 두기봉의 작품세계에 작가적인 지향이 두드러진 느와르물만존재하는 것은 결코 아니며 대중적이고 상업적 지향의 로맨스 코미디들도 공존하는 것이 사실이다. 이는 그가 상업적인 영화와 작가주의적 영화라는 상이한 두경향 사이에서 어떻게 줄다리기하면서 밀키웨이 제작사를 유지해오고 있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스스로 작가적 정체성으로 인지하는 느와르 작가주의 영화를 이어나가는지 들여다볼 수 있는 흥미로운 사례를 제공한다고 보인다.
    둘째로는, 이러한 그의 영화세계와 밀키웨이 제작사의 행보는 반환 이후 침체기에 접어든 홍콩 영화와 ‘중국화’(mainlandization)되는 홍콩영화의 변화하는풍경 속에서 위치시켜야 할 필요도 제기한다. 이는 홍콩과 중국을 다루는 영화속 재현의 방식에서도 드러나지만, 실질적으로 밀키웨이가 중・홍 합작영화 제작에 뛰어든 2010년대 이후로는 현실 정치적인 맥락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방식으로 드러나고 있는 중이다. 두기봉의 느와르 작가주의가 중국 광전총국의 엄격한심의를 통과하기 위해 그 스타일이나 메시지의 미학적, 사회적 지평을 협상하는과정에서 그것이 과연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중재되거나 번역될 수 있을 것인가의 문제는 합작을 둘러싼 주요한 관건이 되어왔다. 이처럼 포스트-반환 시대에두기봉과 밀키웨이가 일구어온 작품세계는 중국 본토 시장을 홍콩영화가 어떻게돌파하는지 보여주는 전략의 예, 그리고 그 한편으로는 홍콩 영화제작사와 중국의 검열당국 사이에 발생하는 이해충돌과 협상의 실제라고 하는 두 가지 사이에서 진동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영어초록

    the most prominent directors working in Hong Kong of the post-1997 era. Amid the prevalence of big-budget Hong Kong-China co-productions he persistently produces the works of Hong Kong film noir, a genre that remains in a somewhat fading vein as not so translatable to the mainland market. His filmography is at once imbued with a highly personal style and a consciousness of Hong Kong society, thereby contributing to his recognition as a filmmaker to help revitalize Hong Kong cinema out of its post-return stasis.
    This essay looks at Johnnie To as a stylistically accomplished auteur who draws on the contemporary sensibilities of Hong Kongers, particularly in connection with the following two factors. First, the diversity element of To’s filmography can be attributed to the way he headed Milkyway Production Company since its establishment in 1996. Conceived as a breakthrough to sidestep the mainstream studio system and star system that had dominated Hong Kong film industry, Milkyway was borne out of To’s desire for creative and autonomous control over filmmaking. However, given the prolific body of work that includes commercially-oriented romantic comedies as well as the more auteurist-oriented films noirs, Milkyway’s production model merits an investigation. This demonstrates how To manages to maintain his auteur status by engaging in a tug-of-war between popular and what he calls “individual” filmmaking.
    Second, To’s engagement with the maneuver of Milkyway Production needs to be located within the changing landscape of Hong Kong film industry that has been increasingly becoming “mainlandized.” This tendency turned out to be more important when Milkyway found itself within a situation involving the political context of the various censorship issues since it ventured into making Hong Kong-Chinese co-production films from the early 2010s onwards. It remains to be seen whether To’s auteurist sensibilities and his specialty in the film noir genre will be sustainable without compromising too much of the aesthetic style and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themes while also accepting to negotiate through the stringent regulations and limitations laid by the censorship authority in China. The work created by To and his Milkyway production team in the post-return era shows an example of how an independent Hong Kong film company has been breaking through the mainland Chinese market while, at the same time, the conflicts of interest and the reality of translations between Hong Kong filmmakers and Chinese censors still persi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