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진도 당재봉 일대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 해안사구 식생변화 (Changes of Vegetation in the Coastal Sand Dunes following the Transformation of Land use in Dangjae-bong on Jin-do Island, Jeollanam-do)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9.10
18P 미리보기
진도 당재봉 일대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 해안사구 식생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도서(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도서연구 / 31권 / 3호 / 277 ~ 294페이지
    · 저자명 : 최영은

    초록

    본 연구는 사구주변지역의 레저산업단지조성 등과 관련한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해안사구식생의 변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전라남도 진도 의신면 당재봉 일대 해안사구에 대한 식물상, 식생, 종다양성의 변화를 분석한 것이다. 전라남도 진도 당재봉 일대 토지이용변화(2016~2019년에 걸친 개발로 산림지역이 리조트 단지로 변화하였음)에 따른 해안사구 와 해안암석 등에 서식하는 식생 및 식물상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2013년도와 2019년도에 조사를 실시하였다.
    식물상의 변화는 2013년도에 비해 2019년 조사에서 5종이 추가 조사되었다. 추가 조사된 5종 중 4종은 귀화식물이며, 1종은 육상식물로서 5종 모두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 침입종들로 나타났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의 변화는 일어나지 않았으며, 귀화식물의 변화는 3종에서 7종으로 증가하였다. 자생식물의 증가보다는 귀화식물이 증가한 것은 개발로 인한 침입종들이 해안사구에 유입된 결과로 보인다.
    생활형은 7개 유형의 휴면형을 나타내는 식물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3년 조사에서는 반지중식물(H)이 34.04%로 가장 많았으며, 지중식물(G), 1년생식물(Th), 동형1년생식물(Th(w)) 순으로 많았다. 그러나 2019년 조사에서는 동형 1년생식물이 5종 중 3종으로서 반지중식물(H) 다음으로 분포비율이 높았다.
    해안사구식생의 식물군락은 총 7개 군락으로 구분되어졌으며, 2013년도에 비해 2019년 조사에서 우점도와 종조성의 변화가 있었다. 식물의 수도변화는 해안사구 식생의 전형적 구성종인 통보리사초, 갯메꽃, 갯완두 등은 감소하였으나 귀화식물과 목본류 침입종인 돌가시나무와 순비기나무는 증가하여 해안사구 주변의 토지이용 변화에 의한 인위적인 빈번한 간섭이 이들 종의 수도변화를 일으킨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비교적 해안 바닷가와 근접해서 서식하는 갯질경, 나문재, 갯잔디 등은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이 지역 해안사구 침입종들의 대부분이 염도에 내성이 크지 않기 때문에 바닷물에 영향을 받고 있는 지점으로의 침입이 허용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종다양성은 2013년에 비해 2019년에 3종류의 종다양성 지수가 높게 나타났으나 종다양성 지수의 차이는 매우 작았다. 식생의 종다양성의 증가 현상은 식생의 안정성에 의한 결과 보다는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 해안사구현상의 교란이 종 침입의 결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보면 이들 침입종은 해안사구 식생의 종구성, 생활형, 수도(abundance), 종다양성의 변화 등을 유발하였으며, 해안사구 식생의 천이진행을 매우 빠르게 유도하여 해안사구식생 종구성의 전형성을 크게 변화 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esinvegetation andflora in the coastal sand dunes and rocks following land-use transformation between 2013 and 2019. The study area is located on Dangjae-bong(hill) on Jin-do island, South Korea andthe area has been developed from aforest area to a resort complex overthe last 3 years.
    It has been confirmed thatchanges in flora, with 5 species added in the year 2019,have occurred whencompared to the year 2013. Of the five species investigated, four were naturalized plants and one was a terrestrial plant. All of the five species were identified as invasive species, which were caused by the transformationin land-use. There was no change in the specific floristic species, but the number of changed naturalized plants increased from 3 to 7 species. The increase of naturalized plants instead of native plants seems to be the result of invasive species introduced into the coastal sand dunes due to the development and construction.
    Among the life forms, 7 types of dormant plants turned out to be distributed in the studied area. In the 2013 survey, the ratio of hemigeophytes (H) was the highest (34.04%), followed by geophytes (G), therophytes (Th) and homomorphic therophytes (Th(w)). However, in the 2019 survey, three out of five species were homomorphic therophytes, the second highest next to hemigeophytes.
    The costal dune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7 communities in the study area. There were changes of the dominance index and species compositions in vegetation between 2013 and 2019. With regard to changes in the abundance of plants, Carex kobomugi, Calystegia soldanella, and Lathyrus japonicus, all of which are the typical components of coastal sand dune vegetation, have decreased while Rosa wichuraiana and Vitex rotundifolia, which are naturalized plants and woody invasive species, have increased.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demonstrate that frequent anthropogenic disturbances from the change of land-use in areasadjacent to the coastal sand dunes caused to alter the abundance of such species.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no changes in abundance of Limonium tetragonum, Suaeda asparagoides, and Zoysia sinica, which are found relatively close to the beach. This is deemed to bebeca use the most invasive species of the coastal sand dune areas are much less tolerant of salinity that intrusion into the areas affected by seawater does not allow their growth.
    As for the diversity of species, the diversity index ofthe 3 types was higher in 2019 than in 2013, but the gap of the plant species diversity index was very small. The increase in species diversity of dune vegetation is due to the invasion of coastal sand dunes due to land transformation rather than to the stability of veget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도서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