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울 奉恩寺 板殿의 佛畵 연구 (Buddhist Paintings of Panjeon Hall at Bongeunsa Temple in Seoul)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20.06
25P 미리보기
서울 奉恩寺 板殿의 佛畵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악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악미술사학 / 27호 / 35 ~ 59페이지
    · 저자명 : 신광희

    초록

    서울 奉恩寺 板殿에는 <비로자나설법도>와 <신중도>가 봉안되어 있다. 1855-1856년 경판 조성과 판전이 건립된 후, 1857년 <신중도>를 봉안했으며, 이후 1878년 건물을 보수, 증축하고 1886년에 주불도로 <비로자나설법도>를 봉안했다. 판전에는 80화엄 경판이 일괄 봉안되어 있는데, <신중도>는 ‘39위 華嚴神衆’, <비로자나설법도>는 ‘華嚴敎主 毗盧遮那佛’을 주존으로 한 그림이라는 점에서 건물의 성격과 명확히 부합한다. 이 그림들은 존상의 형상은 물론 필선과 채색에서도 뛰어난 畵法이 확인되며, 무엇보다 圖像이 명료할 뿐만 아니라 독자적이다. 이는 당시 저명 화사와 증명 법사를 동원할 수 있었던 봉은사의 사세와 연관이 깊다.
    <신중도>(1857)는 판전 불사를 발원, 주도했던 南湖永奇의 영향력 아래 月霞世元이 주관해서 그린 그림이다. 그리고 <비로자나설법도>는 出草 화사 慶船應釋과 證明 虎奉應奎의 역할이 주요했다. 후원자의 경우, <신중도>는 화기가 손상되어 구체적인 양상을 파악하기 어려웠으나, <비로자나설법도>의 경우 尙宮들이 15명 올라있어 주목된다. 봉은사의 경우는 15세기부터 王室의 적극적인 후원을 받았던 대표적인 願刹이다. 더욱이 조선 말 경판과 판전 불사 때 왕실에서 실제 內帑金을 지원한 바 있어, 상궁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했다고 여겨진다. 이 그림들의 원문에는 모두 ‘(水月道場)空花佛事’라는 용어가 등장한다. 이는 16세기 봉은사의 대표적인 승려이자 주지였던 虛應普雨와 道場 儀式 전통과 연관이 깊다.
    奉恩寺는 명실상부 조선의 대표적인 왕실 원당이자 후원 사찰이다. 그리고 虛應普雨를 비롯해 高僧 大德이 활약했던 명찰이기도 하다. 이러한 위상은 판전의 불화 <비로자나설법도>와 <신중도>에도 반영되어 있으며, 판전의 불사 추이, 불화의 화풍, 제작 주체와 후원자, 불화 불사와 의식의 성격 등을 통해 다각도로 확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re are two Buddhist paintings, Vairocana Buddha Preaching and the Buddhist Guardians in Panjeon Hall(板殿) of Bongeunsa Temple(奉恩寺) in Seoul. These paintings were produced in the late 19th century,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From 1855 to 1856, the monks of Bongeunsa Temple made thousands of wooden boards of the Avatamsaka-sutra(華嚴經) and built Panjeon, a hall to store them. And in the following year, 1857, they produced the Buddhist Guardians(神衆圖) composed of 39 deities and hung it on the wall of the Hall. Afterwards, the Panjeon was renovated and expanded in 1878, and in 1886, Vairocana Preaching(毘盧遮那說法圖), main Buddha of Avatamsaka Pantheon was produced and hung on the center of the hall.
    The painting, the Buddhist Guardians was supervised by the monk Sewon(世元) under the influence of Venerable Younggi(永奇), who had led the affairs of wood blocks of Buddhist Sutra and the Hall, Panjeon. Next, the under drawing of Vairocana Buddha was painted by the monk Eung-suk(應釋), and the monk Eungyu(應奎) confirmed finally. This painting is very characteristic of composition and composition. I think this is closely related to the capabilities of the two monks. The patron of the Buddhist Guardians is unknown, but Vairocana Buddha was sponsored by 15 court official Ladies. Bongeunsa Temple has been actively supported by the royal family since the 15th century. Moreover, the royal family actually financed the woodblocks of the scriptures and the construction of the Panjeon Hall. Due to this background, it is believed that the court official ladies supported. The papers with a wish were added to the two pictures.. By the way, the term ‘水月道場空花佛事’ was written on the papers. ‘Suwoldoryang Gonhuabulsa’ mean that everything is accomplished by hetu-pratyaya, and it is directly related to the thought of Avatamsaka-sutra. This is closely related to the tradition of the ritual which was dominated by the Venerable Bowu(普雨), who was the representative monk and master of Bongeunsa Temple in the 16th century.
    Bongeunsa temple is a representative royal sponsored temple in Joseon Dynasty. And it was a temple where great monks were active. This status is reflected in the picture of Panjeon Hall. At that time, the status of this temple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style of painting, the leading monks and patrons, and the ritu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악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