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회봉문고에 대한 일고 - 문헌으로서의 가치와 지적 배경을 중심으로 - (A Study on Hoebong Library(晦峯文庫) - Focusing on its value as a literature, intellectual background -)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24.09
28P 미리보기
회봉문고에 대한 일고 - 문헌으로서의 가치와 지적 배경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지학연구 / 99호 / 29 ~ 56페이지
    · 저자명 : 함영대

    초록

    「東儒學案」의 저자, 晦峰 河謙鎭(1870∼1946)은 俛宇 郭鍾錫(1846∼1919)의 문하에서 수학하여 寒洲學派의 학맥을 계승한 학자이다. 그는 학맥으로는 퇴계의 학풍을 계승한 고제이며, 가학으로는 남명의 학풍을 계승한 적전이라는 점은 회봉이 가지는 학문적 성격과 위상을 대변하는 것이다.
    그의 대표적인 저작인 「동유학안」과 「동시화」에 대한 연구는 이미 적지 않게 제출되어 있으며 그가 중간한 「주자어류」에 대한 학술사적 표창 역시 꾸준히 학계에서 진행 중이다. 그런데 전통학문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와 정리, 또 부흥을 위해 노력한 저력있는 학자이자 문장가로서의 위상에 비해 그의 지적 배경에 대한 연구는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못했다. 근년에 경상국립대 고문헌도서관 문천각에 기증된 회봉문고의 존재는 회봉의 지적 저변을 이해하는데 요긴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회봉 하겸진의 문고를 검토한 결과 그의 지적 저변은 물론 지식인 네트워크를 확인할 수 있는 가능성을 살필 수 있었다. 선현 문집들의 초간본을 소장하며 조선유학사의 전통을 잇는 한편 동아시아사와 조선사의 사적 전통에 대한 관심을 확인했다. 이익과 안정복 등 저명한 남인학자들의 문헌을 소장하여 그 학통을 다시금 확인했으며, 이건창과 조긍섭, 이병헌 등 당대 저명학자들의 저술도 빠짐없이 구비하고 있었다. 아울러 예학과 예술에 대한 관심도 일정 부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변화하는 당대상에 대응하는 저작과 내면에 저류하고 있는 일본에 대한 저항정신도 엿볼 수 있었다.
    이렇게 전통적인 유학자의 체질을 벗어나지 않았지만 다양한 분야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상대적으로 풍부한 장서를 소장했던 회봉의 학문적 저력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동시대의 학문변화에 둔감하지 않아 당대의 변화상에 뒤처지지 않고 대응하는 면모 역시 확인할 수 있다. 미처 다 검토하지 못했지만 1946년 그의 사후에도 여전히 답지되고 있는 문집의 사정을 살펴본다면 전통시대의 문헌에 대한 향수와 향유는 1950년대를 지나면서도 여전히 활력을 가지고 진행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회봉문고 연구의 또 다른 관심사가 될 터이다.

    영어초록

    Dongyu Hakan(東儒學案), Hoebong Ha Kyung-jin(河謙鎭, 1870∼1946) is a scholar who studied under Myeon-woo Kwak Jong-seok(郭鍾錫, 1846∼1919) and inherited the academic vein of the Hanju (寒洲) school. The fact that he is an ancient emperor who inherited the academic style of the late dynasty and the scholarly style of Nammyung represents the academic character and status of Hoebong.
    A considerable number of studies have already been submitted on his representative works, Oriental Studies and Simultaneous Painting, and the academic historical recognition of his intermediate work Juja Phonetic similarity is also steadily being carried out in the academic world. However, compared to his status as an influential scholar and writer who made efforts to review and organize traditional scholarship and revive it, not enough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his intellectual background. The existence of the Hoebong Library, which was donated to the Muncheongak Library of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in recent years, can be used to understand the intellectual base of Hoebong.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paperbacks of Hoebong Ha Kyung-jin, we were able to examine not only his intellectual base but also the possibility of identifying his network of intellectuals. By keeping the first editions of the Seonhyun Writings, he continued the tradition of the history of Joseon and confirmed his interest in the historical traditions of East Asian history and Joseon history. It reaffirmed its scholarship by collecting the literature of prominent South Korean scholars such as Lee YK and Ahn Jeong-bok, and also had the writings of famous scholars of the time, such as Lee Kun-chang, Cho Hyung-seop, and Lee Byung-hun. At the same time, I was able to confirm a certain amount of interest in arts and art. In addition, I was able to get a glimpse of his writings that respond to the changing current situation and the spirit of resistance against Japan that is inhabiting within him.
    In this way, although he did not deviate from the constitution of a traditional Confucian scholar,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academic strength of Hoebong, who had a relatively rich collection of books based on his interest in various fields.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y are not insensitive to the changes of contemporary scholarship and respond to the changes of the time. If we look at the situation of the anthology, which has not yet been examined, but which is still being answered after his death in 1946, we can see that the nostalgia and enjoyment of the literature of the traditional period is still going on with vigor through the 1950s, which will be another interest in the study of the Hoebong collec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지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