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玉峯의 詩世界 (The poetic world of Okbo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0.12
27P 미리보기
玉峯의 詩世界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漢文古典硏究 / 21권 / 1호 / 95 ~ 121페이지
    · 저자명 : 천부성

    초록

    본 논고는 16世紀 韓國 漢詩史上 宋詩風이 주류를 형성하던 詩風이 唐詩風으로의 전환기를 맞이하여 그 중심에 있던 三唐詩人 중 湖南 제일의 시인으로 꼽히며 五言絶句의 風格이 千年 속에 가장 위대하다고 定評이 나 있는 玉峯 白光勳의 詩世界를 다루고자 하였다.
    이에 서론에서는 三唐詩人의 정의와 玉峯 白光勳의 詩에 대한 기존 연구자들의 연구방향과 내용을 제시하고 본 논고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는 玉峯의 시세계에서는 作品의 槪觀 및 內容別 作品을 통하여 玉峯의 시세계를 分析하였다. 作品의 內容에서는 객지에서 고향을 그리워하는 것이나, 친구와의 이별을 아쉬워하는 孤獨의 情恨, 그리고 역사적 현장에서 역사적 사실을 연상하면서 느끼는 감회를 읊은 無常의 懷古, 산수를 벗하며 자연에 심취 또는 계절의 정취를 읊은 自然의 景物, 마지막으로 世俗을 떠나 山寺에서 짓거나 여러 승려들과 주고받으며 느낀 것을 표현한 交遊의 脫俗으로 분류하여 作品을 분석해 보았다.
    玉峯詩의 特徵에서는 修辭的 측면과 內容的 측면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修辭的 特徵에서는 經史 및 故人古事․名人名句에서 詩意와 詩語를 통하여 표현하는 用事性, 자연의 뛰어난 景物을 통해 얻은 시인의 정감을 눈앞에서 그림을 보고 있는 듯 묘사하는 繪畫性, 觀念化한 사물을 詩를 통하여 단순한 자연물이 아닌 자신이 추구하는 이상적 삶을 나타내는 象徵性으로 분류해 고찰하였다. 또한 內容的 特徵에서는 淸新한 內容과 古淡한 內容으로 분류해 고찰하였다.
    이상과 같이 玉峯의 詩는 기존의 詩가 까다로운 修辭와 난해한 典故를 사용하며, 文學을 과시 혹은 心性修養의 도구로 생각하던 主理的 성향에서 탈피하여 聲律의 생동감 및 자연스러움이 넘치는 언어로 표현하는 主情的 성향의 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玉峯詩가 관념적이지 않고 개인의 情緖를 솔직하게 표현하며, 生活的 情感을 詩化하여 文學의 獨自性을 확립한 점과, 唐詩의 詩法을 수용하면서도 우리의 풍토에 맞는 개성을 유지하고자 노력하였던 自主性은 특히 玉峯詩를 韓國 漢詩史的 측면에서 조명해 볼 때, 그 位相이 더욱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영어초록

    A poetical style in the late Goryeo and the early Joseon was formed the mainstream of the Song dynasty’s poetic style including Su Dongpo. From a year of King Seongjong, especially the Gangseo poetical style dominated momentarily even out of Song dynasty’s poetic style. Tang Poetry, which had been intermittently followed from the early foundation of a country with entering the 16th century, was finally in full blossom with entering the period of Mokneungseongse(穆陵盛世). In the meantime, the poetic style faced a turning point in the age of Korea’s Hansi(Chinese poetry) history.
    There were three tang-style poets in the center of Learning Dang’s Poem. This study aims to address the poetic world of Okbong Baek Gwang-hun, who published collection of poems for the first time among three tang-style poets, whose number of works are extraordinarily many, too, who is selected as the best poet in Honam, and who is publicly acknowledged to have greatest refinement of Five-word Poems in a thousand years.
    In the introduction of ChapterⅠ, it examined the existing research achievements, and inquired into research objective and research method.
    In Okbong’s poetic world of ChapterⅡ, it performed the formal classification and the content-based classification in works first through a general survey of works. It examined by segmenting the contents of works in the world of work into what feels homesick in a strange land, what expressed the yearning heart with having a friend far away, the sorrow of solitude, which feels regrettable for separation from a friend, the reminiscence of uncertainty, which recited sentiments of being felt while associating with historical fact on the historical field, the scenery of the season in nature with the aim of discovering the matter-based ego in the subject amid nature, the uneasiness about life that is felt in government-post life of the chaotic world, and the unworldliness in friendship of being felt while giving and receiving poems with several Buddhist monks.
    Next, in the characteristics of Okbong’s poetry of ChapterⅢ, it proceeded with approaching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Okbong’s poetry, by exploring the rhetorical characteristics and the content-based characteristics.
    Okbong accepted Tang Poetic Style, but maintained individuality. He completed individual and intuitive poetry that is excellent in creativity, thereby having obtained a name as a poet of Tang poetical style by changing himself in the middle of poem with leading a peaceful living, and allowed even internal conflict to be sublimed artistically. He can be said to be great in the significance of poetic-literary history in a sense that individualized literature by freely poetizing the specific and individual living emotion and by recovering independent world in poem with escaping from the trend of regarding poem as a means of cultivating culture or nature in life of Sadaebu(scholar-officials of Jose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文古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