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향의 발견, 호명된 ‘영서(嶺西) - <봄·봄>, <동백꽃>과 <모밀꽃 필 무렵>을 중심으로 - (The discovery of one’s homeland, called ‘Yeongseo(嶺西)’ - Focus on Spring & Spring, Dongbaek flower and Buckwheat Season -)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20.10
32P 미리보기
고향의 발견, 호명된 ‘영서(嶺西) - &lt;봄·봄&gt;, &lt;동백꽃&gt;과 &lt;모밀꽃 필 무렵&gt;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의 연구 / 72호 / 31 ~ 62페이지
    · 저자명 : 이현주

    초록

    이 글은 근대성의 세례를 받고 도시에서 성장한 도시적 감수성의 이효석과 김유정이 ‘향토적 서정성’ 내지 ‘고향’을 대표하는 작가로 자리매김 된 맥락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글은 이효석과 김유정 문학의 경우, 고향 ‘영서’가 문학 텍스트의 사회적‧역사적인 생산 환경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하고 있다. 특히 <봄·봄>, <동백꽃>, <모밀꽃 필 무렵>에 나타나 있는 ‘영서’(혹은 고향) 표상이 지닌 의미를 출판 매체(잡지)라는 당대 텍스트 생산의 사회적‧역사적 맥락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우선 『조광』지에 발표된 이효석과 김유정의 ‘농촌’ 배경 소설이 지닌 의미를 1936년 『조광』 고향 기획 특집과 연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종합대중잡지를 표방하고 1935년 11월 창간된 『조광』이 1936년 네 차례에 걸쳐 진행한 ‘고향’ 특집 기획은 김유정과 이효석의 나타난 ‘고향’ 내지 ‘농촌’ 표상의 사회적‧역사적 맥락으로 작동하고 있다. 『조광』의 1936년 고향 기획 특집은 <봄·봄>(『조광』, 1935. 12), <동백꽃>(『조광』, 1936. 5)과 <모밀꽃 필 무렵>(『조광』, 1936. 10)의 향토성과 서정성을 추동한 것으로 판단된다. 더불어 이효석과 김유정이 ‘향토적 서정성’을 형상화한 대표적 작가로 불리게 된 저변에는 문단에서 입지를 확고하게 하고 싶어 했던 두 작가의 욕망과 분투도 나란히 자리하고 있다.
    이 글은 김유정의 <봄·봄>, <동백꽃>과 이효석의 <모밀꽃 필 무렵>을 중심으로 발표 지면이 어떻게 텍스트의 사회적·역사적인 환경으로 작용하고 있는지, 그 의미를 탐색해 보았다. 이 시기 『조광』에 발표된 ‘영서’(혹은 농촌) 배경 작품이 아닌 다른 김유정과 이효석의 작품들과의 맥락 속에서 <봄·봄>, <동백꽃>, <모밀꽃 필 무렵>을 살펴보는 것은 이후 과제로 남겨 놓는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context in which Lee Hyo-seok and Kim Yu-jeong, who grew up in cities and so adopted urban sensibilities after being baptized by modernity, came to be writers who represented the local lyricism and homeland trends. This article begins by describing how ‘Yeongseo’, the home of Lee Hyo-seok and Kim Yu-jeong, was the social and historical environment in which their literary texts were produced. This article examines the meaning of ‘Yeongseo’, or homeland, as shown in Spring & Spring, Dongbaek flower, and Buckwheat Season in the social and historical context of published journals.
    This article examines the meaning of Lee Hyo-seok’s and Kim Yu-jeong’s novels set in rural villages which were published in Chogwang in connection with the journal’s special Homeland project in 1936. Chogwang, which was founded in November 1935 as a comprehensive popular magazine, conducted four special Homeland projects in 1936 which were centered around the social and historical context to the symbols of homeland or rural villages that appear to Kim Yu-jeong’s and Lee Hyo-seok’s works. Chogwang’s special Hometown projects in 1936 are believed to have inspired the locality and lyrical natures of Spring &Spring(December1935),Dongbaekflower(May1936),and BuckwheatSeason(October1936).LeeHyo-seokandKim Yu-jeonghavebeencalledrepresentativesoflocallyricism because of their desire and struggle to clarify their position in the literary world.
    Thisarticleexploresthejournal’ssocialandhistorical environment, focusing on Kim Yu-jeong’s Spring & Spring and Dongbaek flower and Lee Hyo-seok’s Buckwheat Season. Future research should examine Spring & Spring, Dongbaek flower, and Buckwheat Season in the context of other works of Kim Yu-jeong and Lee Hyo-seok, which were published in Chogwang during this period but were not based on ‘Yeongseo’ or rural villag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의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