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화 · 역사 · 여성성 : 이반 볼랜드와 고정희의 다시 쓰는 여성 이야기 (Myth·History·Femininity: Evan Boland and Goh Jung Hee’s Rewriting the Stories of Women)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1.08
44P 미리보기
신화 · 역사 · 여성성 : 이반 볼랜드와 고정희의 다시 쓰는 여성 이야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비교한국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9권 / 2호 / 231 ~ 274페이지
    · 저자명 : 박주영

    초록

    본 연구는 아일랜드 여성시인 이반 볼랜드와 한국 여성해방문학의 대표적인 시인 고정희의 시가 어떻게 남성 중심적인 시각에 의해 왜곡된여성의 이미지를 여성주의 관점에서 재해석하고 역사 안에서 침묵하던여성의 목소리를 복원하여 시적 형상화를 하는가를 고찰한다. 볼랜드의시는 아일랜드의 가부장적 문학전통 안에서 여성이 시를 쓴다는 것은역사에 대한 탐구가 여성의 정체성에 관한 고찰과 분리될 수 없음을 지적하며, 오랫동안 신화의 세계에 갇혀서 남성 시인들의 시적 장식물로 묘사됐던 여성을 역사 안에서 실제로 존재하는 현실적인 모습으로 다시 그려낸다. 볼랜드는 가부장적인 거대 서사에 갇힌 ‘일상성’의 부재를 아일랜드 역사의 질곡을 경험하는 여성의 삶의 묘사를 통해 회복시킨다. 본 연구는 볼랜드에게 여성의 삶을 역사 안에 각인시키는 방식은 일상성을국가, 역사, 문화안에 위치시키는 것이며, 이는 사적영역과 공적영역의 이분법적 경계를 해체하는 작업이기도 하였음을 제시한다. 나아가 본 연구는 고정희의 『여성해방출사표』가 가부장사회 여성억압의 근원에 대한비판적 성찰을 보여줌을 분석한다. 고정희는 여성주의 시각과 목소리를통하여 가부장제가 서술한 역사 안에서 왜곡되고 폄하된 여성들에 대한재평가와 여성들의 삶을 재해석한다. 황진이, 신사임당, 허난설헌과 같은선각자적 여성들의 삶에서 드러나는 진보적 사유와 여성 해방운동의 뿌리를 발견한 것은 『여성해방출사표』가 지닌 뚜렷한 성과이다. 본 연구는고정희가 여성억압의 현실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여성사를 재발견하여 다시 썼음을 역설하며, 아울러 억압의 근원에 대한 진지한 고찰과함께 자매애 고취를 통한 여성해방의 대안까지 제시하였음을 밝힌다. 볼랜드의 서정적이고 비교적 차분한 어조와 달리, 고정희의 시는 직설적인언어로 거침없는 분노를 표출한다. 본 연구는 볼랜드와 고정희가 공통적으로 구현한 시적 주제는 과거의 텍스트를 새로운 비평적 견해를 갖고분석하는 것, 다시 말해, 시 쓰기를 통해 사회와 역사를 ‘새롭게 바라보기’임을 제시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plores how Evan Boland’s and Goh Jung Hee’s poetry reconstruct the silenced and marginalized female voices in male dominant literary tradition and history. Boland argues that Irish women have been symbolized as the enigmatic image of powerlessness within the literary history and myth. Her poems deconstruct the ornamentalising and distorting images of women from the old literary conventions, deliberately subverting them to express new realities of women. Boland deploys the domestic and artistic discourses of women, focusing on the ordinariness of the living experience.
    Furthermore, Goh Jung Hee mimes the origin of Korean women’s suppression,primarily generated by the Confucianism in Chosun dynasty; she rewrites the stories of three women--Hwang Jin Yi, Shin Saimdang, Hur Nansulhyun from a feminist’s perspective, shattering the distorted material realities of historic Korean women. Goh Jung Hee’s poetry re-locates these historical female figures in the history of women as the precedent feminists. Both Boland and Goh Jung Hee examine the challenges of speaking about the dispossessed and disenfranchised female subjects which the dominant narratives of patriarchal history and literature have either over-looked or exclud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6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