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회적 기업 대표자 및 경영책임자의 특성과 정체성에 관한 연구: 대구 경북지역의 사회복지단체에서 전환된 기관들을 중심으로 (A Study on Characteristics and Identity of CEOs in Daegu Kyungpook Social Enterprises : Originated from social welfare agencies)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0.10
38P 미리보기
사회적 기업 대표자 및 경영책임자의 특성과 정체성에 관한 연구: 대구 경북지역의 사회복지단체에서 전환된 기관들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회복지행정학 / 12권 / 3호 / 112 ~ 149페이지
    · 저자명 : 문순영

    초록

    2007년 사회적기업 육성법의 제정 ․발효 이후 우리나라에서는 상당수의 사회복지기관들이 사회적 기업 인증을 받아서 사회적 기업으로 활동하고 있다. 전통적 사회복지기관들이 정부의 지원금이나 후원금에 절대적으로 의존하여 사회적 취약계층을 보호하여 왔던 것에 비하여 사회적 기업은 사회적 취약계층에 대한 보호와 서비스 제공이외에 생산과 판매를 통한 수익활동을 함께 해야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왜 사회복지기관을 운영하던 사람들이 사회적 기업을 창출하고 있는가? 이들은 어떤 특성과 자질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이들은 어떤 사회적 기업가정체성을 가지고 있는가? 등을 분석하고, 이를 근거로 사회적 기업의 토착적 발전을 위한 역량 있는 사회적 기업가를 육성하는데 필요한 과제들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유의 추출법을 활용하여 대구․경북지역의 사회복지기관에서 사회적 기업으로 인증 받은 10개 기관의 대표자 및 경영책임자를 심층 인터뷰하여 내용을 질적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기업의 경영책임자들은 순수하게 사회복지학(재활복지학)만을 전공하거나 이전에 사회복지기관에서 일한 경력만 있을수록 사회적 기업을 취약계층에 대한 정부 지원의 한 방법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인터뷰 대상자 10명 중 2명만이 본인을 사회적 기업가로 규정하고 있고, 나머지는 사회복지사(직업재활전문가)나 복지기관의 운영책임자로 생각하고 있어 사회적 기업가 정신은 미약하였다. 셋째, 이들 10개 사회적 기업의 경영책임자들은 ‘사회적 가치’ 추구 및 ‘이윤 추구’ 목표의 달성을 사회적 기업가의 역할로 인식하고 있지만 그 역할을 사회적 취약계층의 고용과 이윤 창출을 지역사회에 환원하는 정도를 넘어서까지 확대되지는 않았다. 넷째, 현재 사회적 기업의 대표자 및 경영 책임자에게 가장 필요한 자질로 인식되는 것은 이윤 창출을 위한 아이템 발굴, 수익과 효율성의 측면에서 기관 운영 능력, 그리고 조직관리 능력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역량 있는 사회적 기업가 양성을 위하여 필요한 과제들은, 아쇼카재단처럼 사회적 기업가를 찾아서 지원하는 비영리법인의 설립, 현행 사회적 기업의 경영책임자들에게 요구되는 조직 경영 능력을 지원할 수 있는 지원 시스템의 마련, 사회적 기업의 종사자들에도 사회적 기업의 특성 및 함의, 리더십 등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을 제공의 필요성이었다.

    영어초록

    Since the Social Enterprise Supporting Law was enacted in 2007, a large number of social welfare agencies have been authorized as social enterprises. While traditional social welfare agencies have been providing social services with governmental aids or donations, the social enterprises are characterized by their for-profit activities through production and marketing as well as supporting the underclass. In spite of this difference, why are some social welfare agencies turning themselves into social enterprises?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entrepreneur and entrepreneurships of them, and examined factors needed to training social entrepreneurs.
    Employing the purposive sampling method, this study interviewed 10 CEOs of authorized social enterprises from the social welfare agencies in Daegu, Kyungbook, and conducted qualitative comparison analysis of the interview cont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Firstly, the CEOs who had studied social work or worked as social workers only had a tendency to view the social enterprises as a way of providing social services with government funds. Secondly, while only 2 out of 10 interviewees saw themselves as social entrepreneurs, the rest of them regarded themselves as social workers or directors of the agencies, which showed the lack of entrepreneurship. Thirdly, the CEOs of social enterprises regarded the pursuit of social value as well as the pursuit of profit as a role of social enterprises. They only take the responsibilities of social enterprises as a employment of underclass and contribution of their profits to communities. Fourthly, the mostly needed qualifications for the CEOs of the social enterprises is the abilities to find out new items for making profit, and organization management skill such as running the agencies in terms of profit and efficiency.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the establishment of non profit organizations supporting social entrepreneurs as like Ashoka Foundation , a business competency supporting system required for the CEOs of social enterprises, and an educational system for understandings of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enterprises and leadership.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