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分財文記의 작성과정과 그 특징 - 草文書‧原文書‧複文書의 제작과 수취를 중심으로 - (The Process of Making out Bunjaemungi and the Character during Joseon - With a focus on Preparing and Receivng of the primary, completed, the plural documents-)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0.12
34P 미리보기
조선시대 分財文記의 작성과정과 그 특징 - 草文書‧原文書‧複文書의 제작과 수취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영남학 / 18호 / 215 ~ 248페이지
    · 저자명 : 문숙자

    초록

    본고는 조선시대 재산상속 문서인 분재기의 작성과 受取에 나타나는 사회사적 의미를 살펴보기 위하여 작성하였다. 분재기의 제작은 財主라 칭해지는 피상속인이 분재내역을 구술하고, 필집 혹은 상속인 중 한 사람이 그것을 書取하는 과정을 기본으로 한다. 하지만 그 안에는 草文書라 지칭되는 초본이 만들어지고, 이것이 原文書로 정제되는 몇 단계의 제작과정이 숨어있다. 또 초문서는 두 가지의 형태가 있는데, 하나는 정제과정을 거쳐 원문서로 화하는 초본 형태의 문서이고, 다른 하나는 원문서를 만들기 위한 대본 역할을 하는 재산목록 형태의 전혀 다른 형식의 문서이다. 각 가문의 재산관리 방식에 따라 분재기 제작과정이 달라지고 그 과정에서 서로 다른 형태의 초문서가 만들어진다. 즉 분재기 작성 방식에는 상속 주체들의 재산운영의 내용들이 숨어있다.
    한편 분재기의 受取는 재산상속과 함께 분재기도 발급받았다는 전제하에 평등한 상속인의 권리로 인식되어 왔다. 하지만 이러한 통념과 달리 상속인수와 분재기 건수가 불일치하는 현상이 발견되기도 한다. 즉 상속인 사이의 보이지 않는 층위에 의해 분재기의 受取 자격이 결정된다는 점과, 사위보다는 아들이, 그리고 庶子보다는 嫡子가 분재기를 수취할 가능성이 농후하다는 추론을 이끌어낼 수 있다. 실제 長男家와 壻家에서 각각 발견된 複文書로서의 분재기 중 衿付文記의 경우 壻家의 것은 딸(사위) 몫만 기록되어 있으나 長男家의 것은 장남과 차남 두 사람의 몫이 기록된 사례가 있다. 내용은 균분상속이되, 상속관념에 있어서는 사위에게는 일회성의 재산상속을, 장남에게는 동성 형제의 재산내역을 파악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재산승계를 의도했을 가능성을 엿보게 하는 대목이다.
    분재기의 내용이 보여주는 재산상속의 변화가 사회사적 의미를 가지는 것과 마찬가지로 분재기의 작성 과정과 발급‧수취에 나타나는 가문별 차이와 상속인 사이의 층위 역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분재기에 나타나는 재산상속의 사례보다는 그 이면, 즉 분재기 작성과 수취에 드러나는 관념체계를 통해 작성자들의 의도를 읽어보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이유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sociological meanings of preparing and acquiring Bunjaegi, which refer to property inheritance documents during Joseon. Preparation of Bunjaegi is based on a process of the inheritee dictating the specifications of the Bunjae and the heir or someone else writing them down. Hidden in the process are, however, a couple of steps in which the primary documents(草文書) is made up and refined into the completed documents(原文書). There are two types of the primary documents; one is the draft -type documents, which becomes the completed documents through refinement; and the other is a sort of list of property completely different from it, serving as the script to prepare the completed documents. Every family has their own processes of preparing Bunjaegi according to the ways they managed property, in which process different types of the primary documents were created. That is, the way Bunjaegi was prepared contained the content about how the subjects of inheritance operated the concerned property.
    Under the assumption that Bunjaegi was issued along with property inheritance, the receiving Bunjaegi was regarded as a right to an equal heir. Unlike such a common idea, however, there were often cases in which the number of heirs and the number of Bunjaegi did not match. It is thus estimated that the receiving qualification of Bunjaegi was dependent upon the invisible hierarchy among the heirs and that it was highly likely that the sons and the legitimate sons would have a preferential right to Bunjaegi to the sons-in-laws and the bastard sons, respectively. As a matter of fact, when the plural documents(複文書) discovered in the house of the eldest son and that of the son-in-law contained the records about the individual share instead of the overall distribution, the son-in-law would be given only the document containing the records about the daughter(son-in-law)'s share and the eldest the records about the shares of the second eldest son as well as the eldest one himself. It is probably because such a heterogeneous Bunjaegi was required to allow the eldest son to inherit and manage the property of the head family unlike the son-in-law who inherited property only once.
    Just like the changes to property inheritance demonstrated by the content of Bunjaegi have sociological meanings, the differences among the families and the hierarchy among the heirs demonstrated in the process of preparing, issuing, and receivng Bunjaegi also claim important significance. It is required to read the intentions of those who prepared the Bunjaegi through the ideological system revealed in the process of preparing and receving Bunjaegi rather than the cases of property inheritance in Bunjaeg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남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3 오전